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차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2번째 줄: 12번째 줄:
  
 
===전간기===
 
===전간기===
전쟁 직후 전차의 종주국이었던 프랑스와 영국은 전차 발전을 주도하게 되었고 둘의 발전 방향은 달랐다. 프랑스는 1차 대전식 전차인 보병과 같이 돌진하는 개념의 초중다포탑 전차인 샤르(Char) 2C와 1인승 포탑을 가진 FT-17의 발전형을 만들었지만, 영국은 독립적인 전차부대 창성을 위한 실험적 전차부대를 창설하여 선진적인 전차 연구에 중점을 두면서 빅커스 미디엄 MK 1, 2 전차를 대공황기를 포함한 기간 동안 130~300대나 만들어 냈다. 특히 이 [[빅커스]] 전차는 전차장과 포수, 탄약수를 분리한 3인용 포탑, 제대로 된 서스펜션, 차체 기관총, 동축 기관총, 무전기 등 사실상 혼자서 2차 대전 구성을 정립하였고 해당 전차는 마틸다 전차의 차대로 활용하게 된다. 다포탑 저차 붐이 발생한 이유는 전간기에서 2차 대전 중기까지는 대전차포와 대보병포가 이원화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인디펜던트 전차]]를 본 독일과 소련이 이를 해답으로 여기고 인디펜던트 전차를 본받은 다포탑 전차들을 만들어 대전차포와 대보병포를 같이 장착했다. 이후 2차 대전 하는 동안 전차들에 대구경 주포가 장착되면서 이원화는 끝나기 시작한다. 그러나 이러한 다포탐 중전차는 당시의 기술로 실현이 가능할지 불확실하고 비싸기까지 했기 때문에 대공황의 여파로 경제가 어려웠던 국가들은 비교적 경장갑인 경전차 위주로 개발했고, 강대국들 또한 경전차를 중전차 완성의 공백을 메우는 방식으로 사용하게 되면서 전성기가 시작되었다. 다포탑 전차 붐이 끝나면서 중전차의 주류는 보병 전차와 순항 전차 체계로 이어졌는데, 영국과 프랑스는 같은 대전차주포를 장착한 대신에 장갑과 기동성을 기준으로 기동성을 중시한 순항 전차와 방어력을 중시한 보병 전차로 둘을 구현하려 했고, 독일은 가벼운 무게에 주포와 기동성을 기준으로 대전차포와 기동성을 중시한 주력 전차와 대보병포를 장착하고 신뢰성 높은 보조 전차 구현하려 했으며, 소련은 같은 대전차주포와 가벼운 무게에 생산성과 기동성을 기준으로 생산성이 좀 떨어져도 기동성이 좋은 쾌속 전차와 생산성이 매우 좋은 경보병 전차를 구현하려 했다.<ref name='나무위키'>〈[https://namu.wiki/w/%EC%A0%84%EC%B0%A8#s-1 전차]〉, 《나무위키》</ref> 제1차 세계대전에서 제2차 세계대전 하는 동안, 각국은 다가올 전쟁에서 새로운 육상전투를 예상하고 전차를 개발하게 되었다. 패전국 독일도,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전차의 개발은 금지되었지만, 농업 트랙터라고 위장하고 스웨덴에서 전차의 개발 연구를 하고, 또 당시의 국제 사회의 변두리자인 소련과 비밀 군사 협력 협정을 체결하고 [[T-28]] 같은 중형 전차를 개발해내 1930년대 대량생산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에서 제2차 세계대전 직전까지 개발된 전차는, 대부분 보병을 호위하려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ref name='위키'></ref>
+
전쟁 직후 전차의 종주국이었던 프랑스와 영국은 전차 발전을 주도하게 되었고 둘의 발전 방향은 달랐다. 프랑스는 1차 대전식 전차인 보병과 같이 돌진하는 개념의 초중다포탑 전차인 샤르(Char) 2C와 1인승 포탑을 가진 FT-17의 발전형을 만들었지만, 영국은 독립적인 전차부대 창성을 위한 실험적 전차부대를 창설하여 선진적인 전차 연구에 중점을 두면서 빅커스 미디엄 MK 1, 2 전차를 대공황기를 포함한 기간 동안 130~300대나 만들어 냈다. 특히 이 [[빅커스]] 전차는 전차장과 포수, 탄약수를 분리한 3인용 포탑, 제대로 된 서스펜션, 차체 기관총, 동축 기관총, 무전기 등 사실상 혼자서 2차 대전 구성을 정립하였고 해당 전차는 마틸다 전차의 차대로 활용하게 된다. 다포탑 저차 붐이 발생한 이유는 전간기에서 2차 대전 중기까지는 대전차포와 대보병포가 이원화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인디펜던트 전차]]를 본 독일과 소련이 이를 해답으로 여기고 인디펜던트 전차를 본받은 다포탑 전차들을 만들어 대전차포와 대보병포를 같이 장착했다. 이후 2차 대전 하는 동안 전차들에 대구경 주포가 장착되면서 이원화는 끝나기 시작한다. 그러나 이러한 다포탐 중전차는 당시의 기술로 실현이 가능할지 불확실하고 비싸기까지 했기 때문에 대공황의 여파로 경제가 어려웠던 국가들은 비교적 경장갑인 경전차 위주로 개발했고, 강대국들 또한 경전차를 중전차 완성의 공백을 메우는 방식으로 사용하게 되면서 전성기가 시작되었다. 다포탑 전차 붐이 끝나면서 중전차의 주류는 보병 전차와 순항 전차 체계로 이어졌는데, 영국과 프랑스는 같은 대전차주포를 장착한 대신에 장갑과 기동성을 기준으로 기동성을 중시한 순항 전차와 방어력을 중시한 보병 전차로 둘을 구현하려 했고, 독일은 가벼운 무게에 주포와 기동성을 기준으로 대전차포와 기동성을 중시한 주력 전차와 대보병포를 장착하고 신뢰성 높은 보조 전차 구현하려 했으며, 소련은 같은 대전차주포와 가벼운 무게에 생산성과 기동성을 기준으로 생산성이 좀 떨어져도 기동성이 좋은 쾌속 전차와 생산성이 매우 좋은 경보병 전차를 구현하려 했다. <ref name='나무위키'>〈[https://namu.wiki/w/%EC%A0%84%EC%B0%A8#s-1 전차]〉, 《나무위키》</ref> 제1차 세계대전에서 제2차 세계대전 하는 동안, 각국은 다가올 전쟁에서 새로운 육상전투를 예상하고 전차를 개발하게 되었다. 패전국 독일도,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전차의 개발은 금지되었지만, 농업 트랙터라고 위장하고 스웨덴에서 전차의 개발 연구를 하고, 또 당시의 국제 사회의 변두리자인 소련과 비밀 군사 협력 협정을 체결하고 [[T-28]] 같은 중형 전차를 개발해내 1930년대 대량생산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에서 제2차 세계대전 직전까지 개발된 전차는, 대부분 보병을 호위하려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ref name='위키'></ref>
  
 
===제2차 세계대전===
 
===제2차 세계대전===
194번째 줄: 194번째 줄:
  
 
본격적인 주력 전차는 냉전 시기에 등장하여 주력으로 사용한 2세대 전차들로 이때부터 분류 명칭 역시 중전차가 아닌 주력 전차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야간전투가 가능해졌으며 주무장에 스테빌라이저를 장착하고 기계식 탄도 계산기가 탑재되어 있다. 일부는 NBC 방호능력을 갖추었고 치프틴을 제외한 서구권 전차들의 대부분은 주무장으로 영국제 105mm L7을 장착했다. 이 시기 전차들은 대량생산에 적합하게 설계되었고 실제로 대량생산되었는데, 핵전쟁 상황은 극단적인 소모전을 의미하기도 하기 때문이었다. 다만 뛰어난 기동성이 2세대 전차의 특징이라고는 전혀 서술되어있지 않다. 장갑과 동력 기술이 어느 정도 발전된 1970년대에는 일본의 74식 전차나 영국의 [[빅커스 MBT]] 같은 포탑 쪽을 중심으로 적당한 방호력을 지니도록 설계하며, 동시에 적당한 기동성도 지닐 수 있도록 설계한 케이스들도 나왔다. 더불어 이런 전차들의 경우 기존 서구권 전차에서 사용하던 기계식 탄도 계산기와 영상합치식 거리측정기가 아닌, 컴퓨터 탄도 계산기와 레이저 거리측정기 등의 당대 최신예 사격 통제 장비들을 장착해 2세대 전차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 이렇게 그 시대에 맞춰 2세대 주력 전차는 다양한 개성을 갖게 된 것이었지만, 현대에 와서도 다양한 상황과 맞물려, 전차개발능력이 부족한 중소규모 군대를 가진 국가들이 여전히 2세대 전차를 구매하거나 계속 사용하고 있다. 이후에는 철도수송 이외의 수송 방법이 발달하여 주력 전차의 중량과 크기를 2차대전 후반의 중전차급으로 올릴 수 있게 된 것이고, 아직도 전차 수송 방법이 철도 이외에는 여의치 않는 곳은 전차의 크기를 철도수송에 맞춰 제한하며, 철도시설 자체도 열악한 곳은 자력 주행성이 뛰어난 경량형 2세대 전차나 소련의 주력 전차를 주로 사용하며 그마저도 어려운 경우 경전차를 사용하게 된다. 2세대 전차가 배치된 시점에서는 경전차와 중전차는 거의 폐지되었다. 경전차 특유의 수색 정찰 임무는 대부분 정찰 장갑차 및 기계화 보병으로 이관되었고, 중전차는 치프틴이 떡장과 120mm 포로 그 역할을 일부 계승한 것을 제외하면 그 존재가치가 소멸한 셈이었다. 다만 경전차의 개발이 완전히 끝난 것은 아니었다. 공수 전차 혹은 정찰 전차로서 경전차는 일부지만 계속 남아있었다. 미군은 경전차는 아니지만 이에 가까운 [[M551 셰리든]]을 개발하였고, 영국 또한 [[FV101 스콜피온]]을 개발하였다. 경전차의 수색 정찰 임무도 끝난 것이 아니라 1991년 걸프전 당시 82공수사단 소속[[M551 셰리든]]이 용도로 투입되었다.<ref>〈[https://namu.wiki/w/2%EC%84%B8%EB%8C%80%20%EC%A0%84%EC%B0%A8 2세대 전차]〉, 《나무위키》</ref>  
 
본격적인 주력 전차는 냉전 시기에 등장하여 주력으로 사용한 2세대 전차들로 이때부터 분류 명칭 역시 중전차가 아닌 주력 전차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야간전투가 가능해졌으며 주무장에 스테빌라이저를 장착하고 기계식 탄도 계산기가 탑재되어 있다. 일부는 NBC 방호능력을 갖추었고 치프틴을 제외한 서구권 전차들의 대부분은 주무장으로 영국제 105mm L7을 장착했다. 이 시기 전차들은 대량생산에 적합하게 설계되었고 실제로 대량생산되었는데, 핵전쟁 상황은 극단적인 소모전을 의미하기도 하기 때문이었다. 다만 뛰어난 기동성이 2세대 전차의 특징이라고는 전혀 서술되어있지 않다. 장갑과 동력 기술이 어느 정도 발전된 1970년대에는 일본의 74식 전차나 영국의 [[빅커스 MBT]] 같은 포탑 쪽을 중심으로 적당한 방호력을 지니도록 설계하며, 동시에 적당한 기동성도 지닐 수 있도록 설계한 케이스들도 나왔다. 더불어 이런 전차들의 경우 기존 서구권 전차에서 사용하던 기계식 탄도 계산기와 영상합치식 거리측정기가 아닌, 컴퓨터 탄도 계산기와 레이저 거리측정기 등의 당대 최신예 사격 통제 장비들을 장착해 2세대 전차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 이렇게 그 시대에 맞춰 2세대 주력 전차는 다양한 개성을 갖게 된 것이었지만, 현대에 와서도 다양한 상황과 맞물려, 전차개발능력이 부족한 중소규모 군대를 가진 국가들이 여전히 2세대 전차를 구매하거나 계속 사용하고 있다. 이후에는 철도수송 이외의 수송 방법이 발달하여 주력 전차의 중량과 크기를 2차대전 후반의 중전차급으로 올릴 수 있게 된 것이고, 아직도 전차 수송 방법이 철도 이외에는 여의치 않는 곳은 전차의 크기를 철도수송에 맞춰 제한하며, 철도시설 자체도 열악한 곳은 자력 주행성이 뛰어난 경량형 2세대 전차나 소련의 주력 전차를 주로 사용하며 그마저도 어려운 경우 경전차를 사용하게 된다. 2세대 전차가 배치된 시점에서는 경전차와 중전차는 거의 폐지되었다. 경전차 특유의 수색 정찰 임무는 대부분 정찰 장갑차 및 기계화 보병으로 이관되었고, 중전차는 치프틴이 떡장과 120mm 포로 그 역할을 일부 계승한 것을 제외하면 그 존재가치가 소멸한 셈이었다. 다만 경전차의 개발이 완전히 끝난 것은 아니었다. 공수 전차 혹은 정찰 전차로서 경전차는 일부지만 계속 남아있었다. 미군은 경전차는 아니지만 이에 가까운 [[M551 셰리든]]을 개발하였고, 영국 또한 [[FV101 스콜피온]]을 개발하였다. 경전차의 수색 정찰 임무도 끝난 것이 아니라 1991년 걸프전 당시 82공수사단 소속[[M551 셰리든]]이 용도로 투입되었다.<ref>〈[https://namu.wiki/w/2%EC%84%B8%EB%8C%80%20%EC%A0%84%EC%B0%A8 2세대 전차]〉, 《나무위키》</ref>  
 
+
*'''2.5세대 전차''' : 2세대 주력 전차보다 강력해진 화포를 탑재하였고, 레이저 거리측정기와 디지털 탄도 컴퓨터로 대표되는 현대적인 사격통제장치가 장착되었다. 특히 T-72는 경량화와 125mm급 화포로 당시 강력한 화력과 기동력으로 자유 세계를 놀라게 해 3세대 주력 전차의 기폭제로 여겼다. 하지만 나중에는 걸프 전쟁과 이라크전쟁 때 3세대 주력 전차에 격파당해 성능이 과소평가되기도 했다.
===2.5세대===
 
2.5세대 전차는 2세대 주력 전차보다 강력해진 화포를 탑재하였고, 레이저 거리측정기와 디지털 탄도 컴퓨터로 대표되는 현대적인 사격통제장치가 장착되었다. 특히 T-72는 경량화와 125mm급 화포로 당시 강력한 화력과 기동력으로 자유 세계를 놀라게 해 3세대 주력 전차의 기폭제로 여겼다. 하지만 나중에는 걸프 전쟁과 이라크전쟁 때 3세대 주력 전차에 격파당해 성능이 과소평가되기도 했다.
 
  
 
===3세대===
 
===3세대===
209번째 줄: 207번째 줄:
  
 
==분류==
 
==분류==
 +
===주력 전차===
 
[[파일:주력전차.jpg|썸네일|259픽셀|'''주력전차'''(TBK)]]
 
[[파일:주력전차.jpg|썸네일|259픽셀|'''주력전차'''(TBK)]]
 
[[파일:경전차.jpg|썸네일|259픽셀|'''경전차'''(Light Tank)]]
 
[[파일:경전차.jpg|썸네일|259픽셀|'''경전차'''(Light Tank)]]
217번째 줄: 216번째 줄:
 
[[파일:구축전차.jpg|썸네일|259픽셀|'''구축전차''']]
 
[[파일:구축전차.jpg|썸네일|259픽셀|'''구축전차''']]
  
===주력 전차===
 
 
주력 전차(Main Battle Tank, MBK)는 제2차 세계대전말 대전차용, 보병지원용, 방어용, 공격용 등 다양하게 구분하다가 중전차(26~55 톤)을 기본으로 경전차의 민첩성과 적진돌파를 위해 파괴력과 방호력을 갖춘 중전차로 구분한다. 현대의 주력 전차는 국가마다 전장환경과 전술적 운용개념에 따라 달리하고 있다. 이스라엘 전차는 사막의 작전환경을 고려 에어 필터(Air Filter) 장치가 필요하며, 서독과 프랑스의 주력 전차는 대평원에서 더 빠르면서도 장거리 항송능력을 갖춘 전차가 필요하고, 일본은 산이 많은 관계로 주포의 고저각 사격이 요구되어 74식 전차에 고가의 유기압 현수장치를 채택하는 발상이 나왔다. 또한, 전술적 운용개념의 차이에 따라 주력 전차의 요건은 크게 다르다. 전통적으로 방어를 중시하는 영국 기동력을 희생하고 방호력을 중요시한 주력 전차를 채택하여 치프테인 전차는 차체와 포탑의 총중량이 전차 중량의 52%를 차지하는 중장갑으로 설계되어 있어 기동성이 떨어지며, 프랑스는 제2차 세계대전 중에 나치 독일군에 의한 전격전을 경험한 탓으로 무엇보다도 기동력을 추구한 주력 전차를 채택하고 있는 경향이다. 미국은 생존성을 최우선으로, 러시아는 대화력 위주로 발전해왔다고 볼 수 있다.<ref name=김장흠></ref>
 
주력 전차(Main Battle Tank, MBK)는 제2차 세계대전말 대전차용, 보병지원용, 방어용, 공격용 등 다양하게 구분하다가 중전차(26~55 톤)을 기본으로 경전차의 민첩성과 적진돌파를 위해 파괴력과 방호력을 갖춘 중전차로 구분한다. 현대의 주력 전차는 국가마다 전장환경과 전술적 운용개념에 따라 달리하고 있다. 이스라엘 전차는 사막의 작전환경을 고려 에어 필터(Air Filter) 장치가 필요하며, 서독과 프랑스의 주력 전차는 대평원에서 더 빠르면서도 장거리 항송능력을 갖춘 전차가 필요하고, 일본은 산이 많은 관계로 주포의 고저각 사격이 요구되어 74식 전차에 고가의 유기압 현수장치를 채택하는 발상이 나왔다. 또한, 전술적 운용개념의 차이에 따라 주력 전차의 요건은 크게 다르다. 전통적으로 방어를 중시하는 영국 기동력을 희생하고 방호력을 중요시한 주력 전차를 채택하여 치프테인 전차는 차체와 포탑의 총중량이 전차 중량의 52%를 차지하는 중장갑으로 설계되어 있어 기동성이 떨어지며, 프랑스는 제2차 세계대전 중에 나치 독일군에 의한 전격전을 경험한 탓으로 무엇보다도 기동력을 추구한 주력 전차를 채택하고 있는 경향이다. 미국은 생존성을 최우선으로, 러시아는 대화력 위주로 발전해왔다고 볼 수 있다.<ref name=김장흠></ref>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