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역사) |
잔글 (→같이 보기) |
||
61번째 줄: | 61번째 줄: | ||
* [[전라남도]] | * [[전라남도]] | ||
− | {{ | + | {{행정구역|검토 필요}} |
2022년 4월 21일 (목) 00:34 판
광양시(光陽市)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다. 서쪽으로 순천시, 남쪽으로 여수시, 북쪽으로 구례군과 인접하고, 동쪽으로는 섬진강을 경계로 경상남도 하동군과 도계를 이룬다. 금호동에는 세계 최대 규모의 포스코 광양제철소가 있다. 시청 소재지는 중동이고, 광양읍에 광양읍, 옥룡면, 봉강면을 관할하는 시 직할 민원출장소가 설치되어 있다.
개요
- 행정 단위: 대한민국 전라남도 도시
- 면적: 458.89km²
- 인구: 151,759명 (2020년)
- 시청 소재지: 광양시 시청로 33 (중동 1313)
- 시장: 정현복(더불어민주당)
- 정부 공식 홈페이지: https://www.gwangyang.go.kr/index.gwangyang
지도
역사
백제시대에는 마로(馬老), 통일신라시대에는 희양(曦陽), 고려시대부터는 광양(光陽)으로 불려왔는데 "마로"는 우두머리, "희양, 광양"은 따스하게 빛나는 햇살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 백제시대: 마로현(馬老縣)이라 부름
- 5세기말: 광양지역이 성산가야(星山伽倻)에 일시소속.
- 513년(무령왕16년): 광양지역이 백제에 다시 속함
- 663년(신라 문무왕 3년): 나·당(羅·唐)의 지배하에 들어감
- 676년(문무왕16년): 신라의 삼국통일로 신라에 속함
- 757년(경덕왕16년): 통일신라 경덕왕16년에 마로현(馬老縣)을 희양현(晞陽縣)으로 개칭 ※ 晞를 曦(희)라고도 씀
- 940년(고려 태조23년: 희양현(晞陽縣)을 광양현(光陽縣)으로 고쳐 승평군(昇平郡)의 영현(領縣)으로함
- 983년(성종2년): 전국에 12목(牧)을 두었으며 광양현을 승주목(昇州牧 : 현재, 順天市)관할하에 둠
- 995년(성종14년): 전국을 10도, 4도호부, 8목, 12주제 실시로 광양 지역은 海陽道(全羅道 지역)에 편제되어 12주중 昇州(현, 順天市)에 소속됨
- 1172년(명종2년): 처음으로 중앙 관리인 감무(監務)를 두고 승평군(昇平郡)에서 분리함.
- 1413년(태종13년): 광양현의 감무를 고쳐 현감(縣監:종6품)으로 함
- 1597년(선조30년): 왜구에 의해 광양읍성(光陽邑城)이 함락됨.
- 1869년(고종6년): 제1차 광양농민 항쟁으로 인하여 광양현의 읍호(邑號)가 강등됨
- 1889년(고종26년): 제2차 광양농민 항쟁이 일어남
- 1895년 5월 1일: (고종32년) 광양현(光陽縣)을 광양군(光陽郡)으로 개칭
- 1949년 8월 14일: 광양면이 광양읍으로 승격 (광양군 - 1읍7면 관할)
- 1950년: 6.25동란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이 살상되고 이재민과 재산상 피해가 극심했음.
- 1989년 1월 1일: 전라남도 광양지구출장소가 東光陽市로 승격.
- 1995년 1월 1일: 동광양시, 광양군을 각각 폐지하고 도농 복합형태의 光陽市설치.
지리
전라남도의 동남부에 위치한다. 동쪽으로 섬진강을 경계로 경상남도 하동군과 도의 경계를 이룬다. 시의 남단 낙동통을 제외하면 시 전체가 화강편마암으로 덮여 있다. 북부의 소백산맥 줄기인 백운산(白蕓山, 1,218m) 일대는 산악이 중첩하나 동쪽 섬진강 유역과 남쪽 해안지대는 경사가 완만하다. 광양읍 남부 광양만 연안에 넓은 평야가 발달해 있다.
행정 구역
광양시의 행정 구역은 1읍 6면 5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 광양읍(光陽邑)
- 봉강면(鳳岡面)
- 옥룡면(玉龍面)
- 옥곡면(玉谷面)
- 진상면(津上面)
- 진월면(津月面)
- 다압면(多鴨面)
- 골약동(骨若洞)
- 중마동(中馬洞)
- 광영동(廣英洞)
- 태인동(太仁洞)
- 금호동(金湖洞)
참고자료
- 〈광양시〉, 《위키백과》
- 〈Sunshine광양〉, 《광양시청》
같이 보기
- 넘겨주기 틀:한국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