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막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71번째 줄: 71번째 줄:
  
 
주로 반도체 분야에서 고집적 전자 소자를 제작하는데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촉매와 같은 에너지-환경 분야와 더불어 일상 제품 표면 코팅과 같은 새로운 분야에도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증착 속도가 매우 낮아 생산성에서 약점을 가진다.<ref>Life Researcher, 〈[https://life-researcher.tistory.com/6 (반도체)박막증착공정 기본: ALD(Atomic layer deposition)증착 기술]〉, 《티스토리》, 2020-04-08</ref>
 
주로 반도체 분야에서 고집적 전자 소자를 제작하는데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촉매와 같은 에너지-환경 분야와 더불어 일상 제품 표면 코팅과 같은 새로운 분야에도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증착 속도가 매우 낮아 생산성에서 약점을 가진다.<ref>Life Researcher, 〈[https://life-researcher.tistory.com/6 (반도체)박막증착공정 기본: ALD(Atomic layer deposition)증착 기술]〉, 《티스토리》, 2020-04-08</ref>
 
== 박막배터리 ==
 
박막 배터리(Thin Film Battery)는 얇은 필름에 배터리 기능을 내장시킨 전지를 말한다. [[원통형]]이나 직육면체가 아니라 작고 얇은 박막 형태로 만든 것인데, 현재 태양전지나 리튬이차전지 분야에서 박막화 기술개발이 진행중이다. 두께를 종이보다 얇은 수십 마이크론으로 줄이고, 종이처럼 휘어질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제품에 사용될 수 있는 박막전지는 스마트카드, RFID, 무선센서, 헬스케어, 인공장기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소형화 되어가는 전자제품 시장 트렌드를 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막 배터리는 필름구조 때문에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폭발 위험성이 낮아 가장 안전한 차세대 배터리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박막배터리 전문 회사인 [[GS나노텍]]은 기존의 리튬 2차전지와는 달리 [[전해액]]을 사용하지 않는 고체 형태로서, 친환경적이고 고온에 강하며 폭발 및 발화의 위험이 없는 박막배터리를 아시아 최초로 개발하여, 2010년 6월부터 본격적인 양산에 들어갔으며 미국의 배터리 벤처기업 '''[[인피니트]]'''도 박막 배터리를 주력 상품으로 생산하고 있다.
 
 
지난 1992년 미국에서 개발한 박막배터리는 배터리의 구성요소인 양극, 전해질, 음극 등을 얇은 필름에 집적시킨 전지를 지칭한다. 하지만 박막배터리는 단위부피 당 충전능력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떨어지고 제조원가는 3배나 높은 문제점 때문에 그동안 대량생산에 들어가지 못했다. <ref>배일한 기자, 〈[https://m.etnews.com/200608220169 차세대 박막리튬전지 `귀한 몸`]〉, 《전자신문》, 2006-08-23</ref> <ref>최석환 기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0031019011938072&outlink=1&ref=https%3A%2F%2Fsearch.naver.com GS나노텍 박막전지 6월부터 상업생산]〉, 《머니투데이》, 2010-03-10</ref>
 
  
 
{{각주}}
 
{{각주}}
85번째 줄: 78번째 줄:
 
* 송경은 기자,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10323 ‘박막(thin film)’은 왜 중요할까]〉, 《동아사이언스》, 2016-02-14
 
* 송경은 기자,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10323 ‘박막(thin film)’은 왜 중요할까]〉, 《동아사이언스》, 2016-02-14
 
* Life Researcher, 〈[https://life-researcher.tistory.com/6 (반도체)박막증착공정 기본: ALD(Atomic layer deposition)증착 기술]〉, 《티스토리》, 2020-04-08
 
* Life Researcher, 〈[https://life-researcher.tistory.com/6 (반도체)박막증착공정 기본: ALD(Atomic layer deposition)증착 기술]〉, 《티스토리》, 2020-04-08
* 배일한 기자, 〈[https://m.etnews.com/200608220169 차세대 박막리튬전지 `귀한 몸`]〉, 《전자신문》, 2006-08-23<
 
* 최석환 기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0031019011938072&outlink=1&ref=https%3A%2F%2Fsearch.naver.com GS나노텍 박막전지 6월부터 상업생산]〉, 《머니투데이》, 2010-03-10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