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압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기압]]'''(Atmospheric Pressure, 氣壓)은 지구상에서 [[대기 (자연)|대기]]의 [[무게]] 때문에 생기는 압력을 뜻하며 '''대기압'''(大氣壓)이라고도 한다. 지구 이외의 다른 행성이 공기층을 가지고 있을 때 그 공기층의 무게 때문에 생기는 압력을 그 행성의 기압이라고도 한다. 기압은 해발고도에 따라 약해진다. 대기권에 존재하는 공기의 99%는 해발고도 30km 이하에 몰려 있으며 5,550m마다 기압이 반으로 줄어든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A%B8%B0%EC%95%95 기압]〉, 《위키백과》</ref><ref>〈[https://namu.wiki/w/%EA%B8%B0%EC%95%95 기압]〉, 《나무위키》</ref><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389872&cid=60217&categoryId=60217 기압]〉, 《네이버 지식백과》</ref><ref>"[https://en.wikipedia.org/wiki/Atmospheric_pressure Atmospheric Pressure]", ''Wikipedia''</ref>
+
'''[[기압]]'''(Atmospheric Pressure, 氣壓)은 지구상에서 [[대기]]의 [[무게]] 때문에 생기는 압력을 뜻하며 '''대기압'''(大氣壓)이라고도 한다. 지구 이외의 다른 행성이 공기층을 가지고 있을 때 그 공기층의 무게 때문에 생기는 압력을 그 행성의 기압이라고도 한다. 기압은 해발고도에 따라 약해진다. 대기권에 존재하는 공기의 99%는 해발고도 30km 이하에 몰려 있으며 5,550m마다 기압이 반으로 줄어든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A%B8%B0%EC%95%95 기압]〉, 《위키백과》</ref><ref>〈[https://namu.wiki/w/%EA%B8%B0%EC%95%95 기압]〉, 《나무위키》</ref><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389872&cid=60217&categoryId=60217 기압]〉, 《네이버 지식백과》</ref><ref>"[https://en.wikipedia.org/wiki/Atmospheric_pressure Atmospheric Pressure]", ''Wikipedia''</ref>
  
 
==개요==
 
==개요==
5번째 줄: 5번째 줄:
  
 
기압의 단위로는 다양한 단위가 사용되어 왔는데 초기에는 mmHg와 Torr가 쓰였으나, 1946년 이후 통일된 기압의 단위로서 밀리바 mb를 사용하고 그리고 현재에는 hPa을 주로 쓰고 있다. 일상생활에서는 '기압'(standard atmosphere, atm)을 흔히 사용하며 atm이라고도 표기한다. 1 기압은 지구 해수면 근처에서 측정한 대기압을 기준으로 하며 국제단위계의 압력 단위로는 101,325 Pa이다. 그 밖의 단위로 1기압을 표현하자면 760 mmHg(Torr), 1.01325 bar, 1013.25 mbar, 14.69595 psi(pound per square inch) 등으로 표현된다. 1 Pa은 1 m²의 넓이에 1 N의 힘이 작용할 때의 압력으로 기압을 표현하기에는 크기가 너무 작아서 일기예보 등 기상학에서는 그 100배인 hPa(hectopascal)을 흔히 사용한다. 러시아에서는 특이하게 mmHg(수은주밀리미터)를 사용하고 있다. 러시아어로는 миллиметр ртутного столба, 줄여서 мм рт.ст.로 적는다.
 
기압의 단위로는 다양한 단위가 사용되어 왔는데 초기에는 mmHg와 Torr가 쓰였으나, 1946년 이후 통일된 기압의 단위로서 밀리바 mb를 사용하고 그리고 현재에는 hPa을 주로 쓰고 있다. 일상생활에서는 '기압'(standard atmosphere, atm)을 흔히 사용하며 atm이라고도 표기한다. 1 기압은 지구 해수면 근처에서 측정한 대기압을 기준으로 하며 국제단위계의 압력 단위로는 101,325 Pa이다. 그 밖의 단위로 1기압을 표현하자면 760 mmHg(Torr), 1.01325 bar, 1013.25 mbar, 14.69595 psi(pound per square inch) 등으로 표현된다. 1 Pa은 1 m²의 넓이에 1 N의 힘이 작용할 때의 압력으로 기압을 표현하기에는 크기가 너무 작아서 일기예보 등 기상학에서는 그 100배인 hPa(hectopascal)을 흔히 사용한다. 러시아에서는 특이하게 mmHg(수은주밀리미터)를 사용하고 있다. 러시아어로는 миллиметр ртутного столба, 줄여서 мм рт.ст.로 적는다.
 
기압이 낮은 고지대에서는 물의 끓는점이 낮아지므로 밥을 하거나 라면을 끓일 때 물은 끓는데 쌀이나 면이 잘 익지 않는 경우가 많다. 운항 중인 국제선 여객기의 기내 기압은 810hPa로, 이는 승객들이 한라산 백록담 정도(해발 6000ft) 높이에 머무르는 것과 유사하며 지상에서의 기압의 80% 수준이라고 한다. 이 정도 기압의 유지가 가능하게 해 주는 것이 바로 여압장치이다. 만일 지나치게 고압이 되면 동체가 이를 견디지 못 하고 폭발할 수 있으며 지나치게 저압이 되면 저산소성 저산소증에 걸릴 수 있다. 때문에 항상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노력한다. 게다가 더 나아가 고/저기압 배치를 잘 활용한 항로는 여객기의 비행시간을 최대 10%까지 줄일 수 있다고 한다.
 
  
 
==토리첼리의 실험==
 
==토리첼리의 실험==
 
[[파일:토리첼리의 실험.jpg|썸네일|300픽셀||토리첼리의 실험]]
 
[[파일:토리첼리의 실험.jpg|썸네일|300픽셀||토리첼리의 실험]]
 
[[파일:수은, 물, 공기 기압높이.jpg|썸네일|300픽셀||수은, 물, 공기 기압높이]]
 
[[파일:수은, 물, 공기 기압높이.jpg|썸네일|300픽셀||수은, 물, 공기 기압높이]]
기압 측정은 이탈리아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토리첼리(Evangelista Torricelli, 1608–1647)가 고안한 기압계로 1643년 다음과 같이 최초로 행해졌다.  수은조에 약 1 cm²의 단면적을 가진 1.2 m의 유리관을 세웠다. 그리고 그 높이를 매일 관측하였는데 관측할 때마다 수은주의 높이가 변화하는 것을 발견하였고 수은주의 높이가 약 760 mm까지 상승하였을 때의 공기가 누르는 힘(압력)을 1 기압이라고 한다. 이후 이 실험을 통해서 얻어진 760 mm의 [[수은]](Hg) 기둥의 높이를 1 기압의 표준으로 삼았다. 참고로 수은의 비중은 13.6 정도이므로 1의 비중을 가진 물과 비교한다면 760 mm 수은의 무게가 주는 압력은 10여 미터 정도의 물기둥의 무게가 주는 압력과 동일하다. 이것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받는 1 기압의 압력은 10 m 정도의 물기둥을 어깨에 이고 있는 상태에서 받는 압력과 매우 비슷하다는 뜻이다. 1제곱 센티 면적의 10m 기둥 높이이다. 만약 우리가 해수면 기준으로 수중 10 m의 물속에 들어간다면 [[대기 (자연)|대기]] 중의 1 기압과 10 m 물 속의 1 기압 가량의 수중 압력이 합쳐져서 약 2 기압의 압력을 받게 된다. 기압이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당연히 이 유리관 속의 수은주는 높이 밀려 올라갈 것이고 기압이 낮아지면 수은주는 내려가게 된다. 이러한 원리로 인하여 즉 수은주의 높이를 측정한 것이 바로 기압이다.
+
기압 측정은 이탈리아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토리첼리(Evangelista Torricelli, 1608–1647)가 고안한 기압계로 1643년 다음과 같이 최초로 행해졌다.  수은조에 약 1 cm²의 단면적을 가진 1.2 m의 유리관을 세웠다. 그리고 그 높이를 매일 관측하였는데 관측할 때마다 수은주의 높이가 변화하는 것을 발견하였고 수은주의 높이가 약 760 mm까지 상승하였을 때의 공기가 누르는 힘(압력)을 1 기압이라고 한다. 이후 이 실험을 통해서 얻어진 760 mm의 [[수은]](Hg) 기둥의 높이를 1 기압의 표준으로 삼았다. 참고로 수은의 비중은 13.6 정도이므로 1의 비중을 가진 물과 비교한다면 760 mm 수은의 무게가 주는 압력은 10여 미터 정도의 물기둥의 무게가 주는 압력과 동일하다. 이것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받는 1 기압의 압력은 10 m 정도의 물기둥을 어깨에 이고 있는 상태에서 받는 압력과 매우 비슷하다는 뜻이다. 1제곱 센티 면적의 10m 기둥 높이이다. 만약 우리가 해수면 기준으로 수중 10 m의 물속에 들어간다면 대기 중의 1 기압과 10 m 물 속의 1 기압 가량의 수중 압력이 합쳐져서 약 2 기압의 압력을 받게 된다. 기압이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당연히 이 유리관 속의 수은주는 높이 밀려 올라갈 것이고 기압이 낮아지면 수은주는 내려가게 된다. 이러한 원리로 인하여 즉 수은주의 높이를 측정한 것이 바로 기압이다.
  
 
1 기압 = 1 atm = 760 mmHg
 
1 기압 = 1 atm = 760 mmHg
18번째 줄: 16번째 줄:
  
 
==고기압과 저기압==
 
==고기압과 저기압==
[[파일:고기압과 저기압.jpg|썸네일|300픽셀||고기압과 저기압]]
 
[[파일:고기압과 저기압일 때 공기가 움직이는 방향.jpg|썸네일|300픽셀||고기압과 저기압일 때 공기가 움직이는 방향]]
 
 
고기압이나 저기압 같은 표현들은 어떤 사람의 감정 상태를 비유하는 표현으로도 쓰인다. 특히 그중에서도 저기압은 보통 완전히 기분이 토라지고 예민해져서 누가 건드리기라도 하면 폭발할 듯한 아슬아슬한 경우에 쓰인다. 미디어에서는 이런 사람의 머리 근처에 먹구름이 끼거나 번개가 치는 듯한 모양으로 묘사되곤 한다.
 
고기압이나 저기압 같은 표현들은 어떤 사람의 감정 상태를 비유하는 표현으로도 쓰인다. 특히 그중에서도 저기압은 보통 완전히 기분이 토라지고 예민해져서 누가 건드리기라도 하면 폭발할 듯한 아슬아슬한 경우에 쓰인다. 미디어에서는 이런 사람의 머리 근처에 먹구름이 끼거나 번개가 치는 듯한 모양으로 묘사되곤 한다.
 
===고기압===
 
===고기압===
49번째 줄: 45번째 줄:
 
* 10,332.275 mmH₂O(수주밀리미터)
 
* 10,332.275 mmH₂O(수주밀리미터)
 
* 406.782188 inchH₂O
 
* 406.782188 inchH₂O
 
==기압계==
 
[[파일:기압계.jpg|썸네일|300픽셀|아네로이드 기압계]]
 
기압계(barometer, 氣壓計)는 대기압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대체로 대기압이 낮은 저기압일 때는 날씨가 흐리고 고기압일 때는 날씨가 맑은 경우가 많아서 기압이 일종의 날씨의 척도가 되기 때문에 바로미터라는 말 자체가 어떤 징조를 나타내는 지표라는 은유로 쓰인다. 해발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압이 떨어지므로 평지와의 기압차를 이용해 산행 등에서 간이 고도계로 사용할 수 있다. 등산이나 스카이 다이빙용 고도게는 이런 원리를 이용한다. 낮은 고도에서는 대충 고도 100 미터 당 12.5 mb (1 mb = 1 헥토파스칼) 정도, 80 미터당 10 mb 정도 떨어진다고 보면 된다. 기압계의 시초는 진공상태의 관 내에 들어있는 수은 막대의 압력으로 대기압을 측정하는 수은 기압계이다. 1643년 토리첼리가 한 쪽 끝을 막은 1m의 관에 수은을 넣고 관의 열린 쪽을 수은이 담긴 용기에 넣어 관을 세우면 대기압과 수은의 압력의 평형에 의해 관 내의 수은은 용기의 수은 면으로부터 760mm 정도의 높이까지만 하강한다는 것을 통해 최초로 기압계를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르네, 데카르트 등 다른 사람이 먼저 만들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수은 기압계는 매우 정확하기는 하지만 사용이 불편하고 휴대하기가 어려워 전문적 기상관측 외에는 훨씬 간편한 아네로이드 기압계가 주로 사용된다. 아네로이드 기압계는 접시 모양의 금속 판 두 개를 겹친 후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어 대기압과 금속의 탄성이 평형을 이루는 지점에서 금속 판의 움직임을 지침으로 표시한다. 기압 지침 외에 따로 자유로이 돌릴 수 있는 지침이 있는데 이건 직전 기압 측정치를 기억해서 기압이 얼마나 변했는지 알 수 있게 하는 것이며 기압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어 배에서 주로 사용되며 가정, 사무실, 학교 등에서 쓰이기도 한다. 현재는 MEMS 반도체 기술로 만든 IC 기압 센서가 스마트폰에 내장된 기압계 등에 널리 쓰이고 있다.<ref>〈[https://namu.wiki/w/%EA%B8%B0%EC%95%95%EA%B3%84 기압계]〉, 《나무위키》</ref>
 
  
 
{{각주}}
 
{{각주}}
59번째 줄: 51번째 줄:
 
* 〈[https://ko.wikipedia.org/wiki/%EA%B8%B0%EC%95%95 기압]〉,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A%B8%B0%EC%95%95 기압]〉, 《위키백과》
 
* 〈[https://namu.wiki/w/%EA%B8%B0%EC%95%95 기압]〉,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A%B8%B0%EC%95%95 기압]〉,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A%B8%B0%EC%95%95%EA%B3%84 기압계]〉, 《나무위키》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389872&cid=60217&categoryId=60217 기압]〉,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389872&cid=60217&categoryId=60217 기압]〉,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en.wikipedia.org/wiki/Atmospheric_pressure Atmospheric Pressure]", ''Wikipedia''
 
* "[https://en.wikipedia.org/wiki/Atmospheric_pressure Atmospheric Pressure]", ''Wikipedia''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대기 (자연)|대기]]
+
* [[대기]]
 
* [[무게]]
 
* [[무게]]
 
* [[수은]]
 
* [[수은]]
  
{{자연|검토 필요}}
+
{{에너지|검토 필요}}
{{에너지}}
 
{{날씨}}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