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쉐보레 라세티

위키원
(라세티에서 넘어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쉐보레 라세티
한국지엠㈜(GM KOREA)
쉐보레(Chevrolet)
쉐보레 라세티 해치백(유럽)

쉐보레 라세티(Chevrolet Lacetti)는 GM대우의 승용차인 GM대우 라세티(GM Daewoo Lacetti)이다. 라세티(Lacetti)는 라틴어 "Lacertus"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라세티는 유럽에서는 쉐보레 브랜드로, 중국에서는 뷰익 브랜드로, 미국에서는 스즈키 브랜드로 판매된 월드 카였다. 대우 라세티(Daewoo Lacetti)는 한국GM이 2002년부터 전 세계에서 생산, 판매한 소형차이다. 2008년 11월 7일에 라세티 프리미어에 자리를 물려주고 단종되었다. 세단과 달리, 라세티5는 2008년에 라세티 EX로 차명을 바꾸어 스테이션 왜건과 함께 판매되었으나, 2009년 10월에 후속 차종 없이 단종되었다.

타고 월렌트 대형 가로 배너.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타고] 1개월 단위로 전기차가 필요할 때! 타고 월렌트 서비스

개요[편집]

라세티는 대우자동차에서 개발하여 GM대우의 이름으로 출시된 첫 신차이다. 대우자동차의 삼분할 그릴이 적용된 마지막 차종인데, 역대 대우 차종 중에서도 삼분할 그릴이 가장 강조된 것이 특징이다. 출시 이후에는 GM대우의 이미지 강화와 구 대우차 이미지의 정리를 위해 1년 반만에 삼분할 그릴을 제거한 페이스리프트가 단행되었다.

비슷한 시기에 개발된 칼로스와 비슷하게 국내 시장에서는 매우 저조한 판매량을 보였지만 해외 시장에서는 상당히 많은 판매량을 보였다. GM대우의 유통망을 통해 세계 각국으로 수출되었는데, 지역별로 다양한 차명이 사용되었으며 세계 여러 공장에서 조립되었다.

역사[편집]

1세대 대우 라세티

1세대 J200[편집]

라세티(2002~2004)[편집]

대우자동차가 GM대우로 사명을 바꾼 이후에 내놓은 첫 번째 자동차이다. 2년 6개월 간의 개발 기간을 거쳐 2002년 11월 18일에 누비라의 후속 차종으로 선보였다. 세단과 스테이션 왜건 차량은 이탈리아의 피닌파리나가 익스테리어 디자인을, GM대우 디자인 포럼이 인테리어 디자인을 담당하였다. 특히 대우자동차 내에서 XK엔진과 같이 개발되던 1,500~1,800cc급의 RK엔진을 얹으려 했으나, 파워트레인 중복을 막기 위해 GM의 E-TEC 엔진을 얹게 되었다. 출시되기 얼마 전에는 GM대우가 출범하여 결국 2002년 11월 GM대우에서 출시되었다. 전라북도 군산시 소룡동에서 생산되었으며, 이후 GM을 통해 세계 각지에 수출되었고 해외 공장에서도 조립되었다.

엔진은 GM Family 1 계열의 E-TEC II DOHC 엔진이 사용되며, 배기량은 가솔린 103마력 1.5L(페이스리프트 이후 106마력 1.6L로 변경되었다.) 디젤은 VM Motori RA 420 (2.0L)을 사용한다.

변속기는 수동은 5단, 자동은 가솔린 모델 기준으로 아이신의 81-40LE 자동변속기(전자식 4단)가 장착되어 있다. 이전 모델인 누비라가 ZF의 4단미션을 장착한 것과는 다르게 2세대 전의 에스페로처럼 아이신 미션으로 회귀한 것이다. 아이신 미션은 당시 기준으로 우수한 미션이었고 토요타에도 납품되었다. 덕분에 당시에 유리미션 소리를 듣던 경쟁 차종인 아반떼 XD와 쎄라토에 비해 자동변속기 고장은 없는 편에 속한다. 후속 차종인 라세티 프리미어-쉐보레 크루즈가 보령 미션 GEN1(6T40) 이슈로 시끄러웠던 것과도 대비된다. 다만 수동미션의 경우 동세대 경쟁모델들에 비해 유격이 심하고, 가속 시 시프트레버에 충격이 전달된다는 점에서 마이너스 요소가 있었다. 정도는 덜했지만 자동미션도 시프트 히스테리를 부리긴 했다.

서스펜션은 세단 기준으로 앞 맥퍼슨 스트럿 뒤 멀티링크 타입이다. XD아반떼와 쎄라토가 듀얼 링크 장착하고, SM3가 토션빔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우월한 부분이다. 다만 단종된 지 오래된 현재는 방지턱 등을 넘어갈때 차 뒤에서 삐걱거리는 소리가 나는 경우가 있다.

브레이크는 전륜 V-디스크(벤틸레이트 디스크) 후륜 일반 디스크(+ 주차용 드럼브레이크) 타입이다. 이건 Non-ABS 차량도 동일사양으로 경쟁차종이 일정 트림 이상에서만 후륜 디스크를 넣었던거에 비하면 이것도 나름 장점이다. 상위트림은 화물 재량에 따라 달라지는 차량 전/후 중량에 맞춰 제동력을 분배하는 EBD방식의 보쉬(BOSCH)제 ABS를 채용하기도 했다. 아반떼X D가 나름 세일즈포인트로 내세우던 TCS같은 주행보조장치도 적용된 것은 덤이다.

실내 공간은 출시 당시 동급 최대였었고 고급스럽다는 평을 받고 있다. 하지만 당시 준중형의 고급화를 표방하며 고급 옵션을 대량 포함시켰던 아반떼 XD에 비해 옵션에서는 밀린다는 소리를 들었다.

하부 부식 문제가 있긴 하지만 아반떼 XD나 쎄라토에 비해서는 부식이 덜한 편이었다. 물론 당시 국내차라면 부식 문제를 피해갈 수 없었고, 내구성으로 유명한 SM3조차 부식 이슈가 있었다.

단점으로는 기어비 때문인지 연비가 많이 나갔다는 것이다. 당시 대우자동차가 기어변속 타이밍을 고속 위주로 세팅해서 시내주행은 동급보다 연비가 좀 떨어진다는 이야기가 많았다. 당시에 연비가 안좋다는 소문이 많이 퍼진 것이 판매량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마카롱 데이터를 보면 당시 경쟁 차종인 아반떼 XD, 쎄라토, SM3보다 연비가 나쁜 것은 사실인데 그 차이가 그리 크지는 않다. 하지만 당시에는 이런 빅데이터가 없었기에 연비가 마냥 심각하게 나쁜 것으로 인식되었다.

국내 판매량은 전작의 누비라가 아반떼와 선두를 다투는 강력한 경쟁상대였던 것에 비해 라세티는 아반떼 XD에게 완전히 압살당하고, 동시기에 판매된 경쟁 모델들 대비 판매에서 이렇다 할 모습을 보이지 못하면서 졸지에 준중형 시장의 꼴찌로 전락하고 말았다.

라인업
  • 라세티(가솔린) : EX, LUX, MAX, Diamond
라세티 1.5ℓ 가솔린(세단) 제원
전장(mm) 4,500 전폭(mm) 1,725 전고(mm) 1,445
축간거리(mm) 2,600 윤거(전, mm) 1,480 승차정원 3명
변속기 수동 5단,자동 4단 서스펜션(전/후) 퍼슨 스트럿/듀얼 링크 구동형식 전륜 구동
엔진 형식 F15D3 연료 가솔린 배기량(cc) 1,498
최고 출력(ps/rpm) 106/6,000 최대 토크(kg*m/rpm) 14.2/4,200 연비(km/ℓ) 15.8(수동5단)/14.0(자동4단)이후 14.5(수동5단)/12.7(자동4단)으로 변경

뉴라세티(2004~2009)[편집]

2004년 3월 25일에 디자인이 일부 변경된 뉴 라세티가 출시되었고, 이탈리아의 최고 디자이너인 조르제토 쥬지아로에 의해 세련된 모습으로 디자인된 해치백 타입의 라세티 5도 함께 출시되었다. 세단과 해치백은 헤드 램프와 프론트 범퍼는 물론 대시보드까지 다른 디자인으로 되어 차별화를 꾀했다. 그해 10월에는 109마력의 1.6ℓ VICS 가솔린 엔진이 추가되었고, 1.5ℓ E-TEC Ⅱ 가솔린 엔진은 2005년에 단종되었다. 2007년 3월 2일에 유럽에서 판매 중이던 라세티 스테이션 왜건을 대한민국에서도 선보이며, 동시에 121마력의 2.0ℓ TCDI 디젤 엔진도 추가되었다. 2.0ℓ TCDI 디젤 엔진에는 5단 수동변속기 외에 4단 자동변속기가 아닌 5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 라세티 세단은 전국 주요 경찰서의 경찰차로 많이 보급되었다. 2007년에 WTCC 마카오 투어링 A에서 우승하여 고성능을 입증했다. 2008년 11월 7일에 라세티 프리미어에 자리를 물려주고 단종되었다. 세단과 달리, 라세티 5는 2008년에 라세티 EX로 차명을 바꾸어 스테이션 왜건과 함께 판매되었으나, 2009년 10월에 후속 차종 없이 단종되었다.

대우 라세티 세단 (프리 페이스 리프트)  
대우 라세티 해치백 (프리 페이스 리프트)  
대우 라세티 해치백 (프리 페이스 리프트) 후면  
대우 라세티 왜건(페이스 리프트)  
대우 라세티 왜건(페이스 리프트) 후면  
대우 라세티 해치백(페이스 리프트)  

2세대(J300)[편집]

라세티 프리미어(2008 ~ 2011)[편집]

2008년 11월 7일에 풀 모델 체인지를 거쳐 프리미어라는 서브 네임이 더해졌다.

오펠 아스트라의 전륜구동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다. 중형차를 능가하는 편의 사양과 강인한 스타일, 넓은 실내 공간이 돋보였으나 1.6ℓ 에코텍 가솔린 엔진의 출력이 114마력밖에 되지 않아 출시 당시 중량 대비 성능에 대한 논란이 많았고, 최고 출력이 124마력으로 높아진 이후에도 여전했다. 대한민국의 준중형차 중에서 처음으로 6단 자동변속기(가솔린 6T40, 디젤 6T45)를 적용하였다. 그러나 6단 자동변속기도 결함 논란에 휩싸였고, 이 6단 자동변속기는 충청남도 보령시의 한국지엠 변속기 공장에서 생산되고 있기 때문에 일명 보령 미션이라는 달갑지않은 별칭을 얻었다. 한국지엠에서는 몇몇 블로거를 초청하여 보안시설이나 다름없는 보령 변속기 공장의 생산 공정을 보여 줄 정도였다.[2] 하부에 H 스파이더형 빔을 적용하고, 초강성 강판을 65% 사용하여 안전성을 높였다. 그래픽 정보 디스플레이(GID)를 통해 운전자의 취향대로 여러 기능을 설정할 수 있게 되었으며, 속도 감응형 사운드 시스템은 속도에 비례하여 음량이 자동 조절되어 편의성에 기여했다. 2009년 2월 4일에는 자사의 윈스톰과 토스카에 쓰인 150마력 2.0ℓ VCDi 커먼레일 터보 디젤 엔진을 장착했다. 같은 해 11월에 142마력 1.8ℓ 에코텍 가솔린 엔진이 추가로 출시되며 아이덴티티(Identity)라는 네임이 붙었고, USB 단자와 블루투스 오디오 스트리밍 기능이 신규 적용되었다. 2010년 9월 8일에는 성능을 소폭 개선하고(1.6ℓ 에코텍 가솔린 엔진은 114마력에서 124마력으로 출력 개선, 1.8ℓ 에코텍 가솔린 엔진은 13.3 km/ℓ에서 13.7 km/ℓ로 연비 개선), 동급 최초의 크루즈 컨트롤이 장착된 2011년형이 출시되어 디젤이 잠시 단종되었으나, 그 해 11월에 유로5 기준에 맞게 개선해 163마력으로 출력을 올린 후 다시 판매에 들어갔다.

2011년 3월 1일부터는 회사명이 GM대우에서 한국지엠으로 바뀌며, 기존 자사 차량 대부분을 쉐보레 브랜드로 판매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에서도 해외에서의 차명인 쉐보레 크루즈로 통일되어 바뀌었다.

라인업

뉴 라세티(가솔린, 디젤)

  • EX
  • LUX
  • MAX
  • Diamond
  • Platinum

뉴 라세티 5도어 해치백(가솔린, 디젤)

  • LUX
  • MAX
  • Platinum
  • Diamond
  • EX

뉴 라세티 왜건(디젤)

  • LUX
  • MAX
제원
구분 뉴 라세티1.5ℓ 가솔린(세단, 해치백) 뉴 라세티1.6ℓ 가솔린(세단, 해치백) 뉴 라세티2.0ℓ 디젤(세단, 해치백, 왜건)
전장(mm) 4,515(세단) 4,295(해치백) 4,515(세단) 4,295(해치백) 4,515(세단) 4,295(해치백)4,580(왜건)
전폭(mm) 1,725
전고(mm) 1,445 1,445 1,445(세단, 해치백)1,460(왜건) 1,500(왜건 루프랙 적용시)
축거(mm) 2,600
윤거(전, mm) 1,480
윤거(후, mm) 1,480
승차 정원 5명
변속기 수동 5단, 자동 4단 수동 5단, 자동 4단 수동 5단, 자동 5단
서스펜션(전/후) 맥퍼슨 스트럿/듀얼 링크
구동 형식 전륜 구동
엔진 형식 F15D3 F16D Z20S
연료 가솔린 가솔린 디젤
배기량(cc) 1,498 1,598 1,991
최고 출력(ps/rpm) 106/6,000 109/6,000 121/3,800
최대 토크(kg*m/rpm) 14.2/4,200 15.0/3,800 28.6/2,000
연비(km/ℓ) 14.5(수동 5단)/12.7(자동 4단) 14.1(수동 5단)/11.7(자동 4단)(이후 14.4(수동 5단)/12.3(자동 4단)으로 변경) 18.0(수동 5단)/14.1(자동 5단)
GM대우 라세티 프리미어 정측면  
GM대우 라세티 프리미어 후측면  

해외수출[편집]

해외에서는 GM대우의 판매망을 타고 세계 각지로 수출되었으며 제법 많은 판매고를 올렸다. 주 생산 공장은 GM 군산공장이지만 다른 해외의 여러 GM 공장에서도 조립되었다.

해외에서는 차가 싸고 관리를 대충 해도 그럭저럭 잘 굴러가며, 호환 부품이 여기저기 널려 있어서 관리하기 쉽다는 점이 이점으로 꼽혔다. 하지만 연비가 Sub-compact 차량 주제에 Mid-size 세단과 차이가 없다는 점이 단점으로 꼽혔고, 일부 열대국가들이나 온난다습한 기후의 나라들에서는 엔진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컨디션이 불안하여 좋지 않은 평을 듣기도 했다. 다만, 유럽이나 중앙아시아, 중남미 등지에서는 높은 부품 호환성과 특유의 내구도 덕에 큰 인기를 끌었고, 여기에 글로벌 GM의 판매망을 이용해 해외 수출은 활발하게 이루어져 아반떼보다 훨씬 많은 해외 판매량을 보였다.

특히 2006년에는 한때 국산 수출 1위 차종에 등극하기도 했다. 특히 2007년도 기준 글로벌 150만대 판매를 달성해서, 당시 이를 이용한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하기도 했다. 해외 시장에서 칼로스-젠트라와 더불어 라세티의 선전 덕분에 GM 그룹의 소형차 및 준중형 + 경차 라인은 지금도 한국GM을 중심으로 개발, 생산되고 있다.

지역에 따라 다양한 차명이 사용되었다.

  • 뷰익 엑셀(Buick Excelle 중국)
  • 쉐보레 라세티(Chevrolet Lacetti 유럽)
  • 쉐보레 누비라(Chevrolet Nubira 유럽)
  • 대우 누비라(Daewoo Nubira 유럽)
  • 대우 라세티(Daewoo Lacetti 유럽)
  • 쉐보레 옵트라(Chevrolet Optra 아시아, 남미, 캐나다, 멕시코, 남아프리카)
  • 쉐보레 에스테이트(Chevrolet Estate 인도네시아)
  • 대우 젠트라(Daewoo Gentra 러시아, 중앙아시아)
  • 홀덴 비바(Holden Viva 호주, 뉴질랜드)
  • 라본 젠트라(Ravon Gentra 러시아, 중앙아시아)
  • 스즈키 포렌자(Suzuki Forneza 미국, 일본 세단)
  • 스즈키 레노(Suzuki Reno 미국, 일본 해치백)

1세대 모델은 각 지역마다 이름이 다르다. 미국/유럽 지역에서는 스즈키 포렌자, 쉐보레 옵트라, 중국에서는 뷰익 엑셀, 호주에서는 홀덴 비바로 팔렸다. 일부 지역에서는 쉐보레 누비라, 쉐보레 라세티로도 팔렸다. 우즈베키스탄의 라본에서는 젠트라라는 이름으로 판매 중이다. 이집트에서는 쉐보레 옵트라로 판매했는데, 기본적인 구조를 그대로 둔 채 외관만 바꾸어서 계속 판매 중이다. 드라마 저 푸른 초원 위에에서는 M-JEWOO의 세라티, 그리고 드라마 파리의 연인에서도 똑같이 GD자동차의 세라티(CELATTI)로 나온다.

2003년 4월 25일 서유럽 수출을 위해 선적하고, 2003년 8월에는 중국 수출, 2003년 9월에는 북미시장 진출, 2005년에는 일본 시장 수출이 이루어졌다. 2008년에는 GM 우즈베키스탄과 러시아에 CKD 수출을 하다가 2012년에는 우즈베키스탄에 완성차 라인을 설치하는 식으로 생산되기 시작되었다.

대한민국을 비롯한 시장 다수에는 2008년에 단종되었지만, 중국을 비롯한 개발도상국 시장에서 판매할 수출용 사양은 2017년 말까지 군산공장에서 생산했다. 현재 중국에서는 GM과 류저우 우링(Wuling)이 공동개발한 바오준 630을 만들어 판매하고 있는데, 이 차량 또한 J200 라세티 기반의 차량이다. 결론적으로 원판모델은 단종되었지만, 다른 모습으로 살아있는 셈. 이집트에서 파는 쉐보레 옵트라도 바오준 630을 기반으로 판매중인 차종이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쉐보레 라세티 문서는 미국 자동차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