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닛"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5번째 줄: 5번째 줄:
 
==보닛 위치==
 
==보닛 위치==
 
보닛의 위치는 엔진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이를 크게 전면 보닛과 후면 보닛으로 나눌 수 있다. 앞쪽에서 여는 방식은 엔진룸 작업이 수월하다는 이점이 있지만, 고속으로 달리고 있을 때 문이 열리면서 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반대로 뒷쪽에서 여는 방식은 엔진룸의 작업은 어렵지만, 달리는 도중에 보닛이 열려도 사고의 위험성이 비교적 낮은 편이다.<ref name="두산"></ref> 엔진이 운전석 아래에 있는 유럽권 또는 아시아권의 대형 트럭은 캡오버타입(Cap over type)이라 부르며 일반적으로 보닛의 개념이 없다. 대신 운전석 부분을 꺾어서 들어올릴 수 있는 틸팅캡(Cabin)이 있어 비교적 정비하기 쉬우며, 소모품류는 작은 보닛을 앞 부분에 달아 주입구를 두고 사용하는 편이다.<ref name="나무"></ref> 보닛타입의 트럭도 있는데 대부분 북미지역에서 사용된다. 이는 엔진이 위치한 보닛이 앞으로 튀어나와 있는 일반 자동차와 형태가 비슷한다. 컨밴셔널타입(Conventional Type) 트럭이라고도 부른다. 보닛타입과 캡오버타입의 중간 형태로 세미보닛타입의 트럭도 있다.<ref> 박현욱 기자, 〈[http://www.cvinfo.com/news/articleView.html?idxno=8772 (지식 in) 트럭 형상에 따라 달라지는 차량 특성]〉, 《상용차신문》, 2018-06-21</ref>
 
보닛의 위치는 엔진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이를 크게 전면 보닛과 후면 보닛으로 나눌 수 있다. 앞쪽에서 여는 방식은 엔진룸 작업이 수월하다는 이점이 있지만, 고속으로 달리고 있을 때 문이 열리면서 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반대로 뒷쪽에서 여는 방식은 엔진룸의 작업은 어렵지만, 달리는 도중에 보닛이 열려도 사고의 위험성이 비교적 낮은 편이다.<ref name="두산"></ref> 엔진이 운전석 아래에 있는 유럽권 또는 아시아권의 대형 트럭은 캡오버타입(Cap over type)이라 부르며 일반적으로 보닛의 개념이 없다. 대신 운전석 부분을 꺾어서 들어올릴 수 있는 틸팅캡(Cabin)이 있어 비교적 정비하기 쉬우며, 소모품류는 작은 보닛을 앞 부분에 달아 주입구를 두고 사용하는 편이다.<ref name="나무"></ref> 보닛타입의 트럭도 있는데 대부분 북미지역에서 사용된다. 이는 엔진이 위치한 보닛이 앞으로 튀어나와 있는 일반 자동차와 형태가 비슷한다. 컨밴셔널타입(Conventional Type) 트럭이라고도 부른다. 보닛타입과 캡오버타입의 중간 형태로 세미보닛타입의 트럭도 있다.<ref> 박현욱 기자, 〈[http://www.cvinfo.com/news/articleView.html?idxno=8772 (지식 in) 트럭 형상에 따라 달라지는 차량 특성]〉, 《상용차신문》, 2018-06-21</ref>
 +
==개폐방식==

2021년 8월 13일 (금) 11:41 판

보닛(Bonnet)은 차량 전면의 엔진룸이나 뒤쪽의 트렁크를 덮고 있는 열었다 닫았다 할 수 있는 덮개다.[1]

개요

보닛은 엔진부를 덮고있는 위의 뚜껑을 말한다. 앞쪽에서 열리는 것과 뒤쪽에서 열리는 것이 있다. 전면과 후면 모두 통칭하여 보닛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해외에서는 보통 엔진이 후방에 위치한 차량의 엔진 구획 덮개를 부를 때는 엔진 커버라고 부른다. 과거에는 주로 본네트라고 불렀는데 일본식 표기로 보닛이 표준어다.[2] 보닛이라는 명칭은 초기 자동차의 덮개 모양이 챙이 없는 모자와 비슷한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영국식 영어 표현이다. 북미에서는 흔히 후드(Hood) 또는 엔진후드(Engine hood)라고 부른다. 보닛의 개폐 방식은 차량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보닛은 차체 외장 중에서 차량의 강도나 강성에서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경량화가 필요할 때는 FRP(섬유강화 플라스틱)나 알루미늄, 탄소섬유같이 경량 소재를 사용하기도 한다.[3]

보닛 위치

보닛의 위치는 엔진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이를 크게 전면 보닛과 후면 보닛으로 나눌 수 있다. 앞쪽에서 여는 방식은 엔진룸 작업이 수월하다는 이점이 있지만, 고속으로 달리고 있을 때 문이 열리면서 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반대로 뒷쪽에서 여는 방식은 엔진룸의 작업은 어렵지만, 달리는 도중에 보닛이 열려도 사고의 위험성이 비교적 낮은 편이다.[1] 엔진이 운전석 아래에 있는 유럽권 또는 아시아권의 대형 트럭은 캡오버타입(Cap over type)이라 부르며 일반적으로 보닛의 개념이 없다. 대신 운전석 부분을 꺾어서 들어올릴 수 있는 틸팅캡(Cabin)이 있어 비교적 정비하기 쉬우며, 소모품류는 작은 보닛을 앞 부분에 달아 주입구를 두고 사용하는 편이다.[2] 보닛타입의 트럭도 있는데 대부분 북미지역에서 사용된다. 이는 엔진이 위치한 보닛이 앞으로 튀어나와 있는 일반 자동차와 형태가 비슷한다. 컨밴셔널타입(Conventional Type) 트럭이라고도 부른다. 보닛타입과 캡오버타입의 중간 형태로 세미보닛타입의 트럭도 있다.[4]

개폐방식

  1. 1.0 1.1 보닛〉, 《네이버 두산백과》
  2. 2.0 2.1 보닛〉, 《나무위키》
  3. 보닛〉, 《네이버 자동차용어사전》, 2012-05-25
  4. 박현욱 기자, 〈(지식 in) 트럭 형상에 따라 달라지는 차량 특성〉, 《상용차신문》, 2018-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