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금남호남정맥

위키원
(금남호남 정맥에서 넘어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금남호남정맥

금남호남정맥(錦南湖南正脈)은 백두대간의 영취산에서 시작하여 약 65km에 이르는 산줄기로 13정맥 중 가장 짧은 정맥이다.

개요[편집]

  • 금남호남정맥은 백두대간의 장안산(長安山, 1,237m)에서 시작되어 주화산(珠華山, 600m)에서 금남정맥호남정맥으로 분리되어 끝나는 산줄기로 금남정맥과 더불어 금강 유역의 경계를 만들고, 호남정맥과 더불어 금강과 섬진강 유역의 경계를 만든다.[1]
  • 금남호남정맥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을 남북으로 분할하고 금강 수계와 섬진강 수계의 경계가 되는 산줄기이다. 금남호남정맥은 백두대간의 전북특별자치도 구간인 덕음봉과 백운봉 사이에 위치하는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영취산(1,075.6m)에서 시작하여 진안군 부귀면 주화산(565m)까지 동서로 이어지는 산줄기로 길이는 약 63.3㎞이다. 금남 호남 정맥의 산줄기는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영취산~무령 고개~장안산~사두봉~수분재~신무산~팔공산을 거쳐 진안군으로 연결되는데, 진안군에서는 팔공산~서구이재~오계치~홍두괘치~신광치~성수산~마이산~부귀산~주화산으로 연결된다. 주화산에서 나누어지는 금남 정맥과 호남 정맥이 나누어지기 전 구간이라는 데서 유래하였다. 금남 호남 정맥은 행정 구역상으로는 장수군과 진안군에 속하는데, 진안군에서는 11개 읍면 중 북쪽의 금강 수계 8개 읍면, 남쪽의 섬진강 수계 3개 면을 나누는 역할을 한다. 진안 지역에서 금남 호남 정맥을 관통하는 도로는 지방도 742호선·국도 30호선·국도 26호선·익산 포항 고속도로가 있으며, 고개로는 서구이치·오계재·홍두괘치·신광치·마치·송림치·탑사길·우무실재·질마재·가정 고개 등이 있다.[2]
  • 금남호남정맥은 장안산(長安山, 1,237m)에서 시작되어 주화산(珠華山, 600m)에서 끝나는 산줄기의 옛 이름이다. 조선 시대 우리 조상들이 인식하던 산줄기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그리고 13개의 정맥(正脈)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10대강의 유역을 가름하는 분수령들을 기본 정맥으로 삼고 있어 대부분의 산맥 이름이 강 이름과 관련되어 있다. 북쪽 사면에서 장수의 천천(天川)이 시작되어 401㎞의 금강을 이루고 남쪽 사면에서는 임실의 오원천(烏院川)이 시작되어 225㎞의 섬진강을 이룬다. 연결된 주요산은 수분현(水分峴, 530m)·팔공산(八公山, 1,151m)·성수산(聖壽山, 1,059m)·마이산(馬耳山, 667m)·부귀산(富貴山, 806m) 등이며, 그 길이가 약 65㎞로 13개 정맥 중 가장 짧다. 금남정맥과 더불어 금강유역의 경계를 이루고, 호남정맥과 더불어 금강과 섬진강유역의 경계를 이룬다. 이 산줄기는 양유역의 기후 차이를 유발하여 연평균기온의 경우 북쪽은 12℃, 남쪽은 13℃이며, 개나리의 개화일도 5일간의 차가 생겨 섬진강유역은 대개 3월 25일경, 금강유역은 3월 30일경이 된다.[3]
  • 금남호남정맥은 장안산(長安山:1237m)에서 서북으로 뻗어 주화산(珠華山:600 m)까지 약 65km에 이르는 옛 산줄기의 이름이다. 한반도 13정맥의 하나로, 백두대간(白頭大幹)에서 갈라져 금남정맥(錦南正脈)과 호남정맥으로 이어주는 산줄기이다. 장안산에서 수분현(水分峴:530m)·팔공산(八公山:1151m)·성수산(聖壽山:1,059m)·마이산(馬耳山:667m)·부귀산(富貴山:806m)으로 이어져 주화산에서 끝난다. 또 주화산에서는 금남정맥이 시작되어 호남정맥으로 이어진다. 또 이 산줄기의 팔공산 서사면(西斜面)에서 발원하는 천천(天川)이 북류하여 금강을 이루고, 남사면(南斜面)에서 발원하는 오원천(烏院川)이 섬진강을 이룬다.[4]

금남호남정맥의 주요산[편집]

  • 금남호남정맥은 북쪽 사면에서 올라가 금강의 발원지인 장수군 수분리의 뜬봉샘에서 천천(天川), 연평천에 이르는 물줄기가 금강을 만들고 401km를 흘러 남쪽 사면에 가서는 임실의 오원천(烏院川)과 만나 225km의 섬진강을 만든다. 연결된 주요산은 수분현(水分峴, 530m)·팔공산(叭公山, 1,151m)·성수산(聖壽山, 1,059m)·마이산(馬耳山, 667m)·부귀산(富貴山, 806m) 등이며, 그 길이가 약 65km로 13개 정맥 중 가장 짧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취산(백두대간에서 분기) - 무릉고개(지방도 제743호선 통과) - 장안산(1,237m) - 수분령(국도 제19호선 통과) - 팔공산(1,151m, 성수지맥, 개동지맥분기) - 서구이재(850m, 지방도 제742호선 통과) - 성수산(1,059m) - 마이산(667m) - 부귀산(806m) - 주화산이다.

금남호남정맥의 수계[편집]

금남호남정맥은 진안군의 11개 면을 북부의 8개 면과 남부의 3개 면으로 나누며, 북쪽의 금강 수계와 남쪽의 섬진강 수계를 분할하는 분수계 역할을 하고 두 강의 발원지가 된다.

금강 수계[편집]

  • 금남호남정맥의 북쪽에서 시작되는 금강은 장수군 장수읍 신무산 정상 북쪽 아래의 뜬봉샘에서 시작되어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무주군·진안군의 각 지류와 합류하여, 충청북도와 대전광역시를 거쳐 충청남도와 전북특별자치도의 경계를 이루면서 전북특별자치도 군산 앞바다로 흐르는 강이다. 총 길이 401㎞, 유역 면적 9,885㎢으로 낙동강과 한강에 이어 긴 강이다. 금강 유역은 동쪽은 백두 대간, 남쪽은 금남 호남 정맥, 서쪽은 금남 정맥으로 분수계를 이루며 용담댐을 거쳐 북쪽의 충청남도 방향으로 흐른다.
  • 금강의 주요 지류로는 먼저 뜬봉샘(금남호남정맥, 장수군 장수읍 수분리)에서 시작된 장수천이 있다. 장수천은 장수읍과 천천면을 지나 천천면 용광리에서 무령 고개와 장안산[금남호남정맥]에서 시작하여 오동제와 장계면을 거쳐 온 장계천과 합류한다. 장계천을 합류한 장수천은 진안읍 죽도에서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칠연 계곡과 장수군 계북면에서 시작되는 대량천과 합류하여 상전면 수동리에서 용담호로 유입된다. 또 하나의 물줄기는 진안읍 마이산(금남호남정맥) 북쪽 단양리 사양제에서 시작하여 진안읍을 관통하여 운산리에서 용담호로 합류하는 진안천이다. 운장산(금남호남정맥)에서 시작하는 정자천은 부귀면을 관통하여 정천면 월평리에서 용담호로 유입된다. 주자천 역시 운장산에서 시작되어 운일암·반일암 계곡을 거쳐 주천면 신양리에서 용담호로 유입된다.
  • 안천면과 용담면 경계에 위치하는 용담댐은 금강 상류의 물을 1차로 집수하며, 이 물은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부남면 방향으로 금강의 본류를 이루면서 흘러간다. 금강은 상류에서부터 용담댐·대청호·금강 하구언의 건설로 전북특별자치도 지역과 충청남도·충청북도 지역의 용수로 이용되고 있다. 용담댐의 물은 1997년에 완공된 너비 3.2m, 길이 21.9㎞의 도수 터널을 이용하여 완주군 고산면 소양리로 흐르게 하여 낙차를 이용한 수력 발전을 하고, 완주군 고산 정수장을 통하여 전북특별자치도 서부 지역의 식수로 사용되고 있다. 금강 수계에는 진안군의 11개 읍면 중에서 동향면·진안읍·안천면·용담면·주천면·정천면·상전면·부귀면 등 8개 면이 속한다.

섬진강 수계[편집]

  • 금남호남정맥의 남쪽에서 시작되는 섬진강은 진안군 백운면 신암리 원신암 마을에 위치하는 데미샘(금남호남정맥의 팔공산~성수산 중간 지점)에서 발원하는 유로 연장 222.05㎞, 유역 면적 4,914.32㎢의 강이다. 섬진강은 진안군 백운면에서 시작하여 서진하다가 백운면 덕현리에서 덕태산 계곡에서 시작된 백운동 계곡 물과 합류하게 되고, 마령면 강정리에서 부귀면 모래재에서 시작한 세동천과 합류하면서 남진을 하게 된다. 이후 성수면 좌포리와 용포리에서 오원천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관촌면으로 흐른다.
  • 오원천은 섬진강댐으로 만들어진 옥정호에 모였다가, 임실군 강진면에서 갈담천과 합류하고, 덕치면에서 구림천과 합류한다. 이후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에서 오수천·유등천과 합류하여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에서 요천과 합류하고 남원시와 곡성군의 경계를 흘러간다. 전라남도 구례군에서 보성강과 합류하고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을 지나 하동군 금성면과 전라남도 광양시 진월면에서 남해로 유입된다. 행정 구역으로는 전북특별자치도·전라남도·경상남도를 흐르며, 진안군의 11개 읍면 중에서 백운면·마령면·성수면·부귀면 일부가 섬진강 수계에 속한다. 섬진강 수계는 북쪽과 동쪽은 금남 호남 정맥으로 분수계를 이루고, 서쪽은 호남 정맥이 분수계를 형성하고 있다.

금남호남정맥 생태[편집]

  • 금남호남정맥 72km의 산림 실태변화를 조사한 결과, 두 정맥의 산림에서 생성된 찬 공기가 광주광역시를 비롯해 전주시, 남원시, 순천시, 여주시 등 전라남·북도 17개 시·군의 미세먼지 확산을 차단하는 것으로 관찰되고 있다. 금남호남정맥은 경상남도 함양군 장안치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주화산으로 이어진다. 여름철 폭염과 열대야를 완화시켜주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특히 남원시에서 찬 공기 생성과 흐름이 가장 원활한 것으로 분석되어 금남호남정맥 산림의 혜택을 크게 누리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금남호남정맥 조사 결과, 식물상은 총 120과 426속 832분류군이 출현하였는데, 이는 한국 관속식물 4,364분류군의 19.1%에 해당한다. 세뿔투구꽃, 백작약, 금붓꽃 등 희귀식물도 새롭게 발견하였으며, 동물상은 포유류 12종, 조류 75종, 양서·파충류 14종, 나비류 61종 등이 출현하였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금남호남정맥〉, 《위키백과》
  2. 금남 호남 정맥〉, 《향토문화전자대전》
  3. 금남호남정맥(錦南湖南正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금남호남정맥(錦南湖南正脈)〉, 《두산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금남호남정맥 문서는 한국지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