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감온도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0번째 줄: 20번째 줄:
 
체감온도는 낮은 기온상태에서 바람에 의하여 추위를 더 느끼게 되는 효과를 반영하여 피부가 느끼는 기온을 표현한 것이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체감온도 산출식은 2001년 8월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Joint Action Group for Temperature Indices (JAG/TI) 회의에서 발표된 것으로 미국과 캐나다 등 북아메리카 국가들을 중심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JAG/TI 모델은 캐나다인 자원봉사자 12명(남 6, 여 6)의 풍동실험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발되었다. 실험의 조건은 10m 높이의 풍속계에서 관측된 값을 일반적인 성인 얼굴 높이인 5피트 높이로 환산하고, 사람의 얼굴 모델(human face model)을 기반으로 하여 현대 열전달 이론(바람이 부는 날에 피부에서 일어나는 열손실)을 도입하였으며, 기준 풍속(calm wind)은 1.3m/s(3mph)로 설정하였다. 피부 조직 저항에 대한 일관성있는 표준을 사용하였고, 일사량의 영향은 없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체감온도를 표현하는 식은 mph단위의 풍속과 화씨단위의 기온을 사용하는 식과 km/h 섭씨를 사용하는 식이 있다.
 
체감온도는 낮은 기온상태에서 바람에 의하여 추위를 더 느끼게 되는 효과를 반영하여 피부가 느끼는 기온을 표현한 것이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체감온도 산출식은 2001년 8월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Joint Action Group for Temperature Indices (JAG/TI) 회의에서 발표된 것으로 미국과 캐나다 등 북아메리카 국가들을 중심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JAG/TI 모델은 캐나다인 자원봉사자 12명(남 6, 여 6)의 풍동실험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발되었다. 실험의 조건은 10m 높이의 풍속계에서 관측된 값을 일반적인 성인 얼굴 높이인 5피트 높이로 환산하고, 사람의 얼굴 모델(human face model)을 기반으로 하여 현대 열전달 이론(바람이 부는 날에 피부에서 일어나는 열손실)을 도입하였으며, 기준 풍속(calm wind)은 1.3m/s(3mph)로 설정하였다. 피부 조직 저항에 대한 일관성있는 표준을 사용하였고, 일사량의 영향은 없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체감온도를 표현하는 식은 mph단위의 풍속과 화씨단위의 기온을 사용하는 식과 km/h 섭씨를 사용하는 식이 있다.
  
[[파일:체감온도 산출식.png|썸네일|600픽셀|가운데|체감온도 산출식]]  
+
[[파일:체감온도 산출식.png|썸네일|300픽셀|가운데|체감온도 산출식]]  
  
 
여기서, Ta는 섭씨단위의 기온이고, V는 10m 높이의 풍속으로 km/h 단위의 값을 사용하여 기온과 풍속을 고려하여 체감지수가 결정된다. 현재 기상청에서는 이 JAG/TI에서 개발한 모델을 대한민국에 도입하여 겨울철 체감온도를 생활기상지수로 제공하고 있다.<ref name="기상학백과"></ref>
 
여기서, Ta는 섭씨단위의 기온이고, V는 10m 높이의 풍속으로 km/h 단위의 값을 사용하여 기온과 풍속을 고려하여 체감지수가 결정된다. 현재 기상청에서는 이 JAG/TI에서 개발한 모델을 대한민국에 도입하여 겨울철 체감온도를 생활기상지수로 제공하고 있다.<ref name="기상학백과"></ref>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