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산기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7번째 줄: 17번째 줄:
 
[[파일:밀리어네어_계산기.jpg|썸네일|200픽셀|'''밀리어네어 계산기''']]
 
[[파일:밀리어네어_계산기.jpg|썸네일|200픽셀|'''밀리어네어 계산기''']]
  
=== 아날로그 계산기 ===
+
===산가지===
====산가지====
 
 
[[산가지]]는 산목으로 수를 나타내는 방법으로 자릿수를 번갈아 가며 가로놓기와 세로놓기로 구분하여 숫자를 표기하였다. 즉, 세로놓기로는 일, 백, 만 등의 자릿수의 숫자를 나타내었고, 가로놓기로는 십, 천, 십만 등의 자릿수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때에 따라 가로놓기와 세로놓기의 자릿수를 서로 바꾸어놓기도 하였다. 그리고 13세기 송나라 말까지는 0을 나타내는 부호가 없었으므로 0에 해당하는 자릿수의 수치는 비우고 표기하였다. 동양 수학에서 일찍부터 발견되어 사용된 음수를 표기하기 위해 양수는 붉은색, 음수는 검은색으로 구분하였다. 때에 따라서는 음수의 경우 마지막 산목을 비뚤어지게 놓아 구분하기도 하였다. 산목은 산학이 체계화되는 고대로부터 비교적 근래에 이르기까지 사용되었는데, 중국과 일본에서는 주판이 보급되면서 사라졌으나, 대한민국에서는 산학의 기본적인 계산 방법으로 조선 말기까지 사용되었다.<ref> 〈[https://namu.wiki/w/%EC%82%B0%EA%B0%80%EC%A7%80 산가지]〉, 《나무위키》 </ref>
 
[[산가지]]는 산목으로 수를 나타내는 방법으로 자릿수를 번갈아 가며 가로놓기와 세로놓기로 구분하여 숫자를 표기하였다. 즉, 세로놓기로는 일, 백, 만 등의 자릿수의 숫자를 나타내었고, 가로놓기로는 십, 천, 십만 등의 자릿수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때에 따라 가로놓기와 세로놓기의 자릿수를 서로 바꾸어놓기도 하였다. 그리고 13세기 송나라 말까지는 0을 나타내는 부호가 없었으므로 0에 해당하는 자릿수의 수치는 비우고 표기하였다. 동양 수학에서 일찍부터 발견되어 사용된 음수를 표기하기 위해 양수는 붉은색, 음수는 검은색으로 구분하였다. 때에 따라서는 음수의 경우 마지막 산목을 비뚤어지게 놓아 구분하기도 하였다. 산목은 산학이 체계화되는 고대로부터 비교적 근래에 이르기까지 사용되었는데, 중국과 일본에서는 주판이 보급되면서 사라졌으나, 대한민국에서는 산학의 기본적인 계산 방법으로 조선 말기까지 사용되었다.<ref> 〈[https://namu.wiki/w/%EC%82%B0%EA%B0%80%EC%A7%80 산가지]〉, 《나무위키》 </ref>
  
====주판====
+
===주판===
 
[[주판]]은 기원전 2700~2300년 메소포타미아 수메르에서 사용되었다. 그리고 그리스와 로마를 경유하여 명나라 이후에 [[중국]]으로 전래하였고 개량되었는데, 우리가 아는 주판의 모습은 그러한 과정의 산물이다. 한반도에는 조선 초기에 들어왔지만, 일부 거상들 외에 그다지 널리 쓰이지는 못했다. 조선에서는 훨씬 이전에 중국에서 들어온 산가지를 사용한 계산이 크게 발전했기 때문이다. 정작 중국에서는 명나라 때부터 상업에 필요한 실용 수학 계산 위주로 수학이 발전했다. 주판이 알려지고 개량되어 보급된 이후 산가지가 사라졌으나, 한반도에서는 여전히 산가지를 사용한 수학 계산을 선호하였다. 더불어 방정식과 제곱근풀이 역시 중국에보다 한반도에서 더욱 깊이 연구되었다. 1970년대에 전자계산기가 보급되기 전까지만 해도 계산을 하는 데에 있어서 필수적인 사무용품이었고, 보급 초기에는 계산기가 맞는지 틀리는지 주판으로 검산하거나 보조하는 경우도 있었다. 주판을 접하지 않고 자란 요즘 세대들에게도 원리 자체는 익숙한 물건이다. 당구장에서 점수 계산하는 보드와 주산의 원리는 사실 똑같다. 그리고 덧셈, 뺄셈만 가능할 거로 생각하기 쉽지만, 곱셈과 나눗셈도 할 수 있다.<ref> 〈[https://namu.wiki/w/%EC%A3%BC%ED%8C%90 주판]〉, 《나무위키》 </ref>
 
[[주판]]은 기원전 2700~2300년 메소포타미아 수메르에서 사용되었다. 그리고 그리스와 로마를 경유하여 명나라 이후에 [[중국]]으로 전래하였고 개량되었는데, 우리가 아는 주판의 모습은 그러한 과정의 산물이다. 한반도에는 조선 초기에 들어왔지만, 일부 거상들 외에 그다지 널리 쓰이지는 못했다. 조선에서는 훨씬 이전에 중국에서 들어온 산가지를 사용한 계산이 크게 발전했기 때문이다. 정작 중국에서는 명나라 때부터 상업에 필요한 실용 수학 계산 위주로 수학이 발전했다. 주판이 알려지고 개량되어 보급된 이후 산가지가 사라졌으나, 한반도에서는 여전히 산가지를 사용한 수학 계산을 선호하였다. 더불어 방정식과 제곱근풀이 역시 중국에보다 한반도에서 더욱 깊이 연구되었다. 1970년대에 전자계산기가 보급되기 전까지만 해도 계산을 하는 데에 있어서 필수적인 사무용품이었고, 보급 초기에는 계산기가 맞는지 틀리는지 주판으로 검산하거나 보조하는 경우도 있었다. 주판을 접하지 않고 자란 요즘 세대들에게도 원리 자체는 익숙한 물건이다. 당구장에서 점수 계산하는 보드와 주산의 원리는 사실 똑같다. 그리고 덧셈, 뺄셈만 가능할 거로 생각하기 쉽지만, 곱셈과 나눗셈도 할 수 있다.<ref> 〈[https://namu.wiki/w/%EC%A3%BC%ED%8C%90 주판]〉, 《나무위키》 </ref>
  
====네이피어 막대====
+
===네이피어 막대===
 
[[네이피어의 막대]] 또는 네이피어의 뼈는 [[네이피어]](John Napier of Merchiston)가 고안한 셈을 쉽게 할 수 있는 막대이다. 네이피어의 막대는 아홉 개의 긴 막대로 구성이 되어 있고 각 막대에는 1부터 9까지 숫자들의 곱셈표가 그려져 있다. 첫 번째 막대에는 1의 배수 1부터 9까지, 두 번째 막대에는 2의 배수인 2, 4, 6으로 시작해 마지막 18까지 쓰여 있고, 세 번째 막대에는 3의 배수인 3, 6, 9에서 27까지 쓰여 있다. 이런 식으로 네 번째에서 아홉 번째 막대에도 각각 4의 배수부터 9의 배수까지가 차례대로 쓰여 있다. 여기서 두 자리 이상의 숫자는 각각 따로 쓰였는데, 예를 들면 16은 1을 위쪽에 6을 아래쪽에 분리하여 적었다. 357과 7의 곱셈을 구하려면 각 막대의 첫 번째 숫자가 3, 5, 7로 시작되는 막대를 나란히 놓고 각 막대의 일곱 번째 줄에 적혀있는 숫자들을 더하면 답을 구할 수 있는 것이다. 3의 막대의 첫 번째 숫자가 첫째 자리, 3의 두 번째 숫자와 5의 첫 번째 숫자를 더한 값이 둘째 자리, 5의 두 번째 숫자와 7의 첫 번째 숫자를 더한 값이 셋째 자리, 7의 두 번째 숫자가 마지막 자리가 되는 것이다.<ref> 정영애 교수, 〈[https://smart.science.go.kr/scienceSubject/computer/view.action?menuCd=DOM_000000101001007000&subject_sid=259 네이피어 막대]〉, 《전국 과학관 길라잡이》</ref>
 
[[네이피어의 막대]] 또는 네이피어의 뼈는 [[네이피어]](John Napier of Merchiston)가 고안한 셈을 쉽게 할 수 있는 막대이다. 네이피어의 막대는 아홉 개의 긴 막대로 구성이 되어 있고 각 막대에는 1부터 9까지 숫자들의 곱셈표가 그려져 있다. 첫 번째 막대에는 1의 배수 1부터 9까지, 두 번째 막대에는 2의 배수인 2, 4, 6으로 시작해 마지막 18까지 쓰여 있고, 세 번째 막대에는 3의 배수인 3, 6, 9에서 27까지 쓰여 있다. 이런 식으로 네 번째에서 아홉 번째 막대에도 각각 4의 배수부터 9의 배수까지가 차례대로 쓰여 있다. 여기서 두 자리 이상의 숫자는 각각 따로 쓰였는데, 예를 들면 16은 1을 위쪽에 6을 아래쪽에 분리하여 적었다. 357과 7의 곱셈을 구하려면 각 막대의 첫 번째 숫자가 3, 5, 7로 시작되는 막대를 나란히 놓고 각 막대의 일곱 번째 줄에 적혀있는 숫자들을 더하면 답을 구할 수 있는 것이다. 3의 막대의 첫 번째 숫자가 첫째 자리, 3의 두 번째 숫자와 5의 첫 번째 숫자를 더한 값이 둘째 자리, 5의 두 번째 숫자와 7의 첫 번째 숫자를 더한 값이 셋째 자리, 7의 두 번째 숫자가 마지막 자리가 되는 것이다.<ref> 정영애 교수, 〈[https://smart.science.go.kr/scienceSubject/computer/view.action?menuCd=DOM_000000101001007000&subject_sid=259 네이피어 막대]〉, 《전국 과학관 길라잡이》</ref>
  
===기계식 계산기===
+
===파스칼린===
====파스칼린====
 
 
[[파스칼린]](Pascaline)는 1642년 [[블레즈 파스칼]](Blaise Pascal)에 의해 만들어진 세계 최초의 계산기다. 블레즈 파스칼은 1642년 세계 최초의 기계식 수동 계산기를 발명하였다. 그는 프랑스 오트노르망디의 세금액을 재분배하는 일을 도맡았던 아버지를 도우면서 이와 같은 발상을 고안하게 되었다. 이 기계는 처음에는 산술기계 또는 파스칼의 계산기라고 불리다가 나중에 파스칼린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 기계는 덧셈과 뺄셈을 할 수 있었고, 반복을 통해서 곱셈과 나눗셈도 할 수 있었다. 파스칼은 1645년에 처음으로 자신이 만든 기계를 대중에 공개하기 전까지 50개의 시제품을 만들어 시험해 보았다. 그리고 완성품을 당시 프랑스 총재였던 [[피에르 세귀에]](Pierre Seguier)에게 헌정하였다. 이후 10년 동안 파스칼은 기계를 계속 개선해나가면서 약 20여 개를 더 만들어 냈다. 그 가운데 아홉 개는 300년 동안 보존되어 왔으며, 대부분 유럽의 박물관들에 전시되어 있다. 1649년 프랑스의 루이 14세 국왕의 칙령에 따라 파스칼은 프랑스에서 계산기의 설계 및 생산에 대한 배타적 권리를 갖게 되었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D%8C%8C%EC%8A%A4%EC%B9%BC_%EA%B3%84%EC%82%B0%EA%B8%B0 파스칼 계산기]〉, 《위키백과》 </ref>
 
[[파스칼린]](Pascaline)는 1642년 [[블레즈 파스칼]](Blaise Pascal)에 의해 만들어진 세계 최초의 계산기다. 블레즈 파스칼은 1642년 세계 최초의 기계식 수동 계산기를 발명하였다. 그는 프랑스 오트노르망디의 세금액을 재분배하는 일을 도맡았던 아버지를 도우면서 이와 같은 발상을 고안하게 되었다. 이 기계는 처음에는 산술기계 또는 파스칼의 계산기라고 불리다가 나중에 파스칼린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 기계는 덧셈과 뺄셈을 할 수 있었고, 반복을 통해서 곱셈과 나눗셈도 할 수 있었다. 파스칼은 1645년에 처음으로 자신이 만든 기계를 대중에 공개하기 전까지 50개의 시제품을 만들어 시험해 보았다. 그리고 완성품을 당시 프랑스 총재였던 [[피에르 세귀에]](Pierre Seguier)에게 헌정하였다. 이후 10년 동안 파스칼은 기계를 계속 개선해나가면서 약 20여 개를 더 만들어 냈다. 그 가운데 아홉 개는 300년 동안 보존되어 왔으며, 대부분 유럽의 박물관들에 전시되어 있다. 1649년 프랑스의 루이 14세 국왕의 칙령에 따라 파스칼은 프랑스에서 계산기의 설계 및 생산에 대한 배타적 권리를 갖게 되었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D%8C%8C%EC%8A%A4%EC%B9%BC_%EA%B3%84%EC%82%B0%EA%B8%B0 파스칼 계산기]〉, 《위키백과》 </ref>
  
====라이프니츠 계산기====
+
===라이프니츠 계산기===
 
[[라이프니츠 계산기]]는 1671년에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Gottfried Wilhelm Leibniz)가 발명한 사칙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계산기이다. 이후 수년에 걸쳐 발전시켜 나갔다. [[계단 계산기]]라고 불린 이 발명품은 상당한 관심을 끌었고 라이프니츠가 1673년 왕립 협회에 선출되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라이프니츠는 받아 올림과 받아내림을 완벽하게 자동화시키지는 못했으므로 큰 성공은 아니였다. 라이프니츠는 하노버에 몇 년간 머무르면서 많은 수의 유사한 기계를 만들었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A%B3%A0%ED%8A%B8%ED%94%84%EB%A6%AC%ED%8A%B8_%EB%B9%8C%ED%97%AC%EB%A6%84_%EB%9D%BC%EC%9D%B4%ED%94%84%EB%8B%88%EC%B8%A0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위키백과》 </ref>
 
[[라이프니츠 계산기]]는 1671년에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Gottfried Wilhelm Leibniz)가 발명한 사칙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계산기이다. 이후 수년에 걸쳐 발전시켜 나갔다. [[계단 계산기]]라고 불린 이 발명품은 상당한 관심을 끌었고 라이프니츠가 1673년 왕립 협회에 선출되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라이프니츠는 받아 올림과 받아내림을 완벽하게 자동화시키지는 못했으므로 큰 성공은 아니였다. 라이프니츠는 하노버에 몇 년간 머무르면서 많은 수의 유사한 기계를 만들었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A%B3%A0%ED%8A%B8%ED%94%84%EB%A6%AC%ED%8A%B8_%EB%B9%8C%ED%97%AC%EB%A6%84_%EB%9D%BC%EC%9D%B4%ED%94%84%EB%8B%88%EC%B8%A0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위키백과》 </ref>
 +
 +
===기계식 컴퓨터===
 +
[[기계식 컴퓨터]]를 최초로 개발한 인물은 [[찰스 배비지]](Charles Babbage)이다. 그의 개발 이후 더욱 복잡한 형태의 기계식 컴퓨터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찰리 배비지가 생전에 남긴 수많은 업적은 당대 최고의 박식가로 인정받게 하기에 충분했다.<ref name="찰스 배비지"> 〈[https://ko.wikipedia.org/wiki/%EC%B0%B0%EC%8A%A4_%EB%B0%B0%EB%B9%84%EC%A7%80 찰스 배비지]〉, 《위키백과》 </ref>
  
 
====차분기관====
 
====차분기관====
[[차분기관]](Difference Engine)은 근사 다항식을 유한 [[차분법]]을 통해 계산하여 로그와 삼각 함수를 표로 만드는 특수 목적용 계산기이다. 1820년대 당시, 수학용 표의 계산은 계산수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맡아 손으로 계산하였다. 이런 방식은 계산 과정에서나 결과를 옮겨 쓰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였다. 찰리 배비지는 계산 진행에 기계를 도입할 수 있겠다는 생각하게 되었다. [[찰스 배비지]](Charles Babbage)가 시도했던 첫 번째 기계적 계산 장치는 차분기관이다. 그 시대 다른 이들의 시도와는 달리 배비지의 차분기관은 여러 개의 수를 자동계산할 수 있게 만들어졌다. 톱니바퀴와 기어를 이용하여 기억과 계산을 수행하며, 핸들을 돌려 동력을 얻었다. 계산 결과는 인쇄기로 출력된다. 다항함수를 계산할 수 있었으며 7개의 숫자를 31자리까지 기억시킬 수 있었다. 유한 차분의 방법으로 계산과정에서 곱셈, 나눗셈을 배제할 수 있었다. 처음 제작된 차분기관은 25,000개의 부속에, 자그마치 15t이었고, 높이는 8피트나 되었다. 충분한 지원자금이 주어졌지만 배비지의 첫 번째 프로젝트는 끝을 못 내고 막을 내렸다.<ref name="찰스 배비지"></ref>
+
[[차분기관]](Difference Engine)은 근사 다항식을 유한 [[차분법]]을 통해 계산하여 로그와 삼각 함수를 표로 만드는 특수 목적용 계산기이다. 1820년대 당시, 수학용 표의 계산은 계산수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맡아 손으로 계산하였다. 이런 방식은 계산 과정에서나 결과를 옮겨 쓰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였다. 찰리 배비지는 계산 진행에 기계를 도입할 수 있겠다는 생각하게 되었다. 찰스 배비지가 시도했던 첫 번째 기계적 계산 장치는 차분기관이다. 그 시대 다른 이들의 시도와는 달리 배비지의 차분기관은 여러 개의 수를 자동계산할 수 있게 만들어졌다. 톱니바퀴와 기어를 이용하여 기억과 계산을 수행하며, 핸들을 돌려 동력을 얻었다. 계산 결과는 인쇄기로 출력된다. 다항함수를 계산할 수 있었으며 7개의 숫자를 31자리까지 기억시킬 수 있었다. 유한 차분의 방법으로 계산과정에서 곱셈, 나눗셈을 배제할 수 있었다. 처음 제작된 차분기관은 25,000개의 부속에, 자그마치 15t이었고, 높이는 8피트나 되었다. 충분한 지원자금이 주어졌지만 배비지의 첫 번째 프로젝트는 끝을 못 내고 막을 내렸다.<ref name="찰스 배비지"></ref>
  
 
====해석기관====
 
====해석기관====
[[해석기관]](Analytical Engine)은 찰스 배비지가 고안한 기계적 범용 컴퓨터의 설계이다. 찰리 배비지는 설계를 좀 더 범용적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아 [[해석기관]]의 설계를 시작하였다. 해석기관의 동력은 증기기관이며, 톱니바퀴와 기어를 움직여서 계산을 수행한다. 보통 톱니바퀴 계산기가 손으로 핸들을 움직여서 계산하는데 이 물건은 너무 톱니바퀴가 많기 때문에 사람의 힘으로는 움직일 수가 없어서 증기기관을 동력으로 쓰는 것이다.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천공 카드]]로 입력받았고 프린터와 곡선 플로터, 종으로 출력했다. 또한 확인을 위해 천공카드 입력기를 장착할 예정이었다. 숫자는 고정 소수점을 갖는 10진수를 사용하였다. 50자리의 숫자 1,000개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소가 있으며, 산술 논리 장치(mil)는 사칙 연산과 비교 연산, 그리고 선택적으로 제곱근 계산 기능을 제공하였다. 초기에는 차분기관의 출력이 다시 입력되는 순환적인 구조에 한쪽에 긴 저장소가 있는 형태로 생각되었으나, 나중에 그려진 그림에서는 격자 형태로 조정되었다. 그러나 1878년 영국과학진흥협회의 한 위원회는 정부 기금을 위해 해석기관의 제작을 중단할 것을 권고하였다. 만약 해석기관이 제작되었다면 여러 면에서 1940년대에 출현한 최초의 컴퓨터들보다 훨씬 진보적이었을 것이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D%95%B4%EC%84%9D%EA%B8%B0%EA%B4%80 해석기관]〉, 《위키백과》 </ref> [[기계식 계산기]]를 최초로 개발한 인물은 찰스 배비지이다. 그의 개발 이후 더욱 복잡한 형태의 기계식 컴퓨터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찰리 배비지가 생전에 남긴 수많은 업적은 당대 최고의 박식가로 인정받게 하기에 충분했다.<ref name="찰스 배비지"> 〈[https://ko.wikipedia.org/wiki/%EC%B0%B0%EC%8A%A4_%EB%B0%B0%EB%B9%84%EC%A7%80 찰스 배비지]〉, 《위키백과》 </ref>
+
[[해석기관]](Analytical Engine)은 찰스 배비지가 고안한 기계적 범용 컴퓨터의 설계이다. 찰리 배비지는 설계를 좀 더 범용적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아 [[해석기관]]의 설계를 시작하였다. 해석기관의 동력은 증기기관이며, 톱니바퀴와 기어를 움직여서 계산을 수행한다. 보통 톱니바퀴 계산기가 손으로 핸들을 움직여서 계산하는데 이 물건은 너무 톱니바퀴가 많기 때문에 사람의 힘으로는 움직일 수가 없어서 증기기관을 동력으로 쓰는 것이다.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천공 카드]]로 입력받았고 프린터와 곡선 플로터, 종으로 출력했다. 또한 확인을 위해 천공카드 입력기를 장착할 예정이었다. 숫자는 고정 소수점을 갖는 10진수를 사용하였다. 50자리의 숫자 1,000개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소가 있으며, 산술 논리 장치(mil)는 사칙 연산과 비교 연산, 그리고 선택적으로 제곱근 계산 기능을 제공하였다. 초기에는 차분기관의 출력이 다시 입력되는 순환적인 구조에 한쪽에 긴 저장소가 있는 형태로 생각되었으나, 나중에 그려진 그림에서는 격자 형태로 조정되었다. 그러나 1878년 영국과학진흥협회의 한 위원회는 정부 기금을 위해 해석기관의 제작을 중단할 것을 권고하였다. 만약 해석기관이 제작되었다면 여러 면에서 1940년대에 출현한 최초의 컴퓨터들보다 훨씬 진보적이었을 것이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D%95%B4%EC%84%9D%EA%B8%B0%EA%B4%80 해석기관]〉, 《위키백과》 </ref>
  
 
=== 상업용 계산기===
 
=== 상업용 계산기===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