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래스틱서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기본 용어) |
(→참고 자료) |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HD 보다는 SSD에서 성능이 월등히 향상된다. | *HD 보다는 SSD에서 성능이 월등히 향상된다. | ||
== 참고 자료 == | == 참고 자료 == | ||
− | * |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86155&cid=59277&categoryId=59283 일래스틱서치]>, <<네이버 지식백과>>, 2016-1220 |
− | * | + | *<[https://ko.wikipedia.org/wiki/%EC%9D%BC%EB%9E%98%EC%8A%A4%ED%8B%B1%EC%84%9C%EC%B9%98 일래스틱서치]>, <<위키백과>>, 2019-05-12 |
− | * | + | *<[http://kimjmin.net/2015/04/using-es/ 엘라스틱서치 사용법]>, <<김종민 블로그>>, 2015-04-24 |
− | * | + | *<[https://bakyeono.net/post/2016-06-03-start-elasticsearch.html 엘라스틱서치 기초 사용법]>, <<박연오 블로그>>, 2016-06-03 |
2019년 6월 25일 (화) 16:50 판
개요
'아파치 루신(Apache Lucene)' 기반의 검색 엔진으로 모든 종류의 문서를 검색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실기간 검색 기능뿐만 아니라 강력한 집계 기능을 제공해 실시간 분석 엔진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특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 NoSQL 저장소로도 활용할 수 있다. 웹 서버나 데이터베이스(DB) 서버에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지원한다.
기본 용어
- 인덱스/타입/문서(index/type/document) : 일래스틱서치의 데이터 계층이다.
- 필드(field) : 일래스틱서치에서 문서는 JSON인데, JSON의 각 프로퍼티를 일래스틱서치에서 필드라 부른다.
- 매핑(mapping) : 인덱스/타입/문서의 규칙을 정의한 것이다.
- 색인(index) :
사용 방법
일래스틱서치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일래스틱 서치의 대시보드 어플리케이션인 '키바나(Kibana)'를 통해 가져오는 것이 가장 쉽고 편리하다.
- 키바나를 이용해 데이터를 가져오는 경우
- 키바나 쿼리를 이용해 원하는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한다.
- 화면에 표시된 데이터가 실시간일 필요가 없는 경우 CSV로 데이터를 내보낸다.
- 실시간 데이터를 분석할 경우에는 현재 데이터를 볼 수 있는 쿼리(query DSL)를 생성해 직접 데이터를 요청하면 된다.
사용시 유의점
- 일래스틱서치를 검색 데이터에 활용하고 원본 데이터는 따로 보관한다.
- River 보다는 Logstash 사용을 권장한다.
- 원본 데이터를 Logstash에 바로 입력 가능한 JSON 형식으로 저장해서 AWS의 S3같은 곳에 압축해서 보관한다.
서버 구성 시 유의점
- 1개의 노드에 할당하는 메모리는 30GB를 넘지 않도록 한다.
- ES의 힙메모리 사이즈는 서버 전체 메모리의 50%가 넘지 않도록 한다.
- HD 보다는 SSD에서 성능이 월등히 향상된다.
참고 자료
- <일래스틱서치>, <<네이버 지식백과>>, 2016-1220
- <일래스틱서치>, <<위키백과>>, 2019-05-12
- <엘라스틱서치 사용법>, <<김종민 블로그>>, 2015-04-24
- <엘라스틱서치 기초 사용법>, <<박연오 블로그>>, 2016-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