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력발전소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1번째 줄: 51번째 줄:
  
 
==종류==
 
==종류==
[[파일:댐식 수력발전소.jpg|썸네일|300픽셀|'''댐식 수력발전소''']]
 
[[파일:수로식 수력발전소.jpg|썸네일|300픽셀|'''수로식 수력발전소''']]
 
* '''댐식'''
 
하천 본류에 커다란 댐을 가로막아 댐의 상, 하류에 생기는 수위차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식이다. 계절에 관계없이 하천 유량의 변화를 평균화할 수 있어 홍수조절, 관개용수 등 다목적 댐으로 이용된다.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댐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춘천, 의암, 청평, 팔당수력 등이 있다.
 
* '''수로식'''
 
감입곡류하천에서 쓸 수 있는 유형으로 댐을 설치하고 그 지점보다 아래의 특정 지점까지 수로를 직선으로 이으면 곡선으로 돌아가는 원래 하천보다 낙차가 더 증가하는데 그 낙차로 터빈을 돌린다.
 
* '''유역변경식'''
 
경동지형에서 자주 쓰는 유형으로 고지대에 댐을 설치하고 도수터널을 통해 산 너머의 경사가 급한 저지대로 떨어트려 그 낙차로 터빈을 돌린다. 수로식과의 차이점은 수로식은 발전을 하고 나가는 물이 취수되었던 강으로 다시 유입되지만 유역변경식은 이름답게 취수된 강과 다른 수계로 흘러나간다. 한국지리 시간에는 동고서저 지형을 이용한 강릉수력발전소가 주로 언급되며 섬진강 유역에서는 일제강점기 때부터 써먹었다. 대한민국 최고령 수력발전소인 보성강수력발전소도 이 유형이다.
 
* '''댐수로식'''
 
댐식과 수로식의 기능을 혼합한 것으로 하천의 중, 상류지역에 적합하다. 하천이 완만한 경사로부터 급한 경사로 또한 굴곡이 많은 하천 유로로 바뀌어지는 지점에 설치되는 댐으로부터 수로로써 물을 취수하여 댐과 수로의 낙차를 함께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식이다. 화천, 소양강, 안흥, 강릉수력 등이 이 방식이다.
 
* '''양수발전'''
 
하부 저수지에 저수되어 있는 물을 높은 곳에 자리 잡은 상부 저수지로 일단 양수하였다가 주간 또는 야간의 첨두부하시(Peak Time) 또는 계통 고장때 이 물을 다시 하부 저수지로 내려 보내 발전하는 방식이다. 전력 소비가 가장 적은 심야 시간에 값싼 전력을 동력으로 이용하는 만큼 첨두부하 운전과 대형화력, 원자력 발전소의 효율 향상 및 예비전력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양수발전은 특히 대규모 정전(블랙아웃)이 발생하였을 때 바로 대용량 전기를 생산하여 고품질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운전중인 발전소는 무주양수, 청평양수, 삼랑진양수 등이다.<ref>박장수, 〈[http://m.kienews.com/news/newsview.php?ncode=1065585503538175 재생에너지시리즈/수력발전]〉, 《에너지단열경제》, 2019-12-30</ref>
 
 
==국내 수력발전소==
 
국내 최초의 수력발전소는 구한말 평안북도 운산군 운산금광의 부대시설로 설치된 운산수력발전소이다. 500kW급으로 당시에는 최첨단 대용량 발전소였다. 대한민국에서 현재 가동되는 수력발전소 중 가장 오래된 곳은 전라남도 보성군의 보성강수력발전소이다. 1937년에 준공되어 남한 최장수 발전소로 규모가 작아 타지역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각 웹 지도 위성사진에서도 발전소라고 가리는 거 없이 대놓고 보여주고 한국지리 교과서에 있는 전국 수력발전소 발전량 지도에서도 존재조차 안 알려 준다. 섬진강의 지류인 보성강 유역과 바닷가는 고도차가 많이 난다. 탐진강, 벌교천, 순천동천 등 남해안에서 발원하는 근처 하천들이 남해로 바로 흘러가는 것과 달리 보성강은 내륙 방향인 북동쪽으로 흐르다가 곡성에서야 섬진강과 만나 남하한다. 곡성, 구례보다도 수계상 위가 되는 곳이라, 전체적으로 고도가 높지 않은 전남에서 보성강 유역과 바닷가의 고도차는 많이 난다 볼 수 있다. 이 발전소는 보성강 물을 막아서 그 물을 바다 쪽인 득량으로 보내 낙차를 얻어 발전을 하는 유역변경식 발전소로, 발전을 하고 배출되는 물은 득량만 간척지의 농업용수로 공급된다. 한국수력원자력 한강수력본부는 산하에 화천수력, 춘천수력, 의암수력, 청평수력, 팔당수력, 칠보수력, 강릉수력, 강림수력, 괴산수력, 보성강수력 등 10개 발전소 28기 603MW 규모를 운영하고 있으며 연간 발전량(10년 평균) 1,473GWh를 생산하고 있다.
 
* '''수력발전소 설비현황'''
 
:{|class=wikitable width=800
 
!align=center|구분
 
|align=center|화천
 
|align=center|춘천
 
|align=center|의암
 
|align=center|청평
 
|align=center|팔당
 
|align=center|칠보
 
|align=center|보성강
 
|align=center|괴산
 
|align=center|강림
 
|align=center|강릉
 
|-
 
!align=center|설비용량(MW)
 
|align=center|108(4기)
 
|align=center|62.28 (2기)
 
|align=center|48(2기)
 
|align=center|140.1(4기)
 
|align=center|120(4기)
 
|align=center|35.4(3기)
 
|align=center|4.5(2기)
 
|align=center|2.8(2기)
 
|align=center|0.48(3기)
 
|align=center|82(2기)
 
|-
 
!align=center|저수량(백만㎥)
 
|align=center|1,018
 
|align=center|150
 
|align=center|80
 
|align=center|185.5
 
|align=center|244
 
|align=center|438
 
|align=center|5.7
 
|align=center|15.3
 
|align=center|0.07
 
|align=center|51.4
 
|-
 
!align=center|시설년도(년)
 
|align=center|1944
 
|align=center|1965
 
|align=center|1967
 
|align=center|1943(2011)
 
|align=center|1972
 
|align=center|1945(1965)
 
|align=center|1937
 
|align=center|1957
 
|align=center|1978
 
|align=center|1990
 
|-
 
|}<ref>〈[https://www.khnp.co.kr/content/220/main.do?mnCd=FN060202 수력일반현황]〉, 《한국수력원자력》</ref>
 
 
==발전량 조절 순발력==
 
[[태양광]]이나 [[풍력]]과 같이 발전 시작을 제어할 수 없는 발전 방식을 제외하면 수력발전소는 타 발전소에 비해 엄청난 전력 제어 순발력을 자랑한다. 수력발전소는 닫혀있는 워터 밸브를 열자마자 순식간에 발전기를 가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속도가 매우 빠르고 민첩하기 때문에 전력 부하의 변동이 잦을 경우 수력발전소를 우선으로 워멕에서 지시를 내려 부하 보상을 하게 된다.
 
* '''수소전지발전소''': 최대출력까지 1시간
 
* '''[[화력발전소]]''': 최대출력까지 4시간
 
* '''[[원자력발전소]]''': 최대출력까지 1일. 단, pulse를 사용해 원자로 출력을 초고속으로 상승시킬 경우.
 
* '''수력발전소''': 10초~1분
 
  
 
{{각주}}
 
{{각주}}
130번째 줄: 57번째 줄:
 
* 〈[https://namu.wiki/w/%EC%88%98%EB%A0%A5%EB%B0%9C%EC%A0%84%EC%86%8C 수력발전소]〉,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C%88%98%EB%A0%A5%EB%B0%9C%EC%A0%84%EC%86%8C 수력발전소]〉, 《나무위키》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15191&cid=40942&categoryId=32375 수력발전소]〉,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15191&cid=40942&categoryId=32375 수력발전소]〉,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835808&cid=49074&categoryId=49074 수력 발전소의 단면]〉,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en.wikipedia.org/wiki/Hydroelectricity#Generating_methods Hydroelectricity]", ''Wikipedia''
 
* "[https://en.wikipedia.org/wiki/Hydroelectricity#Generating_methods Hydroelectricity]", ''Wikipedia''
* 임선택,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DIKO0014435375&dbt=DIKO 기후변화에 따른 수력발전소 연간 발전량 재산정 연구 : 소양강 수력발전소를 중심으로]〉, 《사이언스온》
 
* 한국전력, 〈[https://blog.kepco.co.kr/912 전기 생산의 중심, 발전소에 대해 알아보자 (2부) 수력발전]]〉, 《한국전력 블로그 굿모닝 KEPCO!》, 2017-03-29
 
* 〈[https://www.btenergy.net/blank-11 현 수력 발전 원리]〉, 《비티에너지》
 
* 박장수, 〈[http://m.kienews.com/news/newsview.php?ncode=1065585503538175 재생에너지시리즈/태양광발전]〉, 《에너지단열경제》, 2019-12-30
 
* 〈[https://www.khnp.co.kr/content/220/main.do?mnCd=FN060202 수력일반현황]〉, 《한국수력원자력》
 
  
 
==같이 보기==
 
==같이 보기==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