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청신도시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03번째 줄: 103번째 줄:
 
중앙선 신안동역과 경북선 예천역이 각각 신도시 동쪽과 서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있다. 경북도청신도시는 두 역 사이의 중간 정도 되는 지점에 있기 때문에 둘 중 어디로 가도 시간은 비슷하지만, 경북선보다 중앙선의 기차편이 훨씬 더 많고 안동역은 도청으로 오는 버스들이 잘되어있고 금방금방 오는 편이기 때문에 주민들과 방문 유동인구들은 안동역을 많이 이용한다.  
 
중앙선 신안동역과 경북선 예천역이 각각 신도시 동쪽과 서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있다. 경북도청신도시는 두 역 사이의 중간 정도 되는 지점에 있기 때문에 둘 중 어디로 가도 시간은 비슷하지만, 경북선보다 중앙선의 기차편이 훨씬 더 많고 안동역은 도청으로 오는 버스들이 잘되어있고 금방금방 오는 편이기 때문에 주민들과 방문 유동인구들은 안동역을 많이 이용한다.  
  
부산을 제외한 21세기 들어 추진되는 비수도권 신도시가 으레 그렇듯이 이 지역도 철도교통은 안중에도 없이 설계되었다. 안동과 예천에 각각 중앙선과 경북선이 지나간다고는 하지만 도청 [[신도시]] 지역이 워낙 외지에 위치하고 있어 신도시의 교통수단으로는 별 소용이 없다.
+
부산을 제외한 21세기 들어 추진되는 비수도권 신도시가 으레 그렇듯이 이 지역도 철도교통은 안중에도 없이 설계되었다. 안동과 예천에 각각 중앙선과 경북선이 지나간다고는 하지만 도청 신도시 지역이 워낙 외지에 위치하고 있어 신도시의 교통수단으로는 별 소용이 없다.
  
그래서 경상북도는 문경역까지 이어지고 있는 중부내륙선을 이곳으로 끌어와 안동까지 연장시킨다는 구상을 발표했다. 준고속선으로 설계되는 만큼, 빠른 속도로 안동은 물론이고 서울까지도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중부내륙선을 경북선 전철화 사업과 연계시키고 싶어하는 상주시와 김천시의 반발이 예상된다. 우선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중부내륙선 김천역 연장과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점촌역~영주역 구간이 반영됐으며, 경북선 도청신도시 지선을 신설하는 점촌안동선 계획 또한 추가 검토 사업에 선정됐다.
+
그래서 경상북도는 문경역까지 이어지고 있는 중부내륙선을 이곳으로 끌어와 안동까지 연장시킨다는 구상을 발표했다. 준고속선으로 설계되는 만큼, 빠른 속도로 안동은 물론이고 서울까지도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중부내륙선을 경북선 전철화 사업과 연계시키고 싶어하는 상주시와 김천시의 반발이 예상된다. 우선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중부내륙선 김천역 연장[2]과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점촌역~영주역 구간[3]이 반영됐으며, 경북선 도청신도시 지선을 신설하는 점촌안동선 계획 또한 추가 검토 사업에 선정됐다.
  
 
물론 구축계획에 들어간다고 즉시 착공되는 것도 아니고 지자체 사이의 힘겨루기가 예상되므로 이 지역에 철도망이 들어올 날은 요원할 뿐이다. 같은 도청 신도시인 내포신도시도 서해선이 약간 빗겨가긴 하지만 이미 착공 진행중이고 지역 알력도 상대적으로 적다.
 
물론 구축계획에 들어간다고 즉시 착공되는 것도 아니고 지자체 사이의 힘겨루기가 예상되므로 이 지역에 철도망이 들어올 날은 요원할 뿐이다. 같은 도청 신도시인 내포신도시도 서해선이 약간 빗겨가긴 하지만 이미 착공 진행중이고 지역 알력도 상대적으로 적다.
 
 
=== 대중교통 ===
 
=== 대중교통 ===
 
2022년 현재 도청신도시로 갈 수 있는 대중교통편은 다음과 같다. 안동시 시내버스는 급행1번, 212번이 있다. 예천읍에서 들어오는 농어촌버스는 예천읍을 출발하여 호명을 경유하여 신도시와 도청까지 예천군 농어촌버스 노선인 77번, 88번이 도합 1일 43회 운행한다.
 
2022년 현재 도청신도시로 갈 수 있는 대중교통편은 다음과 같다. 안동시 시내버스는 급행1번, 212번이 있다. 예천읍에서 들어오는 농어촌버스는 예천읍을 출발하여 호명을 경유하여 신도시와 도청까지 예천군 농어촌버스 노선인 77번, 88번이 도합 1일 43회 운행한다.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