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릉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구리 동구릉 현릉 전경.jpg|썸네일|300픽셀|동구릉의 현릉, 건원릉(왼쪽), 목릉(오른쪽)]]
+
[[파일:구리 동구릉 현릉 전경.jpg|썸네일|300픽셀|구리 동구릉 현릉 전경]]
  
 
'''조선왕릉'''(朝鮮王陵,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은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 추존왕들의 무덤을 총칭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1897년에 수립된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와 황후의 무덤도 포함된다. 조선왕릉은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의 왕릉 제도의 영향을 받았는데, [[고구려]]의 호석(護石)제도는 [[신라]]와 [[고려]]를 거쳐 조선왕릉에 그대로 전해졌고, 조선왕릉의 전체적인 형태는 공민왕의 무덤인 현정릉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다. 조선왕릉은 한국 역대 왕조의 왕릉들 중 보존 상태가 가장 양호하다. 왕과 왕비들의 능이 모두 완전한 보존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조선 시대의 왕자와 공주, 후궁들의 무덤까지 함께 보존되어 있으며, [[국조오례의]], [[경국대전]], [[의궤]]와 같은 조선왕릉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과 각 왕릉들의 조성과정에 들었던 인력, 그리고 도구에 대한 상세한 기록까지 보존되어 있어 조선 시대의 장례 문화와 조선왕릉의 규정 및 역사, 조선왕릉의 제례 과정 등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록을 바탕으로 조선왕릉에서는 때마다 제례 의식을 치르고 있어 조선 시대의 무형적인 문화와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조선왕릉'''(朝鮮王陵,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은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 추존왕들의 무덤을 총칭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1897년에 수립된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와 황후의 무덤도 포함된다. 조선왕릉은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의 왕릉 제도의 영향을 받았는데, [[고구려]]의 호석(護石)제도는 [[신라]]와 [[고려]]를 거쳐 조선왕릉에 그대로 전해졌고, 조선왕릉의 전체적인 형태는 공민왕의 무덤인 현정릉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다. 조선왕릉은 한국 역대 왕조의 왕릉들 중 보존 상태가 가장 양호하다. 왕과 왕비들의 능이 모두 완전한 보존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조선 시대의 왕자와 공주, 후궁들의 무덤까지 함께 보존되어 있으며, [[국조오례의]], [[경국대전]], [[의궤]]와 같은 조선왕릉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과 각 왕릉들의 조성과정에 들었던 인력, 그리고 도구에 대한 상세한 기록까지 보존되어 있어 조선 시대의 장례 문화와 조선왕릉의 규정 및 역사, 조선왕릉의 제례 과정 등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록을 바탕으로 조선왕릉에서는 때마다 제례 의식을 치르고 있어 조선 시대의 무형적인 문화와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35번째 줄: 35번째 줄:
  
 
==== 능침 공간 ====
 
==== 능침 공간 ====
[[파일:건원릉 능침.png|썸네일|300픽셀|건원릉 능침]]
 
 
성역공간이라고도 하며, 경사면이 완만한 언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언덕은 고려왕릉에서 유래되었다. 장대석(長臺石)에 의해 능침 공간은 하계, 중계, 상계로 나뉘는데, 하계에는 봉분을 지키는 무인석과 석마 한 쌍이 있고, 중계에는 능 주인의 명을 받드는 문인석과 석마 한 쌍, 장명등(長明燈)이 있다. 상계에는 봉분(封墳)을 중심으로 혼이 쉬는 공간인 혼유석(魂遊石)이 봉분 앞에 있고, 봉분의 양 쪽에는 망주석(望柱石)이 하나씩 있다. 망주석에 대해서는 혼령이 봉분을 찾는 표지설과 음양의 조화설, 풍수적 기능설 등의 주장들이 있다.
 
성역공간이라고도 하며, 경사면이 완만한 언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언덕은 고려왕릉에서 유래되었다. 장대석(長臺石)에 의해 능침 공간은 하계, 중계, 상계로 나뉘는데, 하계에는 봉분을 지키는 무인석과 석마 한 쌍이 있고, 중계에는 능 주인의 명을 받드는 문인석과 석마 한 쌍, 장명등(長明燈)이 있다. 상계에는 봉분(封墳)을 중심으로 혼이 쉬는 공간인 혼유석(魂遊石)이 봉분 앞에 있고, 봉분의 양 쪽에는 망주석(望柱石)이 하나씩 있다. 망주석에 대해서는 혼령이 봉분을 찾는 표지설과 음양의 조화설, 풍수적 기능설 등의 주장들이 있다.
  
1,300번째 줄: 1,299번째 줄:
 
<youtube>bckBG8uWIcA</youtube>
 
<youtube>bckBG8uWIcA</youtube>
 
<youtube>HCZ_ixaT_bM</youtube>
 
<youtube>HCZ_ixaT_bM</youtube>
 
== 지도 ==
 
{{지도|조선왕릉전시관}}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조선왕릉 홈페이지 - https://royaltombs.cha.go.kr/cha/idx/SubIndex.do?mn=RT
 
*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조선왕릉 홈페이지 - https://royaltombs.cha.go.kr/cha/idx/SubIndex.do?mn=RT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조선왕릉 디지털 백과 - https://portal.nrich.go.kr/royalTomb/intro/index.jsp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조선왕릉 디지털 백과 - https://portal.nrich.go.kr/royalTomb/intro/index.jsp
* 〈[https://heritage.unesco.or.kr/%EC%A1%B0%EC%84%A0-%EC%99%95%EB%A6%89/ 조선왕릉]〉, 《유네스코와 유산》
 
* 〈https://www.mcst.go.kr/usr/child/s_culture/traditional/heritage.jsp?pMenuCD=4102020209 한국의 세계유산 - 조선왕릉]〉, 《문화체육관광부》
 
* 〈[https://namu.wiki/w/%EC%A1%B0%EC%84%A0%EC%99%95%EB%A6%89 조선왕릉]〉, 《나무위키》
 
* 〈[https://ko.wikipedia.org/wiki/%EC%A1%B0%EC%84%A0%EC%99%95%EB%A6%89#%EC%9E%A5%EB%A1%80%EC%99%80_%EC%99%95%EB%A6%89_%EC%A1%B0%EC%84%B1_%EA%B3%BC%EC%A0%95 조선왕릉]〉, 《위키백과》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1,331번째 줄: 1,323번째 줄:
 
* [[광릉]] (경기도 남양주)
 
* [[광릉]] (경기도 남양주)
  
{{한국관광지|검토 필요}}
+
{{한국관광지|추가 필요}}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