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양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 개요 ==
 
== 개요 ==
안내양은 [[버스]]에서 승객에게 하차지를 안내하고 승객으로부터 버스 요금 징수와 버스의 출입문을 열고 닫는 직업의 여성이다. 안내의 범위는 넓지만 주로 버스 승객의 안전과 편의를 도모하는 안내자를 말한다. 버스 안내양에는 [[시내버스]]·[[고속버스]]·[[관광버스]] 안내양이 있는데, 오늘날에는 시내버스 안내양과 고속버스 안내양은 찾아보기가 어렵다. 고속버스 안내양은 차량의 방송시설을 이용해 안전에 대한 승객들의 관심을 환기시키는 일을 주된 봉사 내용으로 하며, 관광버스 안내양은 관광지 소개와 설명을 가장 큰 노릇으로 삼았다. 대한민국 버스 안내양은 1920년대 후반, 서울부영버스가 운행하면서 처음으로 여차장이라는 이름을 등장시켰는데, 1930년 당시 서울의 여차장 수가 48명이었다는 기록도 있다. 당시 여차장 복장은 치마에 허리띠를 맨 양복 형태의 제복을 입었으며 가죽 장화에 가죽 가방을 메었다고 한다. 안내양 자격을 보면, 과거 시내버스 안내양은 일정 수준의 학력이 필요하지 않았으나 고속버스와 관광버스 안내양의 경우에는 고졸 이상의 학력이 필요하다. 아울러 언어구사 능력, 사교술, 장시간 여행과 다양한 승객과의 대인관계에 필요한 인내력 등이 상당히 중시된다. 국내에는 자격증 제도가 없으나 외국인 전용 관광버스에 종사하는 안내원의 경우는 통역안내원 자격이 있어야 하는데, 한국관광공사가 주관하는 1차와 2차 시험을 모두 통과해야 한다. 이들의 작업조건은 승객의 상태에 맞추어야 하므로, 예를 들어 봄·가을 그리고 휴가철에는 관광객이 많으므로 출장이 잦으며, 한 번 출장을 떠나면 장기간 체류하거나 또는 수행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원만한 대인관계 및 타지 적응력 등이 특히 중요하다. 오랜 시간 차를 타거나 걷는 경우가 많으므로 차멀미를 한다거나 하체가 약한 사람은 적격자라고 할 수 없다. 1987년 말에는 안내양이 3만여 명에 달하였으나, 그 후 서울을 비롯한 도시지역에서는 승객 스스로가 요금을 내고 타는 자율버스가 등장하면서 거의 사라졌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9592&cid=46634&categoryId=46634 안내양]〉, 《네이버 지식백과》 </ref>
+
안내의 범위는 넓지만 주로 버스 승객의 안전과 편의를 도모하는 안내자를 말한다. 버스 안내양에는 시내버스·고속버스·관광버스 안내양이 있는데, 오늘날에는 시내버스 안내양과 고속버스 안내양은 찾아보기가 어렵다. 고속버스 안내양은 차량의 방송시설을 이용, 안전에 대한 승객들의 관심을 환기시키는 일을 주된 봉사내용으로 하며, 관광버스 안내양은 관광지 소개와 설명을 가장 큰 노릇으로 삼고 있다. 대한민국 버스 안내양은 1920년대 후반, 서울부영버스가 운행하면서 처음으로 여차장이라는 이름을 등장시켰는데, 1930년 당시 서울의 여차장 수가 48명이었다는 기록도 있다. 당시 여차장 복장은 치마에 허리띠를 맨 양복 형태의 제복을 입었으며 가죽 장화에 가죽 가방을 메었다고 한다. 안내양 자격을 보면, 과거 시내버스 안내양은 일정 수준의 학력이 필요하지 않았으나 고속버스와 관광버스 안내양의 경우에는 고졸 이상의 학력이 필요하다. 아울러 언어구사 능력, 사교술, 장시간 여행과 다양한 승객과의 대인관계에 필요한 인내력 등이 상당히 중시된다. 국내에는 자격증 제도가 없으나 외국인 전용 관광버스에 종사하는 안내원의 경우는 통역안내원 자격이 있어야 하는데, 한국관광공사가 주관하는 1차와 2차 시험을 모두 통과해야 한다. 이들의 작업조건은 승객의 상태에 맞추어야 하므로, 예를 들어 봄·가을 그리고 휴가철에는 관광객이 많으므로 출장이 잦으며, 한 번 출장을 떠나면 장기간 체류하거나 또는 수행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원만한 대인관계 및 타지 적응력 등이 특히 중요하다. 오랜 시간 차를 타거나 걷는 경우가 많으므로 차멀미를 한다거나 하체가 약한 사람은 적격자라고 할 수 없다. 1987년 말에는 안내양이 3만여 명에 달하였으나, 그 후 서울을 비롯한 도시지역에서는 승객 스스로가 요금을 내고 타는 자율버스가 등장하면서 거의 사라졌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9592&cid=46634&categoryId=46634 안내양]〉, 《네이버 지식백과》 </ref>
  
 
== 등장배경 ==
 
== 등장배경 ==
 
국내의 안내양은 1920년대 후반 처음 등장했다. 당시 시청버스였던 서울부영버스에 처음으로 버스안내양이 등장했다. 여차장이라고 부르던 그때 버스걸이라는 명칭도 등장하는데, 1928년 4월 22일 서울시청에서 운행하던 정식 시내버스 등장소식과 함께 조선일보에 이런 기사가 실렸다. "[[일본]]에 주문하였던 버스 10대도 도착하였고 버스걸과 [[운전자]]의 채용도 전부 완료하였으므로, 봄날의 꽃빛이 아주 무르녹는 오는 4월 22일 아침부터 영업을 개시하기로 되었다." 당시에 버스걸들은 매우 진취적이고 신식교육을 받은 젊은 여성들이었다. 양장 차림의 유니폼을 입고, 앞에는 차표 가방을 맨 채 승객들에게 표를 끓어주면서 살짝 미소를 짓는 버스걸의 인기는 금세 하늘로 치솟았다. 최고의 지성인으로 자부하던 대학생들 사이에서도 버스걸은 신부 후보감으로 첫손에 꼽혔다고 한다. [[운전기사]]가 최고의 신랑감 후보이던 시절이었음을 생각하면 이해가 되고도 남는 일이다. 1930년 서울의 버스안내양 숫자는 48명이었다. 이렇게 최고의 대접을 받으며 일제강점기에 처음 등장한 버스안내양은 광복이 되고 한동안 자취를 감추었다. 대신 남자 차장들이 등장하는데, 그들에게서 친절한 서비스는 기대할 수 없었다. 1959년 2월 24일 조선일보는 "24일 교통부에서 알려진 바에 의하면 오는 4월 초하루부터 서울 시내를 운행하는 600대 가까운 시내버스의 차장을 모조리 여차장으로 바꾼다"고 보도했다. 그 이유는 그동안 남자 차장들에 의하여 가끔 발생되는 눈에 거슬리는 행동을 없애기 위해서였다.<ref name="남애리"></ref>
 
국내의 안내양은 1920년대 후반 처음 등장했다. 당시 시청버스였던 서울부영버스에 처음으로 버스안내양이 등장했다. 여차장이라고 부르던 그때 버스걸이라는 명칭도 등장하는데, 1928년 4월 22일 서울시청에서 운행하던 정식 시내버스 등장소식과 함께 조선일보에 이런 기사가 실렸다. "[[일본]]에 주문하였던 버스 10대도 도착하였고 버스걸과 [[운전자]]의 채용도 전부 완료하였으므로, 봄날의 꽃빛이 아주 무르녹는 오는 4월 22일 아침부터 영업을 개시하기로 되었다." 당시에 버스걸들은 매우 진취적이고 신식교육을 받은 젊은 여성들이었다. 양장 차림의 유니폼을 입고, 앞에는 차표 가방을 맨 채 승객들에게 표를 끓어주면서 살짝 미소를 짓는 버스걸의 인기는 금세 하늘로 치솟았다. 최고의 지성인으로 자부하던 대학생들 사이에서도 버스걸은 신부 후보감으로 첫손에 꼽혔다고 한다. [[운전기사]]가 최고의 신랑감 후보이던 시절이었음을 생각하면 이해가 되고도 남는 일이다. 1930년 서울의 버스안내양 숫자는 48명이었다. 이렇게 최고의 대접을 받으며 일제강점기에 처음 등장한 버스안내양은 광복이 되고 한동안 자취를 감추었다. 대신 남자 차장들이 등장하는데, 그들에게서 친절한 서비스는 기대할 수 없었다. 1959년 2월 24일 조선일보는 "24일 교통부에서 알려진 바에 의하면 오는 4월 초하루부터 서울 시내를 운행하는 600대 가까운 시내버스의 차장을 모조리 여차장으로 바꾼다"고 보도했다. 그 이유는 그동안 남자 차장들에 의하여 가끔 발생되는 눈에 거슬리는 행동을 없애기 위해서였다.<ref name="남애리"></ref>
 
== 직무 ==
 
안내양 직무의 가장 중요한 일은 차비를 받는 일이었다. 대개 탈 때는 빨리빨리 많이 태워야 하므로 무조건 밀어 넣고, 내릴 때 차비를 받았다. 간혹 더 이상 자리가 없어 태워 주지 못하면 안내양을 끌어 내리고 타는 사람도 있었다. 막무가내 손님들 때문에 어쩔 줄 모르고 서 있으면 힘센 아저씨들이 대신해서 손님들을 밀어 넣어 주기도 했다. 그러고 나면 안내양들은 버스 문 옆의 양 손잡이를 잡고 매달려서 간다. 손님들이 탈 때는 대개 '어서 오세요' 정도의 인사말은 건넸다. 안내양들은 일종의 서비스직이었기 때문에 환영의 인사 정도는 당연히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반면 내릴 때는 일단 돈을 받는 게 급했기 때문에 인사는 생략했다. 시간에 쫓기니까 빨리빨리 내리게 하고 정확하게 차비를 받는 것이 중요했다. 대개 사람들은 버스 안내양을 떠올릴 때 버스 옆구리를 탕탕 치면서 '오라이' 하고 외치는 모습을 떠올린다. 이제 오라이라는 말은 버스 안내양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하나의 상징이 되었다. 오라이를 외치는 것에도 규칙이 있었다. 예를 들어 사람이 다 타면 문을 닫음과 동시에 다른 한 손으로 출입문 옆을 탕탕 두 번 두드리며 '오라잇!' 하고 외친다. 그러다가 멀리서 손님이 뛰어오는 것을 보면 탕 하고 한 번 두드리는데, 그 신호에 기사는 가던 차를 다시 멈춘다. 버스 안내양들이 오라이만 외쳤던 것은 아니다. 요즘은 노선도가 자세하고 또 차내 방송으로 내릴 곳을 정확히 알려 주지만, 당시에는 방송이 없었으므로 계속해서 다음 정차하는 곳을 버스 안내양이 알려야 했다. 사람을 태울 때도 정류장의 사람들에게 버스의 행선지를 알려 주는 것이 중요했다. 또 호객 행위도 해야 했다. 지금은 버스가 회사 소유이지만, 당시에는 지입차들이 많았다. 지입차의 경우 회사에서 월급을 받는 것이 아니라 손님을 태우는 만큼 수입이 생기기 때문에 무조건 많이 태우려고 했다. 그래서 지입차에 탈 때는 뒤차 배차도 앞차가 까먹었고, 한 명이라도 더 태우려고 정류장에서 대기하기도 했다. 지입차를 타고 다닐 때는 액수가 모자라면 일을 못 한다고 윽박을 받거나, 중간에 가로채지 않았냐고 의심을 받는 일도 종종 있었다. 버스 내부 청소도 안내양들의 몫이었다. 잠깐 쉬는 시간에 서둘러 청소를 끝내야 했다. 한 달에 한 번씩은 차 천장을 밤새 다 닦기도 했다. 버스기사는 운전만 할 뿐 나머지 일들은 전부 안내양들의 차지였다. 안내양들은 버스에서 내리면 그때그때 돈을 바로 사무실에 입금시켜야 했다. 당시 회수권도 일일이 세어서 입금시켜야 했기 때문에 쉬는 시간 5분, 10분은 눈 깜짝할 새에 지나갔다.<ref> 이가연, 〈[http://bu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busan&dataType=01&contents_id=GC04219171 버스에 매달린 버스 안내양]〉, 《부산역사문화대전》 </ref> 안내양은 하루 18시간 가까이 근무에 시달려야 했고, 평균 1만5,000원 수준의 낮은 임금을 받았다.<ref> 류호 기자,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1082515160005459 '오라이~' 이어 '짤랑' 소리도 안녕…사라진 버스의 옛 추억]〉, 《한국일보》, 2021-08-28 </ref>
 
  
 
== 처우 개선 ==
 
== 처우 개선 ==
23번째 줄: 20번째 줄:
 
* 남애리, 〈[https://theme.archives.go.kr/next/koreaOfRecord/guideGirl.do 버스안내양]〉,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 남애리, 〈[https://theme.archives.go.kr/next/koreaOfRecord/guideGirl.do 버스안내양]〉,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 김미정,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km/view.do?levelId=km_035_0100_0020_0020 18시간, 만원 버스 그리고 몸 수색]〉, 《우리역사넷》
 
* 김미정,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km/view.do?levelId=km_035_0100_0020_0020 18시간, 만원 버스 그리고 몸 수색]〉, 《우리역사넷》
* 이가연, 〈[http://bu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busan&dataType=01&contents_id=GC04219171 버스에 매달린 버스 안내양]〉, 《부산역사문화대전》
 
* 류호 기자,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1082515160005459 '오라이~' 이어 '짤랑' 소리도 안녕…사라진 버스의 옛 추억]〉, 《한국일보》, 2021-08-28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