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덕천시

위키원
(덕천 시에서 넘어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북한 위치
평안남도 위치
덕천시 위치

덕천시(端川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에 있는 도시이다. 북쪽으로 평안남도가 있으며 동,서는 산지이며 대동강이 흘러서 덕천 분지를 형성하였다.[1][2]

개요[편집]

  • 행정구역: 평안남도
  • 면적: 691.5km²
  • 인구: 237,133명(2008년)

평안남도에서 가장 인구가 적은 시이다. 동쪽은 맹산군녕원군, 북쪽은 구장군, 서쪽은 개천시, 남쪽은 북창군에 접해 있다.

도시 최대 산업은 탄광업으로 한반도 최대 규모의 탄전지대인 평남북부탄전 한가운데 있어 무연탄 채굴이 활발하다. 슬레이트와 석회석 역시 많이 난다. 북한 최대의 자동차 공장인 승리자동차종합기업소가 이 곳에 위치해있어 북한의 자동차 생산량 절반이상을 담당하고 있다. 인근에 '덕천공업대학'이라는 공장학교를 건립하여, 승리자동차공장을 비롯하여 덕천시와 주변의 공장, 기업소들에서 근무하고 있는 노동자들과 관리일꾼들을 대상으로 기술과 관리업무를 교육시키고 있다. 덕천견직공장이 있어 예로부터 이름난 '덕천향라(견직물의 일종)'를 생산하고 있으며, 대동강변에는 '대동강 발전소'라는 이름의 댐식 수력발전소가 건립되어있다.

자연환경[편집]

덕천시는 내륙중간지대에 위치해 있어 대체적으로 저산 및 중산성 산지로 되어 있는데, 변두리에서부터 중부로 들어오면서 점차 낮아지는 지세를 이루고 있다. 영역 내에서 가장 높은 곳은 장안산(長安山, 1,250m)이고, 가장 낮은 곳은 남덕동의 북창군 경계도로(120m)이다.

북부와 서부에 묘향산 줄기가 평안북도 구장군평안남도 개천시와의 경계를 이루면서 북동~남서, 북남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고 여기에 늘떼기산(974m), 새덕산(966m), 용문산(龍門山, 1,180m), 월봉산(月峯山, 1,032m), 백탑산(白塔山, 1,199m), 갈인봉(葛仁峯, 1,108m) 등이 솟아 있으며, 남부에 장안산줄기가 북창군과의 경계를 이루면서 동서방향으로 뻗어 있고 여기에 장안산, 후선유봉(後仙遊峯, 1,104m) 등 높은 산들이 솟아 있다.

동부 영원군과 맹산군과의 경계에 정곡산(646m), 송봉(松峯, 751m)과 같은 야산들이 솟아 있다. 여기에는 석회암지대가 대동강(大同江)과 그 지류인 시량강(矢梁江)의 침식작용과 용식작용을 받아 이루어진 덕천분지(德川盆地)와 청송분지(靑松盆地)가 놓여 있다. 덕천시에는 여러 곳에 석회암동굴이 있다. 지질은 황주계층과 평안계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평안계의 입석통, 사동통, 고방산통에는 무연탄이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사동통의 무연탄층은 그 폭이 매우 넓다.

이 밖에도 이 일대에는 철, 동, 보크사이트, 무연탄, 석회석, 돌솜, 천매암 등 지하자원이 많이 매장되어 있다. 토양은 주로 갈색산림토양이고 해발 1,000m 이상의 산지들에는 산악표백화갈색산림토양이, 분지하천 연안은 충적토와 논토양이 분포되어 있다.

기후는 대륙성기후의 특성을 띠며 평안남도 안의 기타 시, 군들에 비하여 기온이 비교적 낮고 강수량이 많은 것과 같은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연평균기온은 7.9℃인데, 1월 평균기온은 -11.1℃이고 7월 평균기온은 23.3℃이며 기온의 연교차는 34.4℃이다. 연 평균일조율은 50%이고 10℃ 이상 적산온도는 3,336℃이다. 연평균강수량은 약 1,334mm로서 평안남도에서 북창군 다음으로 강수량이 많은 지역에 속한다. 장마철이면 폭우가 내린다.

하천은 대동강 본류와 그 지류들이 유입되어 있는데, 대동강의 지류들은 대부분이 오른쪽 연안에 치우쳐 있다. 길이 5km 이상 되는 지류는 남양천(南陽川), 장안천(長安川), 시량강, 무릉천(武陵川), 형봉강(亨鳳江), 신성천(新成川), 무창천(武倉川), 청송천(靑松川) 등이 있다. 이 하천들은 좁고 깊은 골짜기로 흐르고 있으므로 유속이 빠르다. 하천들은 공업용수, 관개용수, 뗏길로 이용되고 있다.

덕천시에는 대동강을 막아 건설한 금성호(金城湖)가 있다. 금성호는 큰물조절, 전력생산, 수상운수, 담수양어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덕천시의 여러 곳에서 샘이 솟으며 특히 신성과 무창에 있는 샘물의 용출량은 800ℓ/s이다. 산림은 덕천시 전체 면적의 약 74% 되는데, 그 중 침엽수림은 51%, 활엽수림은 49%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 수종으로는 소나무, 일본잎갈나무,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분비나무, 노간주나무, 참나무, 고로쇠나무, 박달나무, 황철나무, 플라타너스, 가래나무 등이 있다. 산림은 대동강의 수원함양림으로도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3]

역사[편집]

덕천시 지역은 삼국시대 고구려의 판도로 되어 있었다. 고려왕조가 건립된 이후 덕천시 지역에 덕성진(德城鎭)이 설치되었다. 후에 이곳을 요원군(遼原郡) 또는 긴 덕지대에 있는 진이라 하여 장덕진(長德鎭)이라고도 하였다. 1001년(목종 4년)부터 덕주(德州)라고 개칭하여 서북면(西北面)의 관하에 있었다. 1260년(원종 1년)에 안주(安州)에 편입되었고, 1283년(충렬왕 6년)에 성주(成州)에 소속되었다.

1371년(공민왕 20년)에 성주에서 분리되어 덕주군(德州郡)으로 되었다. 조선왕조가 건립된 이후 1413년(태종 13년)에 서북지방이 평안도로 개편되면서 덕천군(德川郡)으로 되었다가, 후에 맹산현(孟山縣)과 통합하여 덕맹현(德孟縣)으로 개편되었다. 1415년(태종 15년)에 덕맹현에서 분리되어 다시 덕천군으로 되었다. 1466년 진관제(鎭管制)를 실시하면서 성천진관에 소속되어 있었다.

1871년에 산하에 군내방(郡內坊), 덕안방(德安坊), 일하방(日下坊), 신풍방(新豊坊), 신덕방(新德坊), 금성방(金城坊), 좌양방(左陽坊), 무릉방(武陵坊), 태극외방(太極外坊), 태극내방(太極內坊) 등 10개 방이 있었다. 1896년에 13도제(道制)가 실시되면서 평안남도 덕천군으로 개편되고 면제(面制)를 실시하여 군내면(郡內面), 무릉면(武陵面), 덕안면(德安面), 일하면(日下面), 신풍면(新豊面), 신덕면(新德面), 금성면(金城面), 좌양면(左陽面), 태극외면(太極外面), 태극내면(太極內面), 용도면(龍島面), 잠하면(蠶下面), 잠상면(蠶上面) 등 13면을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시에 용도면과 잠하면을 병합하여 잠도면(蠶島面)으로, 군내면과 무릉면을 병합하여 군무면(郡武面)으로, 신풍면과 신덕면을 병합하여 풍덕면(豊德面)으로, 금성면과 좌양면을 병합하여 성양면(城陽面)으로 각각 개편하여 군무면, 일하면, 덕안면, 풍덕면, 성양면, 태극내면, 태극외면, 잠도면, 잠상면 등 9개 면을 개편 관할하였다. 1929년에 덕안면과 군무면을 병합하여 덕천면(德川面)으로, 태극내면과 태극외면을 병합하여 태극면(太極面)으로 각각 개편하였고, 1943년에 태극면을 영원군(寧遠郡)에 이관하였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잠도면과 잠상면을 북창군(北倉郡)에 편입하고, 덕천면 · 일하면 · 풍덕면 · 성양면을 병합하여 덕천군을 새로 구성하였는데, 이때 덕천면의 읍남리 · 읍북일리 · 읍북이리 · 읍동리와 덕동리 일부를 병합하여 덕천읍(德川邑)으로, 덕천면의 운송리와 청룡리 일부를 병합하여 청송리(靑松里)로, 일하면의 상신리와 전성리를 병합하여 신성리(新城里)로, 일하면의 상심리와 흥덕리 일부를 병합하여 상덕리(尙德里)로, 일하면의 운곡리 · 운평리와 흥덕리 일부 · 전성리 일부를 병합하여 운흥리(雲興里)로, 일하면의 달하리와 회둔리를 병합하여 형봉리(亨鳳里)로, 일하면의 장상일리 · 장상이리 · 장상삼리를 병합하여 장상리(長上里)로, 일하면의 구정리와 귀상리를 병합하여 구장리(九長里)로, 덕천면의 향원리와 덕동리 일부를 병합하여 무창리(武倉里)로, 덕천면의 덕동리 일부와 안동리를 병합하여 안동리(安洞里)로, 풍덕면의 풍덕리와 율곡리를 병합하여 풍곡리(豊谷里)로, 풍덕면의 옥유리와 신풍리를 병합하여 신풍리(新豊里)로, 풍덕면의 척장리와 추동리를 병합하여 장동리(長洞里)로, 풍덕면의 신평리와 신흥리를 병합하여 신흥리(新興里)로, 풍덕면 송정리를 송정리(松亭里)로, 풍덕면의 신덕리 · 임하리와 성양면 금성리 일부를 병합하여 영웅리(英雄里)로, 성양면의 연당리 · 연풍리 · 금성리 각 일부를 병합하여 금성리(金城里)로, 성양면의 연당리 · 연풍리 · 금성리 각 일부를 병합하여 연당리(蓮塘里)로, 성양면의 운탄리 · 삼도관리 · 수하리를 병합하여 수하리(水下里)로, 성양면의 남중리 · 남하리 · 남상리 · 좌양리를 병합하여 남양리(南陽里)로, 덕천면의 산양리와 제남리를 병합하여 제남리(濟南里)로, 덕천면의 청룡리 일부와 장안리를 병합하여 장안리(長安里)로, 덕천면 무릉리를 무릉리(武陵里)로 각각 개편하여 1읍 22리를 관할하였다.

1954년 10월 북창군 삼흥리(三興里)가 편입되었고, 1958년 6월 장상리가 장상노동자구(長上勞動者區)로 승격되었으며, 1963년 11월 청송리가 안동리 일부를 흡수하여 청송노동자구(靑松勞動者區)로, 형봉리가 형봉노동자구(亨鳳勞動者區)로 승격되었다. 1967년 10월 장안리와 무릉리를 병합하여 장안노동자구(長安勞動者區)로, 제남리를 제남노동자구(濟南勞動者區)로 각각 개편하였다.

1981년 6월 상덕리와 신성리가 각각 노동자구로 승격되었으며, 청송노동자구 일부를 분리하여 오산노동자구(鰲山勞動者區)를 신설하였다. 같은 해 10월 장안노동자구를 남덕노동자구(南德勞動者區)로 개칭하였으며, 1982년 7월에 금성리 · 영웅리 · 송정리를 덕천읍에, 수하리 · 연당리 · 신흥리를 남양리에 각각 편입하였다.

1986년 6월 덕천군이 시로 승격되면서 덕천읍을 분리하여 승리동(勝利洞), 역전동(驛前洞), 강안동(江岸洞), 덕성동(德性洞), 서문동(西門洞), 창말동(倉-洞), 은덕동(恩德洞), 공원동(公園洞), 흥덕동(興德洞), 치명동(雉鳴洞), 삼탄동(三灘洞)을 신설하였으며, 신성노동자구를 분리하여 상신동(上新洞)과 신성리로, 형봉노동자구를 분리하여 형봉동(亨鳳洞)과 월봉동(月峯洞)으로, 청송노동자구를 분리하여 청송동(靑松洞)과 청신동(靑新洞)으로, 오산노동자구를 오산동(鰲山洞)으로, 상덕노동자구를 상덕동(尙德洞)으로, 장상노동자구를 장상동(長上洞)으로, 남덕노동자구를 남덕동(南德洞)으로, 제남노동자구를 제남동(濟南洞)과 남양동(南陽洞)으로 각각 개편하였다. 1991년에 치명동이 신흥동(新興洞)으로, 남양동이 남산동(南山洞)으로 각각 개칭되었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22동(강안동, 공원동, 남덕동, 남산동, 덕성동, 삼탄동, 상덕동, 상신동, 서문동, 승리동, 신흥동, 역전동, 오산동, 월봉동, 은덕동, 장상동, 제남동, 창말동, 청송동, 청신동, 형봉동, 흥덕동), 10리(구장리, 남양리, 무창리, 삼흥리, 신성리, 신풍리, 안동리, 운흥리, 장동리, 풍곡리)로 구성되어 있다.[4]

산업[편집]

덕천시의 경제는 공업이 주도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공업에서는 기계공업과 채취공업이 주도적인 위치에 있다. 이 밖에 중앙공업의 부산물과 지방 원료 원천에 의거하는 지방공업도 발달되어 있다. 공업생산액에서 중앙공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88%이고 지방공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12%이다. 채굴업은 지역경제의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덕천지구 탄광연합기업소(德川地區炭鑛聯合企業所) 산하에는 수십 개의 탄광들이 있는데, 여기에서 생산된 석탄은 북창화력 발전연합기업소(北倉火力發展聯合企業所)를 비롯한 공장, 기업소들과 주민지대에 공급되고 있다.

자동차 공업도 지역경제의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곳의 승리자동차연합기업소(勝利自動車聯合企業所)에서는 승리-58자동차와 10톤급 중량자동차 자주호, 25톤급 자동차 건설호, 40톤급 대형자동차 금수산호를 비롯한 여러 형의 자동차를 생산하고 있다. 덕천탄광기계공장(德川炭鑛機械工場), 덕천기계부속품공장(德川機械附屬品工場), 덕천기계수리공장(德川機械修理工場) 등 기계공장들에서는 탄차, 탄광기계설비, 전동기, 변압기를 비롯한 여러 가지 기계제품들과 설비들을 생산하고 있다.

방직공업에서 기본은 견직물 생산이다. 덕천직물공장(德川織物工場)과 덕천견직공장(德川絹織工場)에서는 예로부터 명산물로 이름난 항라를 비롯하여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식료품공업도 발달되어 있다. 현재 수천 톤의 가공능력을 가진 덕천식료가공공장(德川食料加工工場)이 건설되어 덕천시와 주변 지역에 식료품을 공급하고 있다. 이밖에 일용, 건축재, 종이, 피복 공업도 형성되어 있다.

농업에서는 지대특성에 맞게 곡물생산을 위주로 하면서 채소와 축산물, 누에고치 생산을 발전시키고 있다. 농경지면적은 덕천시 전체 면적의 약 9%밖에 되지 않는데, 그 중에서 곡물이 54.9%, 채소가 34.2%를 차지하고 있다. 곡물파종면적에서 옥수수파종면적이 약 75%를 차지하며 옥수수밭의 대부분이 시량강과 무창천 연안에 분포되어 있다. 축산업이 발달되어 있는데, 주요 축산기지로서는 덕천닭공장, 덕천오리공장, 덕천배합먹이공장 등이 있다. 그리고 덕천시에서는 석회암지대에서 뽕나무가 잘 자라는 유리한 조건을 이용하여 수백 정보의 뽕밭을 조성하여 누에고치를 생산하고 있는데, 덕천시의 누에고치 생산량은 평안남도에서 높은 수준에 이르고 있다.[5]

행정 구역[편집]

현재 덕천시는 22동, 10리로 구성되어 있다.

  • 승리동(勝利洞)
  • 역전동(驛前洞)
  • 강안동(江岸洞)
  • 덕성동(德性洞)
  • 서문동(西門洞)
  • 창말동(倉~洞)
  • 은덕동(恩德洞)
  • 공원동(公園洞),
  • 흥덕동(興德洞)
  • 신흥동(新興洞)
  • 삼탄동(三灘洞)
  • 장상동(長上洞)
  • 남산동(南山洞)
  • 제남동(濟南洞)
  • 남덕동(南德洞)
  • 청송동(靑松洞)
  • 오산동(鰲山洞)
  • 상신동(上新洞)
  • 상덕동(尙德洞)
  • 형봉동(亨鳳洞)
  • 월봉동(月峯洞)
  • 청신동(靑新洞)
  • 신성리(新城里)
  • 삼흥리(三興里)
  • 운흥리(雲興里)
  • 구장리(九長里)
  • 무창리(武倉里)
  • 안동리(安洞里)
  • 풍곡리(豊谷里)
  • 신풍리(新豊里)
  • 장동리(長洞里)
  • 남양리(南陽里)

교통[편집]

내륙교통의 중심지로 철도·자동차·수상운수로 이루어져 있다. 평덕선 철도와 서창선 철도가 있으며, 남덕·제남·남덕천·덕천·향원·향상·장상·두일령·서덕천·서창·신성 등 11개의 여객 및 화물 역이 있다.

개천시·맹산군·구장군·북창군 방면의 도로가 있으며, 덕천시∼영원군 간 인공호수인 금성호에서 여객선과 화물선이 다닌다. 개천시까지 42㎞, 북창읍까지 25㎞, 평안북도 구장읍까지 45㎞, 평성읍까지 104㎞이다. 남산동에는 북한 천연기념물인 덕천 검은황새가 있다. 시내 곳곳에 샘이 많은데, 특히 신성과 무창이 유명하며, 풍곡리에는 약수가 있다.

문화[편집]

자동차단과대학·덕천공업대학·덕성공업대학·형봉대학·기능공학교가 있으며 고등중학교 32개소, 인민학교 36개소, 유치원 165개소, 탁아소 181개소가 있다. 또한 소년궁전·덕천시극장과 37개의 문화회관·경기장·체육관이 있다. 17개소의 인민병원과 많은 치료기관들이 있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덕천시〉, 《위키백과》
  2. 덕천시〉, 《나무위키》
  3.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남도 덕천시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4.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남도 덕천시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5.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남도 덕천시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덕천시 문서는 도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덕천시 문서는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