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그룹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00번째 줄: 100번째 줄:
 
==전망==
 
==전망==
 
자구안의 '마지막 퍼즐' 격이던 '[[두산인프라코어]]'의 매각 완료로 그룹 재건의 발판을 마련하게 된 가운데, 이를 가속화하기 위해 두산중공업과 두산퓨얼셀을 양대 축으로 근본적인 체질 개선을 추진할 전망이다. [[현대중공업]]그룹 지주사 현대중공업지주와 KDB 인베스트먼트(KDBI) 컨소시엄은 이달 초 [[두산중공업]]과 두산인프라코어에 대한 인수 본계약을 체결했다. 현대중공업지주 컨소시엄은 두산중공업이 가지고 있는 두산인프라코어 지분 전량(34.97%)을 8500억 원에 인수한다. 다만 두산중공업이 가진 두산밥캣 지분은 제외됐다. 현대중공업지주는 계열사 현대건설기계와 두산인프라코어를 당장 합병하지 않고, 두산인프라코어의 사명을 유지하며 독립경영체제를 유지할 계획이다. 두산그룹은 인프라코어 매각을 성사시키면서 구조조정의 마침표를 찍게 됐다. 두산그룹은 2020년 3월 산업은행 등 채권단으로부터 자구안 마련 조건으로 3조6000억  원 규모의 자금을 지원받았다. 자구안 실행을 위해 2020년 8월 클럽모우CC(1850억 원)을 시작으로 두산타워(8000억 원), 두산솔루스(6986억 원), 모트롤BG(4530억 원), 네오플럭스(730억 원) 등을 잇달아 매각하면서 '3조 원' 규모 자구안을 계획대로 이행하게 됐다. 이제 두산그룹은 두산중공업·두산퓨얼셀 2개 회사를 중심으로 그룹을 새롭게 꾸려나갈 것으로 전망되며 친환경 에너지 사업을 주력으로 삼고 있는 이들 회사는 두산의 체질 개선을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두산중공업이 그룹 차원에서 친환경 기업으로 변신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맡게 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 두산중공업은 가스터빈과 해상풍력 사업을 양대 축으로 삼고, 친환경·신재생 에너지 사업에 적극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해상풍력 사업을 2025년까지 연 매출 1조원 이상의 사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풍력발전 사업에 1000억 원을 투자할 방침이다. 또 두산중공업은 국내 최초로 270㎿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 개발에 성공했다. 앞서 2019년 서부발전과 김포 열병합발전소 공급 계약을 체결한 데 따라 사업을 추진 중이다. 수소를 활용한 발전용 연료전지를 개발하는 [[두산퓨얼셀]]도 그룹의 체질 개선에 힘을 보탤 것으로 예상되며 두산퓨얼셀은 2018년 세계 최대 부생 수소 발전소를 수주해 연료전지 시장에 진입했다. 현재 국내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시장 1위 지위를 공고히 하고 있으며,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정책의 최대 수혜자로 꼽히고 있다.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따르면, 2040년까지 관련 시장은 연평균 2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ref> 이형선, 〈[https://www.paxetv.com/news/articleView.html?idxno=110695 (비즈 이슈) '구조조정' 마무리 두산그룹, 친환경에너지 기업으로 재도약]〉, 《팍스경제TV》, 2021-02-17</ref>  
 
자구안의 '마지막 퍼즐' 격이던 '[[두산인프라코어]]'의 매각 완료로 그룹 재건의 발판을 마련하게 된 가운데, 이를 가속화하기 위해 두산중공업과 두산퓨얼셀을 양대 축으로 근본적인 체질 개선을 추진할 전망이다. [[현대중공업]]그룹 지주사 현대중공업지주와 KDB 인베스트먼트(KDBI) 컨소시엄은 이달 초 [[두산중공업]]과 두산인프라코어에 대한 인수 본계약을 체결했다. 현대중공업지주 컨소시엄은 두산중공업이 가지고 있는 두산인프라코어 지분 전량(34.97%)을 8500억 원에 인수한다. 다만 두산중공업이 가진 두산밥캣 지분은 제외됐다. 현대중공업지주는 계열사 현대건설기계와 두산인프라코어를 당장 합병하지 않고, 두산인프라코어의 사명을 유지하며 독립경영체제를 유지할 계획이다. 두산그룹은 인프라코어 매각을 성사시키면서 구조조정의 마침표를 찍게 됐다. 두산그룹은 2020년 3월 산업은행 등 채권단으로부터 자구안 마련 조건으로 3조6000억  원 규모의 자금을 지원받았다. 자구안 실행을 위해 2020년 8월 클럽모우CC(1850억 원)을 시작으로 두산타워(8000억 원), 두산솔루스(6986억 원), 모트롤BG(4530억 원), 네오플럭스(730억 원) 등을 잇달아 매각하면서 '3조 원' 규모 자구안을 계획대로 이행하게 됐다. 이제 두산그룹은 두산중공업·두산퓨얼셀 2개 회사를 중심으로 그룹을 새롭게 꾸려나갈 것으로 전망되며 친환경 에너지 사업을 주력으로 삼고 있는 이들 회사는 두산의 체질 개선을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두산중공업이 그룹 차원에서 친환경 기업으로 변신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맡게 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 두산중공업은 가스터빈과 해상풍력 사업을 양대 축으로 삼고, 친환경·신재생 에너지 사업에 적극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해상풍력 사업을 2025년까지 연 매출 1조원 이상의 사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풍력발전 사업에 1000억 원을 투자할 방침이다. 또 두산중공업은 국내 최초로 270㎿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 개발에 성공했다. 앞서 2019년 서부발전과 김포 열병합발전소 공급 계약을 체결한 데 따라 사업을 추진 중이다. 수소를 활용한 발전용 연료전지를 개발하는 [[두산퓨얼셀]]도 그룹의 체질 개선에 힘을 보탤 것으로 예상되며 두산퓨얼셀은 2018년 세계 최대 부생 수소 발전소를 수주해 연료전지 시장에 진입했다. 현재 국내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시장 1위 지위를 공고히 하고 있으며,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정책의 최대 수혜자로 꼽히고 있다.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따르면, 2040년까지 관련 시장은 연평균 2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ref> 이형선, 〈[https://www.paxetv.com/news/articleView.html?idxno=110695 (비즈 이슈) '구조조정' 마무리 두산그룹, 친환경에너지 기업으로 재도약]〉, 《팍스경제TV》, 2021-02-17</ref>  
 +
  
 
{{각주}}
 
{{각주}}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