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비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배달비'''란 [[배달]]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을 말한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배달앱]] 이용자가 늘면서 배달비 논란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단건 배달 경쟁으로 [[배달료]]가 계속 오르면서 외식 물가가 전반적으로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배달료 인상에 대한 마땅한 대안이 없는 상태여서 [[소비자]]와 [[자영업자]]의 불만이 누적되는 상황이다.
+
'''배달비'''란 배달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을 말한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배달앱 이용자가 늘면서 배달비 논란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단건 배달 경쟁으로 배달료가 계속 오르면서 외식 물가가 전반적으로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배달료 인상에 대한 마땅한 대안이 없는 상태여서 소비자와 자영업자의 불만이 누적되는 상황이다.
  
 
== 배달비 인상 논란 ==
 
== 배달비 인상 논란 ==
코로나 팬데믹 속 배달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라이더]] 모시기 경쟁이 치열해졌고 이로 인해 배달비가 높게 치솟고 있다. 치솟은 배달료는 소상공인은 물론 소비자에게도 부담이 전가되면서 배달 시장을 흔들고 있다. 자영업자는 배달료에 대한 부담을 음식 메뉴 혹은 배달팁 인상이라는 최후의 수단을 선택할 수밖에 없고, 이 피해는 고스란히 소비자가 떠 앉는 악순환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배달료는 지난 5년간 무려 2배가량 인상된 것으로 분석된다.<ref> 김설아 기자, 〈[https://economist.co.kr/2022/01/01/industry/distribution/20220101120006734.html0 “새해부터 기본 배달료 오른다”…배보다 큰 배달비 '2만원 시대' 성큼]〉, 《이코노미스트》,  2022-01-01 </ref>
+
코로나 팬데믹 속 배달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라이더 모시기 경쟁이 치열해졌고 이로 인해 배달비가 높게 치솟고 있다. 치솟은 배달료는 소상공인은 물론 소비자에게도 부담이 전가되면서 배달 시장을 흔들고 있다. 자영업자는 배달료에 대한 부담을 음식 메뉴 혹은 배달팁 인상이라는 최후의 수단을 선택할 수밖에 없고, 이 피해는 고스란히 소비자가 떠 앉는 악순환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배달료는 지난 5년간 무려 2배가량 인상된 것으로 분석된다.<ref> 김설아 기자, 〈[https://economist.co.kr/2022/01/01/industry/distribution/20220101120006734.html0 “새해부터 기본 배달료 오른다”…배보다 큰 배달비 '2만원 시대' 성큼]〉, 《이코노미스트》,  2022-01-01 </ref>
  
 
배달업계에 따르면 전국 각지의 배달대행업체들이 2022년 1월 1일자로 일제히 배달료 인상에 나섰다. 서울 인천 등 일부 업체들이 적게는 500원부터, 천안 일부 지역의 경우 1100원의 배달료를 추가로 올렸다. ▶배달기사 부족 ▶단건 배달(한 번에 한 집만 배달) 도입 ▶수요 폭증 등으로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배달업계에 따르면 전국 각지의 배달대행업체들이 2022년 1월 1일자로 일제히 배달료 인상에 나섰다. 서울 인천 등 일부 업체들이 적게는 500원부터, 천안 일부 지역의 경우 1100원의 배달료를 추가로 올렸다. ▶배달기사 부족 ▶단건 배달(한 번에 한 집만 배달) 도입 ▶수요 폭증 등으로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배민]]도 배달료 산정 기준을 기존 직선거리에서 실거리 기준으로 바꿨다. 기존 배달료는 직선거리 기준으로 500m 이내는 3000원, 500m에서 1.5㎞까지 3500원, 1.5㎞ 초과시 500m당 500원이 추가됐다. 새 배달료 산정 기준은 내비게이션 거리 기준으로 675m 이내 3000원, 675m에서 1.9㎞까지는 3500원, 1.9㎞를 넘어서면 100m당 80원을 추가 지급한다.  
+
배민도 배달료 산정 기준을 기존 직선거리에서 실거리 기준으로 바꿨다. 기존 배달료는 직선거리 기준으로 500m 이내는 3000원, 500m에서 1.5㎞까지 3500원, 1.5㎞ 초과시 500m당 500원이 추가됐다. 새 배달료 산정 기준은 내비게이션 거리 기준으로 675m 이내 3000원, 675m에서 1.9㎞까지는 3500원, 1.9㎞를 넘어서면 100m당 80원을 추가 지급한다.  
  
[[쿠팡이츠]]도 배달요금 체계를 바꿨다. 기존 체계는 중개수수료 15%에 배달비 6천 원이다. 다만, 출범 당시부터 프로모션을 통해 수수료 1천 원, 배달비 5천 원을 적용했다.
+
쿠팡이츠도 배달요금 체계를 바꿨다. 기존 체계는 중개수수료 15%에 배달비 6천 원이다. 다만, 출범 당시부터 프로모션을 통해 수수료 1천 원, 배달비 5천 원을 적용했다.
  
 
쿠팡이츠는 이를 '수수료 일반형(중개수수료 9.8%, 배달비 1천764원)', '수수료 절약형(중개수수료 7.5%, 배달비 2천364원)', '배달비 절약형(중개수수료 15%, 배달비 900원 또는 2천900원)', '배달비 포함형(중개수수료 27%)' 등 4개 유형으로 세분화했다. 배달금액이 커질수록 업주 부담도 늘어나는 형태다.<ref> 박지혜 기자, 〈[https://www.kiho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962350 잇단 배달료 인상… ‘이러다 다 죽을 판’]〉, 《기호일보》,  2022-01-07 </ref>
 
쿠팡이츠는 이를 '수수료 일반형(중개수수료 9.8%, 배달비 1천764원)', '수수료 절약형(중개수수료 7.5%, 배달비 2천364원)', '배달비 절약형(중개수수료 15%, 배달비 900원 또는 2천900원)', '배달비 포함형(중개수수료 27%)' 등 4개 유형으로 세분화했다. 배달금액이 커질수록 업주 부담도 늘어나는 형태다.<ref> 박지혜 기자, 〈[https://www.kiho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962350 잇단 배달료 인상… ‘이러다 다 죽을 판’]〉, 《기호일보》,  2022-01-07 </ref>
15번째 줄: 15번째 줄:
  
 
== 배달비 공시제 ==
 
== 배달비 공시제 ==
정부는 2022년 2월부터 [[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 등 배달 플랫폼별로 배달비를 조사해 공개하는 이른바 '배달비 공시제도'를 시작한다. 정부가 배달비를 직접 통제할 법적 근거가 없기 때문에 소비자단체를 통한 압박에 나선다.
+
정부는 2022년 2월부터 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 등 배달 플랫폼별로 배달비를 조사해 공개하는 이른바 '배달비 공시제도'를 시작한다. 정부가 배달비를 직접 통제할 법적 근거가 없기 때문에 소비자단체를 통한 압박에 나선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가 각 배달플랫폼의 배달비를 조사해 매달 1회 한국소비자원 홈페이지 등에 공개하는 방식이다.
+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가 각 배달플랫폼의 배달비를 조사해 매달 1회 한국소비자원 홈페이지 등에 공개하는 방식이다.
  
 
공개항목은 배달플랫폼별 배달비, 거리별 할증요금, 배달방식별(묶음· 단건) 수수료, 최소주문액 등이다.
 
공개항목은 배달플랫폼별 배달비, 거리별 할증요금, 배달방식별(묶음· 단건) 수수료, 최소주문액 등이다.
42번째 줄: 42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배달]]
 
* [[배달]]
* [[배달의민족]]
 
* [[요기요]]
 
* [[쿠팡이츠]]
 
  
 
{{운송|검토 필요}}
 
{{운송|검토 필요}}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