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레반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이 보기)
잔글 (참고자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이스라엘 주변국'''은 [[서아시아]]의 [[이스라엘]] 및 그 주변 [[국가]]들을 뜻한다.
+
{{레반트 위치 지도}}
  
== 지도 ==
+
'''레반트'''(Levant)는 [[서아시아]]의 [[이스라엘]] 및 그 주변 [[국가]]들을 포함하는 [[지역]]을 뜻한다. 레반트 지역에 포함되는 국가에는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레바논]], [[요르단]], [[시리아]]가 있고, [[이집트]] 영토 중 [[시나이반도]]가 포함된다.
{{이스라엘 주변국 지도|800}}
+
 
 +
== 개요 ==
 +
1세기에 망국민으로 전락한 [[유대인]]들은 [[시온주의]]를 주창한 언론인 [[테오도르 헤르츨]]을 중심으로 1890년대부터 유대인 독립국가 재건이라는 목표를 구체화해 나갔다. 결국 1948년 5월 14일에 분리독립을 최종확정한 영국령 [[팔레스타인]]의 서부 방면에서 초대 총리 [[다비드 벤구리온]]은 [[이스라엘]] 국가의 [[건국]]을 선포했다. 곧이어 발발한 [[제1차 중동전쟁]]에서 겨우 승전한 [[이스라엘]] 진영이 [[지중해]]와 [[홍해]]의 바닷가를 점령함으로써 현대 이스라엘국이 비로소 성립했다. 이런 역사적 배경 때문에 이스라엘 정부는 특정 지역을 가리키는 명칭으로서 [[팔레스타인]]을 아주 철저하게 부정하고 있다. 이스라엘 관청들이 제공하는 시청각 자료들은 오늘날의 이스라엘, 레바논 공화국, 요르단 왕국이 속한 지중해 바닷가에서부터 요르단강 유역까지의 범위에 대하여 주로 '가나안(כְּנַעַן / Kəna'an, Canaan)' 또는 '에레츠 이스라엘(אֶרֶץ יִשְׂרָאֵל / Eretz Yisrael, Land of Israel)'이라고 표기한다.
 +
 
 +
북아메리카와 서유럽에서도 역사학계와 지리학계가 출판하거나 전시하는 시청각 자료들(영어판이나 프랑스어판)은 1923년판 로잔 조약이 발효한 시점부터의 현 이스라엘, 레바논, 요르단이 속한 지중해 바닷가에서부터 요르단강 유역까지의 범위에 대해 일부러 '가나안(Canaan)', '에레츠 이스라엘(Eretz Yisrael)'과 함께 '트란스요르단(Transjordan)', '시스요르단(Cisjordan)'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몇몇 비유대인들은 중동에 유지하고 있는 '최후의 십자군 국가' 또는 '최후의 유럽인 식민지'라고 비난하기도 한다. 이들은 현대 유대인을 고대 유대인과 같은 혈통으로 인정하지 않고 무늬만 유대인인 유럽계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미국(=유럽 각지의 종교적 소수자), 호주와 뉴질랜드(=영국 내 범죄자) 같은 경우를 생각해 보면 유럽이 내부의 종교적 소수파나 불온분자들을 식민지로 이주시킨 것은 그다지 드문 일이 아니다. 그러나 유대인들은 혈통적으로 다른 민족과 구분되는 공통점을 갖지는 않을지라도 유대교 회당을 통해서 대대로 전승한 독자적인 역사 의식과 민족 종교를 갖는다는 점에서 독자적인 민족이라고 볼 수 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분쟁에 대하여 양국 방안이나 일국 방안(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통합해 새로운 정권을 만드는 것)이 거론되고 있으나 아직도 분쟁의 해결은 요원하다.<ref name="키">〈[https://namu.wiki/w/%EC%9D%B4%EC%8A%A4%EB%9D%BC%EC%97%98  이스라엘]〉, 《나무위키》</ref>
 +
 
 +
== 역사 ==
 +
=== 고대 이스라엘 ===
 +
이스라엘이 위치하는 지역은 고대에는 비옥한 초승달 지대로 알려진 지역이며, 가나안의 땅이라고도 불려, 가나안인을 비롯한 여러 민족이 살고 있었다. 성경의 기술에 의하면, 유대인의 선조에 해당하는 히브리인 또한 이 지역에 거주를 위해 이동해왔으나, 그 자손은 이집트로 이주하였고, 시간이 흐르면서 이집트인의 노예 취급을 받았다. 이윽고 이집트를 탈출하여 이 지역으로 돌아온 히브리인(이스라엘인)은 이 지역을 정복하여 기원전 11세기 경 이스라엘 왕국을 세웠다. 다윗과 솔로몬을 거쳐, 기원전 930년 경, 내란으로 인해 이스라엘 왕국은 남북으로 분단되었다. 북쪽의 이스라엘 왕국은 기원전 722년 아시리아에 멸망당하며, 남쪽의 유다 왕국은 기원전 586년에 신바빌로니아에 멸망당했다. 신바빌로니아 기원전 539년에 페르시아 제국에 멸망하며, 페르시아 제국의 키루스 2세에 의해 바빌론으로 끌려간 유대인들이 예루살렘으로 돌아와 성전을 재건했다. 그 후 이 지역은 알렉산더 대왕의 동방원정 중에 정복되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사후, 마케도니아는 분열하여, 팔레스타인과 유대 지역을 셀레우코스 제국(시리아 왕국)와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이집트)이 각각 다른 시기에 지배하게 되며, 마카베오 전쟁을 거쳐 유대인의 왕국 하스몬 왕조가 세워졌다. 기원전 1세기경 하스몬 왕조는 로마 제국의 보호국이 되며, 그 후 로마 제국의 속주인 유대 속주가 된다. 기원후 66년 제1차 유다 전쟁이 발발하나, 70년 로마 제국에 의해 진압된다. 132년 바르 코크바의 난(제3차 유다 전쟁)이 일어나, 135년 다시 로마 제국에 진압되어, 시리아의 속주가 되었다. 이후 유다인들은 중동 전역으로 흩어지며, 난민들이 세운 디아스포라가 다수 발생하게 된다
 +
 
 +
=== 중세 ===
 +
636년 동로마 제국이 정통 칼리파에 패배한 이래, 오스만 제국의 멸망에 이르기까지 이 지역의 패권은 거의 이슬람 국가 밑에 놓이게 된다. 1099년 제1차 십자군 전쟁 시기에,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한 그리스도교 국가 예루살렘 왕국이 세워지기도 하였으나, 1187년 하틴 전투에서 아이유브 술탄국에 의해 예루살렘은 다시 점령되어, 1200년 즈음에는 예루살렘 왕국의 세력은 지중해 연안으로 국한되게 된다. 예루살렘 왕국은 1291년 맘루크 술탄국에게 패하여 멸망하며, 1517년 오스만 제국이 맘루크 술탄국을 멸망시키고 이 지역을 지배한다.
 +
 
 +
=== 현대 이스라엘 ===
 +
제1차 세계 대전에 동맹국으로 참전하여 패전한 오스만 제국은 현재의 터키를 제외한 중동 지역 대부분을 영국과 프랑스에 내주게 되며, 트랜스요르단 (지금의 이스라엘이 위치한 곳. 지금은 팔레스타인으로 불림) 지역은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다. 오스만의 세금 정책에 의해 황무지가 되었던 트랜스요르단은 유대인들과 아랍 유민들이 유입되어 여기저기 공동체 마을들이 형성되었다.
 +
 
 +
현대 이스라엘은 19세기의 시온주의 운동과 20세기 제 2차 세계대전 중 발생한 유대인 학살을 배경으로 1948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였다. 하지만 팔레스타인 지역을 위임 통치하던 영국은 이중적으로 아랍 측에게 맥마흔 선언을 하여, 샤리프 후세인에게 아랍인들이 전쟁에 참여하게 된다면 칼리프 중심의 아랍인의 나라를 이 땅에 지어주겠다는 보장을 하였고, 1916년 6월 5일을 기하여 봉기를 일으켜 스스로 아랍의 왕임을 자처했다. 이후 1917년, 유대인의 지원을 받기 위하여 영국의 외무장관 밸푸어가 가나안 지역에 유대인 국가 건설을 지지하는 밸푸어 선언을 하여, 1920년 영국의 공식 외교 정책이 되었다. 하지만 아랍과 유대인에게 이중적인 약속을 함에 따라, 추후에 유대인과 아랍인 간의 갈등을 유발하게 되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영국군이 위임통치령 지역을 철수하기 이전부터 이주 유대인과 아랍인 간 테러와 학살같은 국지적인 충돌이 있었고, 유대인과 아랍인들은 자치 민병대를 조직하기 시작했다. 이후, 영국의 공식적인 철군이 이뤄진 다음날, 이스라엘은 공화국을 선포하였고 그 동시에 아랍인들의 물리적인 침공을 받게 된다. 이것이 제1차 중동 전쟁이다. 이후 유대인들은 기존 이르군과 하가나 등 극우 시온주의 민병대를 확대하여 방위력을 증강시켰다. 이스라엘은 서방으로부터의 무기지원을 받아 아랍 연맹을 물리치고 제1차 중동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는 주장이 있으나, 제 1차 중동 전쟁의 경우에는 미국을 포함한 서방의 지원은 없었고, 되려 전후 피로감에 영국, 프랑스, 미국 어느 나라도 이스라엘에 무기 지원은커녕 판매조차 소극적이었던 탓에 쏟아지던 전후 물자들을 매입하여 방위력 공백을 메꾸었다. 그리고 이스라엘은 이후 제2차 중동 전쟁(시나이 전쟁)과 제3차 중동전쟁(6일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고, 차후 중동 전쟁들에서 서방의 지원을 얻어낼 수 있었다. 그러나 팔레스타인을 포함한 아랍국가들은 아라비아 지역에서의 유대인 국가 건설에 부정적이었고, 이후 유대인-아랍인 간의 충돌은 지속되었다. 한편, 팔레스티나 지역(가나안 연안)의 아랍인들은 스스로를 팔레스타인 주민, 그들의 거주 구역을 팔레스타인으로 부르기 시작했다. 이는 팔레스타인이라는 공동체가 본래 토착민으로서 거주하고있던 것이 아니라, 20세기 유대인들의 이주와 동시에 이 지역으로 밀려들어온 아랍인들을 뜻한다. 장기간에 걸친 팔레스타인과의 분쟁 결과, 1993년에 PLO와 자치에 합의하여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가 가자 지구와 요르단 강 서안 지구에 세워졌으나 현재까지도 분쟁은 계속되고 있다.
 +
 
 +
이스라엘에 복수를 다짐하던 안와르 사다트가 이집트 대통령에 취임하면서 다시 중동에는 긴장감이 고조되었다. 1973년 10월 6일, 드디어 이집트는 유대인들의 속죄일 욤키푸르 당일 이스라엘이 점령중이던 시나이반도를 기습을 감행하기에 이르렀다. (제 4차 중동전쟁) 그러나 이스라엘은 이집트 방면으로는 본토까지 시나이반도 지역이 완충지 역할을 하였으나, 북부 골란 고원을 넘어서는 시리아군은 바로 본토로 들어오기 때문에, 전략상 시리아군이 포진한 곳을 공습하면서 전세를 역전하기에 이르렀으며 끝내 제4차 중동전쟁(욤키푸르 전쟁)까지 승리로 이끌어냈다. 하지만 이 전쟁으로 이스라엘 또한 많은 피해를 입었다.<ref name="위키">〈[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C%8A%A4%EB%9D%BC%EC%97%98  이스라엘]〉, 《위키백과》</ref>
 +
 
 +
== 이스라엘과 대한민국의 관계 ==
 +
대한민국과는 1950년 한국 전쟁에서 의료 부대를 파병한 이후, 1962년 4월 수교하여 지금까지 계속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1962년 5월 7일경, 이스라엘은 주일 이스라엘 대사 다니엘 레빈을 한국 대사직(비주재)에 겸임하도록 임명하였다.[22] 그러나 대한민국이 원유 수급과 건설시장 확보를 위하여 아랍 국가와의 관계를 강화하자, 대한민국과 이스라엘의 관계가 위축되었다. 이스라엘은 1978년 주한 대사관을 폐쇄하고, 주일 대사관에서 대한민국 관련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여 양국의 관계는 다소 소원해졌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관계 개선의 필요성이 커져, 양국은 1992년과 1993년 상주 대사관을 각각 재개설하였고, 다시 우호적인 관계가 유지되고 있다. 대한항공이 이스라엘 텔아비브로 주 3회 (화요일, 목요일, 토요일) 취항하며 이 때는 이스라엘의 적국 영공을 통과하지 않기 위해 지중해 쪽으로 돌아가는 항로를 이용한다.
 +
 
 +
==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 ==
 +
중동의 패권 국가였던 오스만 제국이 1차 세계대전에서 패망한 뒤 '팔레스타인'으로 알려진 지역을 영국이 장악하게 된다. 당시 이곳에 사는 사람 중 대부분이 아랍인이었고, 유대인은 소수 민족이었다. 그 뒤 국제사회가 유대인을 위한 "고국(National Home)"을 팔레스타인 지역에 건설하는 과제를 영국에 안기면서 두 민족 간의 긴장감이 커지게 된다. 유대인들에게 팔레스타인 땅은 조상들의 고향이었지만, 팔레스타인 아랍인들도 이 땅의 영유권을 주장하며 계획에 반대했다. 그러던 중 1920년대와 40년대 사이 2차 세계대전에서 벌어진 홀로코스트(나치에 의한 유대인 학살)를 피해 팔레스타인 지역에 도착하는 유대인이 늘게 됐다. 이는 곧 유대인과 아랍인 사이의 폭력 사태로 이어졌고 영국의 통치에 대한 반감도 커졌다. 1947년 유엔은 팔레스타인 지역을 유대인 국가, 아랍 국가로 분리하되 예루살렘은 국제공동 통치구역으로 두는 '팔레스타인 분할안'을 통과시킨다. 예루살렘은 누구의 소유도 아닌 '국제도시'가 될 계획이었다. 하지만 이 분할안은 유대인 지도자들은 받아들였지만, 아랍 측의 거부로 결국 실행되지는 못했다.
 +
 
 +
1948년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영국 통치자들은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철수했고, 그 뒤 유대인 지도자들은 이스라엘 국가 건국을 선언했다. 많은 팔레스타인인들은 이스라엘의 국가 수립에 반대했고, 1차 중동전쟁이 이어졌다. 이웃 아랍국가의 군대들이 팔레스타인 지역을 침략하게 된다. 이로 인해 팔레스타인 지역 주민 수십만 명이 피난길에 나서야 했고 이 사건은 아랍어로 '알 나크바(Al Nakba)' 혹은 '대재앙'으로 불린다. 이듬해 1차 중동전쟁이 휴전으로 끝날 무렵,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지역의 대부분을 장악하게 된다. 오늘날 서안지구로 알려진 땅은 요르단이 차지했고, 가자지구는 이집트가 점령했다. 예루살렘의 경우 서쪽은 이스라엘군 지역, 동쪽은 요르단군 지역으로 나뉘게 된다. 하지만 참전 세력들 간 서로를 향한 비난이 끊이지 않으면서 이 전쟁은 결국 평화협정을 맺지 못했고, 이후 수십 년 동안 더 많은 전쟁과 싸움이 지속되고 있다.
 +
 
 +
그리고 1967년 또 다른 전쟁이 발생한다. 그 결과 이스라엘은 동예루살렘과 서안지구, 시리아 골란고원, 가자지구와 이집트 시나이반도까지 점령하게 된다. 팔레스타인 난민 대다수와 그 후손들은 가자지구와 요르단, 시리아, 레바논에 흩어져 살고 있다. 이스라엘은 이들이 고향으로 돌아오는 것을 허락하지 않고 있다. 이스라엘은 이들이 귀향하면 이스라엘이 압도될 것이고 유대인 국가로서의 존재를 위협당하게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
 
 +
이스라엘은 여전히 서안지구를 점령하고 있다. 가자 지구에선 철수했지만, 유엔은 가자지구를 이스라엘 점거지 일부로 간주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동예루살렘을 포함한 예루살렘 전체를 자국의 수도라고 주장하는 반면, 팔레스타인인들은 동예루살렘은 자국의 미래 수도라고 주장하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몇몇 국가들은 이스라엘의 주장을 인정하고 있다. 지난 50년간 이스라엘이 동예루살렘에 유대인 정착촌을 건설한 결과 현재 유대인 60만 명이 동예루살렘에 살고 있다. 팔레스타인 측에선 유대인의 동예루살렘 정착은 국제법상 불법이며 평화의 장애물이라고 말하지만, 이스라엘은 이를 부인하고 있다.
 +
 
 +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이에는 서로 합의하지 못하고 있는 수많은 문제가 산적해 있다. 팔레스타인 난민 처리 문제에서부터, 이스라엘이 점령 중인 요르단강 서안지구의 유대인 정착촌의 잔류 문제, 그리고 양측이 예루살렘을 공유해야 하는지 아닌지가 해결돼야 한다. 또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만들어져야 하느냐는 가장 답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양측은 25년 넘게 평화회담은 해왔지만, 지금까지 갈등을 해결하지 못했다. 이런 갈등 상황은 쉽사리 해결되지 않을 것이다. 지난 2020년 당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동 평화안을 내놓았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를 '세기의 딜' 이라 부르며 환영했지만, 팔레스타인은 한쪽에 치우쳤다며 거부했다. 중동 평화안은 그 뒤로 실행되지 못하고 있다. 향후 어떤 평화협정이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모두의 동의를 얻어야 할 것이다. 그렇게 될 때까지 양측의 갈등은 이어질 전망이다.<ref>〈[https://www.bbc.com/korean/international-57147399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이들이 싸우는 이유]〉, 《BBC News 코리아》, 2021-05-18</ref>
 +
 
 +
== 레반트 주요 국가 ==
 +
* '''[[이스라엘]]''' :
 +
 
 +
* '''[[팔레스타인]]''' : [[서아시아]]에서 [[요르단강]]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고 있는 국가이다. 수도는 [[예루살렘]]으로 지정했지만, 현재 행정중심지는 라말라이다. 팔레스타인이 주장하고 있는 영토는 1967년 6일 전쟁 이후 이스라엘이 점령하고 있다. 팔레스타인의 요르단강 서안 지구는 이스라엘 및 요르단과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가자 지구는 이집트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
 
 +
* '''[[레바논]]''' : [[서아시아]]의 [[지중해]] 연안에 있는 이슬람교 54%, 기독교 40.5%의 다종교 국가로, [[시리아]]와 [[이스라엘]]과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수도는 베이루트이다.
 +
 
 +
* '''[[요르단]]''' : [[서아시아]]에 위치한 입헌 군주국이다. 수도는 [[암만]]이며, [[이라크]], [[팔레스타인]], [[이스라엘]],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와 국경을 접한다. 약 26km의 해안선이 홍해의 북쪽 아카바만에 접한다. 이 해안선을 끼고 있는 도시 아카바에는 요르단 유일의 항구가 있다.
 +
 
 +
* '''[[시리아]]''' : 서아시아에 있는 공화국이다. 수도는 [[다마스쿠스]]이다. 북쪽으로는 [[튀르키예]], 동쪽으로는 [[이라크]], 남쪽으로는 [[요르단]] 및 [[이스라엘]], 서쪽으로는 [[레바논]]과 접한다. 현재 시리아 내전이 진행 중에 있다. 따라서 2011년 8월 20일부터 2023년 1월 31일까지 여행 금지령이 내려졌다.
 +
 
 +
* [[이집트]]의 '''[[시나이반도]]''' : [[북아프리]]카와 서아시아의 시나이반도에 결쳐 있는 국가이다. 영토 면적은 100만 1450 km2 수도는 [[카이로이]]다. [[이집트]]는 그 어떠한 국가들보다 유구한 역사를 지니고 있는 국가들 중 하나이다. 약 5,000여 년 전부터 나일강가에서 문명이 태동하기 시작하였고, 기원전 30세기에 이르자 고대 이집트 문명은 문자, 농업, 도시화, 종교, 정부 등 모든 분야에서 동시대 타 지역에 비하여 압도적인 발전을 이룩하며 풍요로운 시대를 이루었다. 이 시기에 이집트에 기자의 피라미드와 대스핑크스가 세워졌으며, 멤피스, 테베, 카르나크, 왕가의 계곡 같은 위대한 유산들을 남겼다. 그러나 이후 이집트 문명은 점차 쇠퇴를 거듭하기 시작하였으며, 그리스인, 페르시아인, 로마인, 아랍인, 오스만인, 누비아인들이 연이어 이집트를 침투하며 지배하였다. 이집트는 초기 기독교의 가장 핵심적인 중심지 가운데 하나였으나, 아랍인들의 지배를 받기 시작하며 점차 무슬림들의 영향력이 강해지며 7세기 경에 이르자 확실한 이슬람 국가로 돌아섰다.
 +
 
 +
{{:레반트 지도}}
 +
 
 +
== 동영상 ==
 +
<youtube>wZwI0cZ5TSA</youtube>
 +
<youtube>lsPWlw72-QE</youtube>
 +
 
 +
{{각주}}
 +
 
 +
== 참고자료 ==
 +
*〈[https://ko.wikipedia.org/wiki/%ED%8C%94%EB%A0%88%EC%8A%A4%ED%83%80%EC%9D%B8  팔레스타인]〉,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B%A0%88%EB%B0%94%EB%85%BC  레바논]〉,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C%9A%94%EB%A5%B4%EB%8B%A8 요르단]〉,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C%8B%9C%EB%A6%AC%EC%95%84 시리아]〉,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C%A7%91%ED%8A%B8  이집트]〉,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D%8A%80%EB%A5%B4%ED%82%A4%EC%98%88  튀르키예]〉, 《위키백과》
 +
*〈[https://namu.wiki/w/%EC%9D%B4%EC%8A%A4%EB%9D%BC%EC%97%98  이스라엘]〉, 《나무위키》
 +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C%8A%A4%EB%9D%BC%EC%97%98  이스라엘]〉, 《위키백과》
 +
*〈[https://www.bbc.com/korean/international-57147399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이들이 싸우는 이유]〉, 《BBC News 코리아》, 2021-05-18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다단4|
+
* [[동지중해]]
* [[이스라엘]]
 
* [[팔레스타인]]
 
* [[레바논]]
 
* [[요르단]]
 
* [[시리아]]
 
* [[키프로스]]
 
* [[북키프로스]]
 
* [[튀르키예]]
 
* [[이집트]]
 
|
 
* [[지중해]]
 
* [[홍해]]
 
* [[요르단강]]
 
* [[사해]]
 
* [[골란고원]]
 
* [[키프로스섬]]
 
* [[시나이반도]]
 
* [[수에즈운하]]
 
|
 
* [[예루살렘]]
 
* [[텔아비브]]
 
* [[라말라]]
 
* [[베이루트]]
 
* [[암만]]
 
* [[다마스커스]]
 
* [[니코시아]]
 
* [[카이로]]
 
* [[알렉산드리아]]
 
|
 
* [[아시아]]
 
 
* [[서아시아]]
 
* [[서아시아]]
* [[중동]]
 
* [[아프리카]]
 
* [[북아프리카]]
 
* [[유럽]]
 
* [[남유럽]]
 
* [[서유럽]]
 
}}
 
  
{{지역|토막글}}
+
{{:레반트 같이 보기}}
 +
{{:서아시아 같이 보기}}
 +
 
 +
{{서아시아 지역|검토 필요}}

2024년 6월 30일 (일) 03:17 기준 최신판

레반트(Levant)는 서아시아이스라엘 및 그 주변 국가들을 포함하는 지역을 뜻한다. 레반트 지역에 포함되는 국가에는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레바논, 요르단, 시리아가 있고, 이집트 영토 중 시나이반도가 포함된다.

개요[편집]

1세기에 망국민으로 전락한 유대인들은 시온주의를 주창한 언론인 테오도르 헤르츨을 중심으로 1890년대부터 유대인 독립국가 재건이라는 목표를 구체화해 나갔다. 결국 1948년 5월 14일에 분리독립을 최종확정한 영국령 팔레스타인의 서부 방면에서 초대 총리 다비드 벤구리온이스라엘 국가의 건국을 선포했다. 곧이어 발발한 제1차 중동전쟁에서 겨우 승전한 이스라엘 진영이 지중해홍해의 바닷가를 점령함으로써 현대 이스라엘국이 비로소 성립했다. 이런 역사적 배경 때문에 이스라엘 정부는 특정 지역을 가리키는 명칭으로서 팔레스타인을 아주 철저하게 부정하고 있다. 이스라엘 관청들이 제공하는 시청각 자료들은 오늘날의 이스라엘, 레바논 공화국, 요르단 왕국이 속한 지중해 바닷가에서부터 요르단강 유역까지의 범위에 대하여 주로 '가나안(כְּנַעַן / Kəna'an, Canaan)' 또는 '에레츠 이스라엘(אֶרֶץ יִשְׂרָאֵל / Eretz Yisrael, Land of Israel)'이라고 표기한다.

북아메리카와 서유럽에서도 역사학계와 지리학계가 출판하거나 전시하는 시청각 자료들(영어판이나 프랑스어판)은 1923년판 로잔 조약이 발효한 시점부터의 현 이스라엘, 레바논, 요르단이 속한 지중해 바닷가에서부터 요르단강 유역까지의 범위에 대해 일부러 '가나안(Canaan)', '에레츠 이스라엘(Eretz Yisrael)'과 함께 '트란스요르단(Transjordan)', '시스요르단(Cisjordan)'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몇몇 비유대인들은 중동에 유지하고 있는 '최후의 십자군 국가' 또는 '최후의 유럽인 식민지'라고 비난하기도 한다. 이들은 현대 유대인을 고대 유대인과 같은 혈통으로 인정하지 않고 무늬만 유대인인 유럽계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미국(=유럽 각지의 종교적 소수자), 호주와 뉴질랜드(=영국 내 범죄자) 같은 경우를 생각해 보면 유럽이 내부의 종교적 소수파나 불온분자들을 식민지로 이주시킨 것은 그다지 드문 일이 아니다. 그러나 유대인들은 혈통적으로 다른 민족과 구분되는 공통점을 갖지는 않을지라도 유대교 회당을 통해서 대대로 전승한 독자적인 역사 의식과 민족 종교를 갖는다는 점에서 독자적인 민족이라고 볼 수 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분쟁에 대하여 양국 방안이나 일국 방안(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통합해 새로운 정권을 만드는 것)이 거론되고 있으나 아직도 분쟁의 해결은 요원하다.[1]

역사[편집]

고대 이스라엘[편집]

이스라엘이 위치하는 지역은 고대에는 비옥한 초승달 지대로 알려진 지역이며, 가나안의 땅이라고도 불려, 가나안인을 비롯한 여러 민족이 살고 있었다. 성경의 기술에 의하면, 유대인의 선조에 해당하는 히브리인 또한 이 지역에 거주를 위해 이동해왔으나, 그 자손은 이집트로 이주하였고, 시간이 흐르면서 이집트인의 노예 취급을 받았다. 이윽고 이집트를 탈출하여 이 지역으로 돌아온 히브리인(이스라엘인)은 이 지역을 정복하여 기원전 11세기 경 이스라엘 왕국을 세웠다. 다윗과 솔로몬을 거쳐, 기원전 930년 경, 내란으로 인해 이스라엘 왕국은 남북으로 분단되었다. 북쪽의 이스라엘 왕국은 기원전 722년 아시리아에 멸망당하며, 남쪽의 유다 왕국은 기원전 586년에 신바빌로니아에 멸망당했다. 신바빌로니아 기원전 539년에 페르시아 제국에 멸망하며, 페르시아 제국의 키루스 2세에 의해 바빌론으로 끌려간 유대인들이 예루살렘으로 돌아와 성전을 재건했다. 그 후 이 지역은 알렉산더 대왕의 동방원정 중에 정복되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사후, 마케도니아는 분열하여, 팔레스타인과 유대 지역을 셀레우코스 제국(시리아 왕국)와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이집트)이 각각 다른 시기에 지배하게 되며, 마카베오 전쟁을 거쳐 유대인의 왕국 하스몬 왕조가 세워졌다. 기원전 1세기경 하스몬 왕조는 로마 제국의 보호국이 되며, 그 후 로마 제국의 속주인 유대 속주가 된다. 기원후 66년 제1차 유다 전쟁이 발발하나, 70년 로마 제국에 의해 진압된다. 132년 바르 코크바의 난(제3차 유다 전쟁)이 일어나, 135년 다시 로마 제국에 진압되어, 시리아의 속주가 되었다. 이후 유다인들은 중동 전역으로 흩어지며, 난민들이 세운 디아스포라가 다수 발생하게 된다

중세[편집]

636년 동로마 제국이 정통 칼리파에 패배한 이래, 오스만 제국의 멸망에 이르기까지 이 지역의 패권은 거의 이슬람 국가 밑에 놓이게 된다. 1099년 제1차 십자군 전쟁 시기에,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한 그리스도교 국가 예루살렘 왕국이 세워지기도 하였으나, 1187년 하틴 전투에서 아이유브 술탄국에 의해 예루살렘은 다시 점령되어, 1200년 즈음에는 예루살렘 왕국의 세력은 지중해 연안으로 국한되게 된다. 예루살렘 왕국은 1291년 맘루크 술탄국에게 패하여 멸망하며, 1517년 오스만 제국이 맘루크 술탄국을 멸망시키고 이 지역을 지배한다.

현대 이스라엘[편집]

제1차 세계 대전에 동맹국으로 참전하여 패전한 오스만 제국은 현재의 터키를 제외한 중동 지역 대부분을 영국과 프랑스에 내주게 되며, 트랜스요르단 (지금의 이스라엘이 위치한 곳. 지금은 팔레스타인으로 불림) 지역은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다. 오스만의 세금 정책에 의해 황무지가 되었던 트랜스요르단은 유대인들과 아랍 유민들이 유입되어 여기저기 공동체 마을들이 형성되었다.

현대 이스라엘은 19세기의 시온주의 운동과 20세기 제 2차 세계대전 중 발생한 유대인 학살을 배경으로 1948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였다. 하지만 팔레스타인 지역을 위임 통치하던 영국은 이중적으로 아랍 측에게 맥마흔 선언을 하여, 샤리프 후세인에게 아랍인들이 전쟁에 참여하게 된다면 칼리프 중심의 아랍인의 나라를 이 땅에 지어주겠다는 보장을 하였고, 1916년 6월 5일을 기하여 봉기를 일으켜 스스로 아랍의 왕임을 자처했다. 이후 1917년, 유대인의 지원을 받기 위하여 영국의 외무장관 밸푸어가 가나안 지역에 유대인 국가 건설을 지지하는 밸푸어 선언을 하여, 1920년 영국의 공식 외교 정책이 되었다. 하지만 아랍과 유대인에게 이중적인 약속을 함에 따라, 추후에 유대인과 아랍인 간의 갈등을 유발하게 되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영국군이 위임통치령 지역을 철수하기 이전부터 이주 유대인과 아랍인 간 테러와 학살같은 국지적인 충돌이 있었고, 유대인과 아랍인들은 자치 민병대를 조직하기 시작했다. 이후, 영국의 공식적인 철군이 이뤄진 다음날, 이스라엘은 공화국을 선포하였고 그 동시에 아랍인들의 물리적인 침공을 받게 된다. 이것이 제1차 중동 전쟁이다. 이후 유대인들은 기존 이르군과 하가나 등 극우 시온주의 민병대를 확대하여 방위력을 증강시켰다. 이스라엘은 서방으로부터의 무기지원을 받아 아랍 연맹을 물리치고 제1차 중동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는 주장이 있으나, 제 1차 중동 전쟁의 경우에는 미국을 포함한 서방의 지원은 없었고, 되려 전후 피로감에 영국, 프랑스, 미국 어느 나라도 이스라엘에 무기 지원은커녕 판매조차 소극적이었던 탓에 쏟아지던 전후 물자들을 매입하여 방위력 공백을 메꾸었다. 그리고 이스라엘은 이후 제2차 중동 전쟁(시나이 전쟁)과 제3차 중동전쟁(6일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고, 차후 중동 전쟁들에서 서방의 지원을 얻어낼 수 있었다. 그러나 팔레스타인을 포함한 아랍국가들은 아라비아 지역에서의 유대인 국가 건설에 부정적이었고, 이후 유대인-아랍인 간의 충돌은 지속되었다. 한편, 팔레스티나 지역(가나안 연안)의 아랍인들은 스스로를 팔레스타인 주민, 그들의 거주 구역을 팔레스타인으로 부르기 시작했다. 이는 팔레스타인이라는 공동체가 본래 토착민으로서 거주하고있던 것이 아니라, 20세기 유대인들의 이주와 동시에 이 지역으로 밀려들어온 아랍인들을 뜻한다. 장기간에 걸친 팔레스타인과의 분쟁 결과, 1993년에 PLO와 자치에 합의하여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가 가자 지구와 요르단 강 서안 지구에 세워졌으나 현재까지도 분쟁은 계속되고 있다.

이스라엘에 복수를 다짐하던 안와르 사다트가 이집트 대통령에 취임하면서 다시 중동에는 긴장감이 고조되었다. 1973년 10월 6일, 드디어 이집트는 유대인들의 속죄일 욤키푸르 당일 이스라엘이 점령중이던 시나이반도를 기습을 감행하기에 이르렀다. (제 4차 중동전쟁) 그러나 이스라엘은 이집트 방면으로는 본토까지 시나이반도 지역이 완충지 역할을 하였으나, 북부 골란 고원을 넘어서는 시리아군은 바로 본토로 들어오기 때문에, 전략상 시리아군이 포진한 곳을 공습하면서 전세를 역전하기에 이르렀으며 끝내 제4차 중동전쟁(욤키푸르 전쟁)까지 승리로 이끌어냈다. 하지만 이 전쟁으로 이스라엘 또한 많은 피해를 입었다.[2]

이스라엘과 대한민국의 관계[편집]

대한민국과는 1950년 한국 전쟁에서 의료 부대를 파병한 이후, 1962년 4월 수교하여 지금까지 계속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1962년 5월 7일경, 이스라엘은 주일 이스라엘 대사 다니엘 레빈을 한국 대사직(비주재)에 겸임하도록 임명하였다.[22] 그러나 대한민국이 원유 수급과 건설시장 확보를 위하여 아랍 국가와의 관계를 강화하자, 대한민국과 이스라엘의 관계가 위축되었다. 이스라엘은 1978년 주한 대사관을 폐쇄하고, 주일 대사관에서 대한민국 관련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여 양국의 관계는 다소 소원해졌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관계 개선의 필요성이 커져, 양국은 1992년과 1993년 상주 대사관을 각각 재개설하였고, 다시 우호적인 관계가 유지되고 있다. 대한항공이 이스라엘 텔아비브로 주 3회 (화요일, 목요일, 토요일) 취항하며 이 때는 이스라엘의 적국 영공을 통과하지 않기 위해 지중해 쪽으로 돌아가는 항로를 이용한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편집]

중동의 패권 국가였던 오스만 제국이 1차 세계대전에서 패망한 뒤 '팔레스타인'으로 알려진 지역을 영국이 장악하게 된다. 당시 이곳에 사는 사람 중 대부분이 아랍인이었고, 유대인은 소수 민족이었다. 그 뒤 국제사회가 유대인을 위한 "고국(National Home)"을 팔레스타인 지역에 건설하는 과제를 영국에 안기면서 두 민족 간의 긴장감이 커지게 된다. 유대인들에게 팔레스타인 땅은 조상들의 고향이었지만, 팔레스타인 아랍인들도 이 땅의 영유권을 주장하며 계획에 반대했다. 그러던 중 1920년대와 40년대 사이 2차 세계대전에서 벌어진 홀로코스트(나치에 의한 유대인 학살)를 피해 팔레스타인 지역에 도착하는 유대인이 늘게 됐다. 이는 곧 유대인과 아랍인 사이의 폭력 사태로 이어졌고 영국의 통치에 대한 반감도 커졌다. 1947년 유엔은 팔레스타인 지역을 유대인 국가, 아랍 국가로 분리하되 예루살렘은 국제공동 통치구역으로 두는 '팔레스타인 분할안'을 통과시킨다. 예루살렘은 누구의 소유도 아닌 '국제도시'가 될 계획이었다. 하지만 이 분할안은 유대인 지도자들은 받아들였지만, 아랍 측의 거부로 결국 실행되지는 못했다.

1948년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영국 통치자들은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철수했고, 그 뒤 유대인 지도자들은 이스라엘 국가 건국을 선언했다. 많은 팔레스타인인들은 이스라엘의 국가 수립에 반대했고, 1차 중동전쟁이 이어졌다. 이웃 아랍국가의 군대들이 팔레스타인 지역을 침략하게 된다. 이로 인해 팔레스타인 지역 주민 수십만 명이 피난길에 나서야 했고 이 사건은 아랍어로 '알 나크바(Al Nakba)' 혹은 '대재앙'으로 불린다. 이듬해 1차 중동전쟁이 휴전으로 끝날 무렵,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지역의 대부분을 장악하게 된다. 오늘날 서안지구로 알려진 땅은 요르단이 차지했고, 가자지구는 이집트가 점령했다. 예루살렘의 경우 서쪽은 이스라엘군 지역, 동쪽은 요르단군 지역으로 나뉘게 된다. 하지만 참전 세력들 간 서로를 향한 비난이 끊이지 않으면서 이 전쟁은 결국 평화협정을 맺지 못했고, 이후 수십 년 동안 더 많은 전쟁과 싸움이 지속되고 있다.

그리고 1967년 또 다른 전쟁이 발생한다. 그 결과 이스라엘은 동예루살렘과 서안지구, 시리아 골란고원, 가자지구와 이집트 시나이반도까지 점령하게 된다. 팔레스타인 난민 대다수와 그 후손들은 가자지구와 요르단, 시리아, 레바논에 흩어져 살고 있다. 이스라엘은 이들이 고향으로 돌아오는 것을 허락하지 않고 있다. 이스라엘은 이들이 귀향하면 이스라엘이 압도될 것이고 유대인 국가로서의 존재를 위협당하게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여전히 서안지구를 점령하고 있다. 가자 지구에선 철수했지만, 유엔은 가자지구를 이스라엘 점거지 일부로 간주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동예루살렘을 포함한 예루살렘 전체를 자국의 수도라고 주장하는 반면, 팔레스타인인들은 동예루살렘은 자국의 미래 수도라고 주장하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몇몇 국가들은 이스라엘의 주장을 인정하고 있다. 지난 50년간 이스라엘이 동예루살렘에 유대인 정착촌을 건설한 결과 현재 유대인 60만 명이 동예루살렘에 살고 있다. 팔레스타인 측에선 유대인의 동예루살렘 정착은 국제법상 불법이며 평화의 장애물이라고 말하지만, 이스라엘은 이를 부인하고 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이에는 서로 합의하지 못하고 있는 수많은 문제가 산적해 있다. 팔레스타인 난민 처리 문제에서부터, 이스라엘이 점령 중인 요르단강 서안지구의 유대인 정착촌의 잔류 문제, 그리고 양측이 예루살렘을 공유해야 하는지 아닌지가 해결돼야 한다. 또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만들어져야 하느냐는 가장 답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양측은 25년 넘게 평화회담은 해왔지만, 지금까지 갈등을 해결하지 못했다. 이런 갈등 상황은 쉽사리 해결되지 않을 것이다. 지난 2020년 당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동 평화안을 내놓았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를 '세기의 딜' 이라 부르며 환영했지만, 팔레스타인은 한쪽에 치우쳤다며 거부했다. 중동 평화안은 그 뒤로 실행되지 못하고 있다. 향후 어떤 평화협정이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모두의 동의를 얻어야 할 것이다. 그렇게 될 때까지 양측의 갈등은 이어질 전망이다.[3]

레반트 주요 국가[편집]

  • 팔레스타인 : 서아시아에서 요르단강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고 있는 국가이다. 수도는 예루살렘으로 지정했지만, 현재 행정중심지는 라말라이다. 팔레스타인이 주장하고 있는 영토는 1967년 6일 전쟁 이후 이스라엘이 점령하고 있다. 팔레스타인의 요르단강 서안 지구는 이스라엘 및 요르단과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가자 지구는 이집트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 이집트시나이반도 : 북아프리카와 서아시아의 시나이반도에 결쳐 있는 국가이다. 영토 면적은 100만 1450 km2 수도는 카이로이다. 이집트는 그 어떠한 국가들보다 유구한 역사를 지니고 있는 국가들 중 하나이다. 약 5,000여 년 전부터 나일강가에서 문명이 태동하기 시작하였고, 기원전 30세기에 이르자 고대 이집트 문명은 문자, 농업, 도시화, 종교, 정부 등 모든 분야에서 동시대 타 지역에 비하여 압도적인 발전을 이룩하며 풍요로운 시대를 이루었다. 이 시기에 이집트에 기자의 피라미드와 대스핑크스가 세워졌으며, 멤피스, 테베, 카르나크, 왕가의 계곡 같은 위대한 유산들을 남겼다. 그러나 이후 이집트 문명은 점차 쇠퇴를 거듭하기 시작하였으며, 그리스인, 페르시아인, 로마인, 아랍인, 오스만인, 누비아인들이 연이어 이집트를 침투하며 지배하였다. 이집트는 초기 기독교의 가장 핵심적인 중심지 가운데 하나였으나, 아랍인들의 지배를 받기 시작하며 점차 무슬림들의 영향력이 강해지며 7세기 경에 이르자 확실한 이슬람 국가로 돌아섰다.

레반트 지도[편집]

레반트 국가 지도[편집]

레반트 지형 지도[편집]

레반트 주변 지도[편집]

지중해 국가 가로 지도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이스라엘〉, 《나무위키》
  2. 이스라엘〉, 《위키백과》
  3.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이들이 싸우는 이유〉, 《BBC News 코리아》, 2021-05-18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레반트 같이 보기[편집]

레반트 국가
레반트 도시
레반트 지리
레반트 문화
레반트 주변 지역

서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아라비아 국가
페르시아 국가와 지역
아나톨리아 국가
레반트 국가
남캅카스 국가
아라비아 도시
페르시아 도시
아나톨리아 도시
레반트 도시
남캅카스 도시
서아시아 문화
서아시아 지리
서아시아 바다
캅카스 지리
서아시아 주변 지역
서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레반트 문서는 아시아 지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