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트루먼트 패널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6번째 줄: 46번째 줄:
 
===풀 패드===
 
===풀 패드===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전체를 패드가 부착된 구조로 설계하여 제작한 것으로써, 중량과 부피, 단가 등 모든 면에서 불리하나, 표면의 질감이 부드럽고 차량의 충돌 시 승객의 상해 가능성이 가장 낮다. 표피 재료의 부착방법에 따라 표면의 질감에 차이가 생기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여 표피 재료를 정교하게 제작하는 공법이 개발되었다.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전체를 패드가 부착된 구조로 설계하여 제작한 것으로써, 중량과 부피, 단가 등 모든 면에서 불리하나, 표면의 질감이 부드럽고 차량의 충돌 시 승객의 상해 가능성이 가장 낮다. 표피 재료의 부착방법에 따라 표면의 질감에 차이가 생기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여 표피 재료를 정교하게 제작하는 공법이 개발되었다.
중형 승용차 이상의 고급 승용차들은 모두 이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구조재는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제작되고 패드재에는 폴리우레탄 계열의 재료가, 표피재에는 PVC 계열의 재료가 사용되며, 드물게는 표피재를 천연가죽, 또는 직물을 수공업적인 방법으로 접착시키는 경우도 있다. 풀 패드 타입은 이와 같은 재료와 공법에 따라 기본적으로 세 개의 공정을 거쳐서 최종적인 제품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만들어진다.<ref>채영석, 〈[http://global-autonews.com/bbs/board.php?bo_table=bd_022&wr_id=41&page=43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제작 방법 1]〉, 《글로벌오토뉴스》, 2007-02-10</ref>
+
중형 승용차 이상의 고급 승용차들은 모두 이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구조재는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제작되고 패드재에는 폴리우레탄 계열의 재료가, 표피재에는 PVC 계열의 재료가 사용되며, 드물게는 표피재를 천연가죽, 또는 직물을 수공업적인 방법으로 접착시키는 경우도 있다. 풀 패드 타입은 이와 같은 재료와 공법에 따라 기본적으로 세 개의 공정을 거쳐서 최종적인 제품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만들어진다.
 +
<ref>채영석, 〈[http://global-autonews.com/bbs/board.php?bo_table=bd_022&wr_id=41&page=43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제작 방법 1]〉, 《글로벌오토뉴스》, 2007-02-10</ref>
  
 
{{각주}}
 
{{각주}}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