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티투암초

위키원
(Thitu Reefs에서 넘어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티투섬 위성사진
티투섬 위치
티투섬

티투암초(Thitu Reefs) 또는 티투섬(영어: Thitu Island)은 남중국해스프래틀리군도(영어: Spratly Islands)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이자 필리핀에서 관리하는 섬 중에서 가장 큰 섬이다. 중국어로 중예다오(中業島), 필리핀에서는 파가사섬(Pag-asa Island)이라고 부른다. 티투섬은 남중국해에서 필리핀의 가장 중요한 전초기지 역할을 하고 있다.[1]

개요[편집]

티투섬은 수비환초(영어: Subi Reef) 동쪽에 있다. 스프래틀리군도의 건물 거주자들은 대부분 군인이나 임시 관광객들을 보유하고 있지만 티투섬은 스프래틀리군도에서 유일하게 영구적 민간인 거주지가 있다. 티투섬은 나무, 관목, 모래톱이 있는 낮은 섬이며 물 위에 보이는 녹슨 난파선으로 가득 찬 산호초로 둘러싸여 있다. 2001년 어린이를 포함한 약 300명의 민간 인이 유입되어 모래길로 연결된 수십 채의 집에서 거주한다. 티투섬은 필리핀에서 유일하게 시청, 다목적홀, 보건소, 학교, 경찰서, 해안경비대, 해양연구소, 정수장, 공학 빌딩, 마리나, 통신탑, 군 막사 등 많은 구조물을 보유하고 있다. 주민들은 할당된 공간에 돼지 염소 닭을 기르고 작물을 심어 한 달에 한 번 방문하는 해군 함정이 제공하는 물자를 보충한다. 과거 주민들은 낮에는 시정촌 소유의 발전기로 전기를 공급받고 밤에는 섬에 설치된 1.5볼트 태양 전지판에서 나오는 저장형 태양광 발전으로 전환하였지만 2021년 6월 12일 디젤 발전소가 가동되어 24시간 전력을 공급단다.

역사[편집]

티투섬은 현재 베트남과 중국의 어부들이 이 섬에 거주했고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와 일본 제국이해 제2차 세계대전 중에 섬에 거주했다는 역사적 기록이 있다. 1763년 6월 영국 선박 얼 템플호(Earl Temple)가 마닐라로 가던 중 티투섬의 암초에서 침몰했다. 세 명의 선원들이 섬에서 몇 달 동안 생존하면서 뗏목을 만들었고, 새 깃털을 이용해 돛을 만들었다. 조난자들은 베트남, 나중에 중국에 도달하고 그곳에서 영국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1997년 필리핀 당국에 의해 얼 템플호 난파선이 발견돼 유물이 회수돼 현재 필리핀 국립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티투섬은 1930년부터 1933년까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식민지 정부는 티투섬을 포함한 스프래틀리제도에 해군 병력을 파견했다. 1933년 12월 21일, 코친차이나(현재의 베트남)는 스프래틀리제도를 바리아 지방에 합병하기로 결정했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연합군에 항복한 후, 남중국해 군도 수복에 책임이 있는 중화민국 관리들이 섬 수복에 나섰다. 내무부는 주요 섬에 국가 표기를 다시 세우고 세부 지도를 작성하고 이름을 변경한 뒤 남중국해 도서 지역 지도를 발표했다. 1956년 5월, 필리핀 국적의 토마스 클로마(Tomás Cloma)는 여러 섬에 상륙하여 자신이 섬을 발견했으며 발견과 점령에 관련된 권리를 누렸다고 주장했다. 중국 주필리핀 대사는 즉각 성명을 내고 이 섬들이 중국 영토임을 강조하며 필리핀 부통령 겸 외무장관 카를로스 폴레스티코 가르시아에게 항의 서한을 보냈다. 필리핀 정부는 이는 클로마의 개별적인 행위이며 필리핀 정부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밝혔다. 1963년 5월 22일 베트남 공화국 해군, 남베트남의 흐엉장(Huong Giang), 치랑(Chi Lang), 키호아(Ky Hoa) 3척의 선박의 선원들이 티투(Thitu) 섬에 주권비를 세웠다.

1971년 4월 18일, 티투섬을 강타한 강력한 태풍으로 인해, 중화민국(대만) 당국은 태풍을 피하기 위해 티투섬의 모든 수비대를 타이핑섬으로 철수하도록 명령했다. 그러나 태풍 이후 대만 측은 수비를 바꿔 원군을 대만으로 돌려보낸 뒤 상륙함을 이용해 티투섬으로 새로운 병력을 수송했다. 필리핀은 이 빈 공간을 보고 7월 29일 대만이 점령한 섬에 상륙하기 위해 군대를 편성하고 섬의 이름을 '파가사섬'으로 바꾸었다. 중예다오에 도착한 대만 해군 파견대는 필리핀 해병대 소속이 섬에 있는 것을 발견하고 하오더윈 선장이 즉각 지휘를 지시했다. 76mm 포는 발사 준비가 되어 있었다. 이 섬에 주둔하고 있는 필리핀군은 대만군에 큰 위협이 되고 있는데, 그 결과 그들은 갑자기 상부의 도전하지 않고 태평도로 군대를 이동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대만 국민당 장교들과 남자들은 티투섬 필리핀의 수중에 들어가는 것을 지켜봐야만 했다. 필리핀은 1978년 대통령령 1596호에 따라 1978년 6월 11일 파가사섬에 칼라얀(Kalayaan) 자치시를 공식적으로 설치하였다.

티투섬에는 2017년에 7개의 새로운 건물이 건설되었다. 필리핀 해안경비대는 2018년 이 지역에 5개의 등대를 건설했으며, 여기에는 티투섬에 1개 등대가 포함된다. 필리핀은 2018~2019년 필리핀은 해변 경사로 건설을 시작하여 란쿠도 비행장 활주로, 군인 막사, 재래식 및 재생 가능 발전기, 담수화 시설, 등대 건설, 재활 및 수리 작업을 위한 건설 장비 납품을 시작했다. 2020년 5월, 해변 진입로가 완성되었고 필리핀 해군 함정 BRP 이바탄은 진입로에 착륙했다. 항구에서 작업하고 섬의 활주로로의 업그레이드가 진행되었다. 2020년 6월 9일 필리핀 국방부는 티투섬에 해변용 경사로를 개설하는 것을 주도하여 3년 만에 완공하였다. 이 시설은 다른 시설의 활주로와 건물을 보수하고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자재와 장비를 들여올 수 있었다. 또한 교통부(DOTR)는 티투섬의 새로운 항구와 보호 항구가 6월 12일까지 완공되어 운영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했다. 2020년 6월, 필리핀은 필리핀-미국 방문군 협정을 중단하기로 한 결정을 번복했다. 중국은 필리핀으로부터 남중국해에 대한 중국의 주장을 기각한 상설중재재판소를 존중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2020년 8월, 칼라야 시 정부는 티투섬과 관련된 6개의 모래톱과 2개의 암초를 명명했다. 2021년 6월 12일, 국영 전력공사는 300킬로와트 디젤 발전 세트, 13.8킬로볼트(kV) 분배 라인 및 연료 저장 탱크의 공급, 공급 및 설치를 포함한 3300만 파운드의 칼라얀 디젤 발전소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섬의 시설에 24시간 전력을 공급했다.[2]

스프래틀리군도[편집]

스프래틀리군도(영어: Spratly Islands)는 남중국해 남부 해상에 있는 군도이다. 스프래틀리군도의 동쪽에는 필리핀, 서쪽에는 베트남, 남쪽에는 보르네오섬(말레이시아와 브루나이), 북쪽에는 중국이 있다. 이 군도는 말레이시아, 베트남, 브루나이, 대만, 중국, 필리핀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난사군도(南沙群島)는 중국에서 부르는 명칭으로, "남쪽에 있는 모래 섬들"이라는 의미이다. 스프래틀리군도는 동쪽으로는 필리핀팔라완섬, 남쪽으로는 보르네오섬, 서쪽은 베트남을 마주보고 있다. 스프래틀리군도는 북위 4∼12°, 동경 109° 30'∼117° 50'사이에 산재해 있는 군도로서 대부분 산호초로 되어 있으며 동반부는 항해가 위험하다. 이 수많은 암초들을 중국, 대만, 필리핀, 말레이시아, 베트남이 각자 나눠 차지하고 있고, 브루나이까지 포함해 6개 국가가 더 많은 섬이 자신의 영토라고 다투고 있다. 서반부 해상에 있는 섬들은 중예군도(中業群島), 정허군초(鄭和群礁), 인칭군초(尹慶群礁) 등 3개 군도로 구성되어 있고 모두 9개의 섬이 있으나 섬의 높이는 3∼4m에 불과하다. 이 중 최대의 섬은 면적 0.4km²인 북쪽의 타이핑섬(太平島)이다. 스프래틀리군도는 인도양태평양을 잇는 전략적인 요충지로서, 역사적으로는 근대 이전 베트남중국어민들이 어업을 했다는 기록이 있으나 사람이 살지는 않았다. 19세기 이 지역을 조사하던 유럽인 스프래틀리(Spratly) 형제의 이름을 붙여 유럽인들은 스프래틀리군도(Spratly Islands)라고 불렀다. 1933∼1939년에는 프랑스가 영유(領有)하였으나, 그 후 일본령이 되어 가오슝시(高雄市)의 관할에서 신난군도(新南群島)라고 하였다가 제2차 세계대전의 종결로 중국에 반환되었다.[3]

1951년 일본, 그 뒤 대만, 중국, 베트남 그리고 1955년에는 필리핀이 영유권을 주장하였다. 1970년대에 남부 베트남이 점령하였으나, 1983년 말레이시아필리핀영유권을 주장하며 군대주둔시켰다. 현재 중국, 필리핀, 대만, 베트남,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등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스프래틀리군도에는 약 300억 톤(t)으로 추정되는 석유가 매장되어 있으며 수산물로는 해조류, 해면, 바다거북, 해삼 등이 풍부하여 중국의 하이난섬(海南島)에서 온 어민으로 성시(盛市)를 이룬다. 또 육상에는 구아노(guano, 海鳥糞)가 두껍게 퇴적되어 있어 일찍이 인광(燐鑛)과 함께 채굴되었다. 이 밖에 열대 특유의 과일도 산출된다. 원래는 암초 등이 많아 영토로서의 가치는 적으나, 최근 이 지역이 특히 국제적인 분쟁지로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석유, 천연가스자원 확보의 문제와 지리적으로 동남아시아를 관통하는 전략적인 해상교통의 요충지라는 지리적 이점 그리고 중국의 남중국해에서의 영향력 확대 움직임에 따른 미국, 중국 간 패권 경쟁의 갈등 등의 문제가 얽혀 있기 때문이다.[4]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티투 섬〉, 《요다위키》
  2. "Thitu Island", Wikipedia
  3. 스프래틀리 군도〉, 《위키백과》
  4. 난사군도(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티투암초 문서는 세계의 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