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증권거래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개요)
(목록)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증권거래소'''(證券去來所, Stock Exchange)는 [[증권]]을 사고 팔려는 사람들이 일정한 시간에 모여서 [[증권]]을 매매할 수 있도록 장소와 시설이 조직화된 [[유통시장]]이다.<ref name="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2325&cid=43667&categoryId=43667 증권거래소]〉, 《네이버 지식백과》 </ref>
 
'''증권거래소'''(證券去來所, Stock Exchange)는 [[증권]]을 사고 팔려는 사람들이 일정한 시간에 모여서 [[증권]]을 매매할 수 있도록 장소와 시설이 조직화된 [[유통시장]]이다.<ref name="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2325&cid=43667&categoryId=43667 증권거래소]〉, 《네이버 지식백과》 </ref>
 +
 +
기업에서 발행한 [[증권]]을 거래하는 [[증권시장]]은 발행시장과 유통시장으로 구분되는데, 증권거래소는 전형적인 유통시장이다. 한국은 부산광역시 동구 자성로 134번지에 [[한국거래소]](KRX) 본사가 있으며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에 서울사무소가 있다. 주식매매의 대부분과 채권매매의 과반수가 이곳에서 집중적으로 거래된다. 미국·일본에는 거래소가 10여 곳에 있으나, 매매의 대부분이 그중 제일 큰 도시에 있는 거래소 한 곳에 집중된다. 한국거래소는 한국증권선물거래소법에 따라서 [[유가증권시장]], [[코스닥시장]], [[선물시장]]의 개설 및 운영을 위해 설립된 주식회사이다. 2005년 1월 증권거래소·선물거래소·코스닥증권시장·코스닥위원회 등 4개 기관이 합병방식으로 통합하여 기존의 회원제 조직에서 영리추구를 기본으로 하는 주식회사 조직으로 전환되었다.
 +
 +
거래를 시작할 때 사고 팔자는 주문(呼價)을 모두 모아서 하나의 시세를 결정하지만(단일가격 매매), 그후부터 그때마다 들어오는 주문중 서로 값이 맞은 것을 매매시켜 나간다(接續賣買). 도중에 특히 매매량이 폭주할 때는 평상시의 접속매매를 중단하고 주문을 한꺼번에 처리하여 주는 일(대량매매)도 있다. 하루 중의 첫 시세를 시가(始價), 끝 시세를 종가(終價)라고 하며, 종가를 그날의 대표시세로 본다. 일반투자자는 증권거래소에 직접 참여할 수 없는 대신, 거래소에서 일어나는 매매상황과 중요한 정보·조치상황은 증권회사 점포에 즉시 전달되고 신문 등에도 공포되므로 매우 공개적인 시장이라 할 수 있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43899&cid=40942&categoryId=31830 증권거래소]〉, 《두산백과》, </ref>
  
 
== 개요 ==
 
== 개요 ==
증권거래소(證券去來所 / Stock Exchange[1])는 한 국가에서 유통되는 모든 유가증권을 유통하는 장소이다. 웬만큼 경제규모가 되는 자본주의 국가 및 자본주의 요소를 받아들인 사회주의 국가(중국, 베트남 등)에 존재하며, 대한민국에는 한국거래소라는 이름으로 존재한다. 거래소에서 증권을 거래할 수 있는 주체는 한국은행 등의 국가은행과 같이 한정되어 있다. 보통은 증권사같은 브로커리지의 중개를 통해 매매가 가능하며, 증권사는 예탁결제원과의 청산 절차를 거치며 장부를 맞추고 자산을 배분한다. 대표적인 유통시장으로, 각 기업이나 정부 등이 발행한 유가증권(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을 명단에 올려(이를 상장이라 한다) 수많은 사람들이 거래할 수 있게끔 중개하는 시스템이다. 각국의 거래소는 금융당국의 감시와 감독 하에 증권을 유통한다.<ref name="나무위키"></ref>
+
증권거래소는 한 국가에서 유통되는 모든 유가증권을 유통하는 장소이다. 웬만큼 경제규모가 되는 자본주의 국가 및 자본주의 요소를 받아들인 사회주의 국가(중국, 베트남 등)에 존재하며, 대한민국에는 한국거래소라는 이름으로 존재한다. 거래소에서 증권을 거래할 수 있는 주체는 [[한국은행]] 등의 국가은행과 같이 한정되어 있다. 보통은 증권사같은 브로커리지의 중개를 통해 매매가 가능하며, 증권사는 예탁결제원과의 청산 절차를 거치며 장부를 맞추고 자산을 배분한다. 대표적인 유통시장으로, 각 기업이나 정부 등이 발행한 유가증권(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을 명단에 올려(이를 상장이라 한다) 수많은 사람들이 거래할 수 있게끔 중개하는 시스템이다. 각국의 거래소는 금융당국의 감시와 감독 하에 증권을 유통한다.<ref name="나무위키"></ref>
  
 
== 한국거래소 역사 ==
 
== 한국거래소 역사 ==
 
1956년 개장 당시에는 상장회사가 12개사에 불과하였으며 매매거래도 국채매매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나, 1961년 들어 주식시장 위주로 변화하였고, 1970년대 들어 정부의 강력한 [[기업공개정책]]에 따라 상장회사수 및 상장자본금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증시규모가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개장 당시에는 증권단ㆍ[[금융단]] 및 [[보험단]]이 출자한 영단제 증권거래소로 운영되었으며, 1962년 증권거래법이 개정되어 주식회사제 [[대한증권거래소]]로 법인격이 변경되었다. 그러나 영리를 목적으로 공정한 시장관리를 소홀히 한 측면이 있어 1963년 5월 공영제 한국증권거래소를 발족하였으나, 정부의 공기업 민영화계획과 관련하여 1988년 3월 회원제 조직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2005년 1월 27일 증권거래소, [[선물거래소]], [[코스닥위원회]], [[코스닥증권시장]] 등 기존 4개 기관이 합병방식으로 통합하여 기존의 회원제 조직에서 영리추구를 기본으로 하는 주식회사 조직인 한국거래소(KRX : Korea Exchange)로 전환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56년 개장 당시에는 상장회사가 12개사에 불과하였으며 매매거래도 국채매매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나, 1961년 들어 주식시장 위주로 변화하였고, 1970년대 들어 정부의 강력한 [[기업공개정책]]에 따라 상장회사수 및 상장자본금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증시규모가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개장 당시에는 증권단ㆍ[[금융단]] 및 [[보험단]]이 출자한 영단제 증권거래소로 운영되었으며, 1962년 증권거래법이 개정되어 주식회사제 [[대한증권거래소]]로 법인격이 변경되었다. 그러나 영리를 목적으로 공정한 시장관리를 소홀히 한 측면이 있어 1963년 5월 공영제 한국증권거래소를 발족하였으나, 정부의 공기업 민영화계획과 관련하여 1988년 3월 회원제 조직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2005년 1월 27일 증권거래소, [[선물거래소]], [[코스닥위원회]], [[코스닥증권시장]] 등 기존 4개 기관이 합병방식으로 통합하여 기존의 회원제 조직에서 영리추구를 기본으로 하는 주식회사 조직인 한국거래소(KRX : Korea Exchange)로 전환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한국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상품은 주식, 선물, 옵션, 상장지수펀드(ETF), 주식워런트증권(ELW), 채권 등이 있다. 한국거래소는 유가증권시장코스닥시장 및 파생상품시장의 개설ㆍ운영에 관한 업무, 증권 및 장내파생상품의 매매에 관한 업무, 증권의 매매거래 및 파생상품거래에 따른 청산 및 결제에 관한 업무, 증권의 상장에 관한 업무, 장내파생상품 매매의 유형 및 품목의 결정에 관한 업무, 상장법인의 신고·공시에 관한 업무, 시장감시, 이상거래의 심리 및 회원에 대한 감리에 관한 업무 등을 수행한다.<ref name="지식백과"></ref>
+
 
 +
한국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상품은 [[주식]], [[선물]], [[옵션]], [[상장지수펀드]](ETF), [[주식워런트증권]](ELW), [[채권]] 등이 있다. 한국거래소는 유가증권시장코스닥시장 및 파생상품시장의 개설ㆍ운영에 관한 업무, 증권 및 장내파생상품의 매매에 관한 업무, 증권의 매매거래 및 파생상품거래에 따른 청산 및 결제에 관한 업무, 증권의 상장에 관한 업무, 장내파생상품 매매의 유형 및 품목의 결정에 관한 업무, 상장법인의 신고·공시에 관한 업무, 시장감시, 이상거래의 심리 및 회원에 대한 감리에 관한 업무 등을 수행한다.<ref name="지식백과"></ref>
  
 
== 목록 ==
 
== 목록 ==
 
=== 아시아 ===
 
=== 아시아 ===
 +
{{다단3|
 
* [[대한민국]]
 
* [[대한민국]]
 
** [[한국거래소]](KRX)
 
** [[한국거래소]](KRX)
16번째 줄: 22번째 줄:
 
* [[싱가포르]]
 
* [[싱가포르]]
 
** [[싱가포르 거래소]](SGX)
 
** [[싱가포르 거래소]](SGX)
 +
|
 
* [[인도]]
 
* [[인도]]
 
** [[봄베이증권거래소]](BSE)
 
** [[봄베이증권거래소]](BSE)
24번째 줄: 31번째 줄:
 
* [[일본]]
 
* [[일본]]
 
** [[일본거래소]](JPX)
 
** [[일본거래소]](JPX)
 +
|
 
* [[중화인민공화국]]
 
* [[중화인민공화국]]
 
** [[상하이증권거래소]](SSE)
 
** [[상하이증권거래소]](SSE)
32번째 줄: 40번째 줄:
 
* [[태국]]
 
* [[태국]]
 
** [[태국증권거래소]](SET)
 
** [[태국증권거래소]](SET)
 +
|
 +
}}
 
=== 북아메리카 ===
 
=== 북아메리카 ===
 +
{{다단2|
 
* [[미국]]
 
* [[미국]]
 
** [[나스닥]](NQ)
 
** [[나스닥]](NQ)
39번째 줄: 50번째 줄:
 
** [[멤버스거래소]](MEMX)
 
** [[멤버스거래소]](MEMX)
 
** [[시카고상업거래소]](CME)
 
** [[시카고상업거래소]](CME)
 +
|
 
* [[멕시코]]
 
* [[멕시코]]
 
** [[멕시코증권거래소]](BMV)
 
** [[멕시코증권거래소]](BMV)
 
* [[캐나다]]
 
* [[캐나다]]
 
** [[토론토증권거래소]](TSX)
 
** [[토론토증권거래소]](TSX)
 +
|
 +
}}
 
=== 유럽 ===
 
=== 유럽 ===
 +
{{다단2|
 
* [[독일]]
 
* [[독일]]
 
** [[도이체 뵈르제]](DB)
 
** [[도이체 뵈르제]](DB)
52번째 줄: 67번째 줄:
 
* [[스페인]]
 
* [[스페인]]
 
** [[스페인거래소]](BME)
 
** [[스페인거래소]](BME)
 +
|
 
* [[유럽]]
 
* [[유럽]]
 
** [[유로넥스트]](ENX)
 
** [[유로넥스트]](ENX)
58번째 줄: 74번째 줄:
 
* [[튀르키예]]
 
* [[튀르키예]]
 
** [[이스탄불증권거래소]](BIST)
 
** [[이스탄불증권거래소]](BIST)
 +
|
 +
}}
 
=== 기타 ===
 
=== 기타 ===
 
* [[브라질]]
 
* [[브라질]]
84번째 줄: 102번째 줄:
 
* 〈[https://namu.wiki/w/%EC%A6%9D%EA%B6%8C%EA%B1%B0%EB%9E%98%EC%86%8C#s-3 증권거래소]〉,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C%A6%9D%EA%B6%8C%EA%B1%B0%EB%9E%98%EC%86%8C#s-3 증권거래소]〉, 《나무위키》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2325&cid=43667&categoryId=43667 증권거래소]〉,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2325&cid=43667&categoryId=43667 증권거래소]〉, 《네이버 지식백과》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43899&cid=40942&categoryId=31830 증권거래소]〉, 《두산백과》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증권]]
 
* [[증권]]
 
* [[거래소]]
 
* [[거래소]]
 +
* [[증권시장]]
 +
* [[코스닥]]
 +
* [[유가증권시장]]
 +
* [[선물시장]]
 +
* [[증권사]]
  
 
{{금융|검토 필요}}
 
{{금융|검토 필요}}

2024년 3월 14일 (목) 15:16 기준 최신판

증권거래소(證券去來所, Stock Exchange)는 증권을 사고 팔려는 사람들이 일정한 시간에 모여서 증권을 매매할 수 있도록 장소와 시설이 조직화된 유통시장이다.[1]

기업에서 발행한 증권을 거래하는 증권시장은 발행시장과 유통시장으로 구분되는데, 증권거래소는 전형적인 유통시장이다. 한국은 부산광역시 동구 자성로 134번지에 한국거래소(KRX) 본사가 있으며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에 서울사무소가 있다. 주식매매의 대부분과 채권매매의 과반수가 이곳에서 집중적으로 거래된다. 미국·일본에는 거래소가 10여 곳에 있으나, 매매의 대부분이 그중 제일 큰 도시에 있는 거래소 한 곳에 집중된다. 한국거래소는 한국증권선물거래소법에 따라서 유가증권시장, 코스닥시장, 선물시장의 개설 및 운영을 위해 설립된 주식회사이다. 2005년 1월 증권거래소·선물거래소·코스닥증권시장·코스닥위원회 등 4개 기관이 합병방식으로 통합하여 기존의 회원제 조직에서 영리추구를 기본으로 하는 주식회사 조직으로 전환되었다.

거래를 시작할 때 사고 팔자는 주문(呼價)을 모두 모아서 하나의 시세를 결정하지만(단일가격 매매), 그후부터 그때마다 들어오는 주문중 서로 값이 맞은 것을 매매시켜 나간다(接續賣買). 도중에 특히 매매량이 폭주할 때는 평상시의 접속매매를 중단하고 주문을 한꺼번에 처리하여 주는 일(대량매매)도 있다. 하루 중의 첫 시세를 시가(始價), 끝 시세를 종가(終價)라고 하며, 종가를 그날의 대표시세로 본다. 일반투자자는 증권거래소에 직접 참여할 수 없는 대신, 거래소에서 일어나는 매매상황과 중요한 정보·조치상황은 증권회사 점포에 즉시 전달되고 신문 등에도 공포되므로 매우 공개적인 시장이라 할 수 있다.[2]

개요[편집]

증권거래소는 한 국가에서 유통되는 모든 유가증권을 유통하는 장소이다. 웬만큼 경제규모가 되는 자본주의 국가 및 자본주의 요소를 받아들인 사회주의 국가(중국, 베트남 등)에 존재하며, 대한민국에는 한국거래소라는 이름으로 존재한다. 거래소에서 증권을 거래할 수 있는 주체는 한국은행 등의 국가은행과 같이 한정되어 있다. 보통은 증권사같은 브로커리지의 중개를 통해 매매가 가능하며, 증권사는 예탁결제원과의 청산 절차를 거치며 장부를 맞추고 자산을 배분한다. 대표적인 유통시장으로, 각 기업이나 정부 등이 발행한 유가증권(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을 명단에 올려(이를 상장이라 한다) 수많은 사람들이 거래할 수 있게끔 중개하는 시스템이다. 각국의 거래소는 금융당국의 감시와 감독 하에 증권을 유통한다.[3]

한국거래소 역사[편집]

1956년 개장 당시에는 상장회사가 12개사에 불과하였으며 매매거래도 국채매매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나, 1961년 들어 주식시장 위주로 변화하였고, 1970년대 들어 정부의 강력한 기업공개정책에 따라 상장회사수 및 상장자본금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증시규모가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개장 당시에는 증권단ㆍ금융단보험단이 출자한 영단제 증권거래소로 운영되었으며, 1962년 증권거래법이 개정되어 주식회사제 대한증권거래소로 법인격이 변경되었다. 그러나 영리를 목적으로 공정한 시장관리를 소홀히 한 측면이 있어 1963년 5월 공영제 한국증권거래소를 발족하였으나, 정부의 공기업 민영화계획과 관련하여 1988년 3월 회원제 조직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2005년 1월 27일 증권거래소, 선물거래소, 코스닥위원회, 코스닥증권시장 등 기존 4개 기관이 합병방식으로 통합하여 기존의 회원제 조직에서 영리추구를 기본으로 하는 주식회사 조직인 한국거래소(KRX : Korea Exchange)로 전환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한국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상품은 주식, 선물, 옵션, 상장지수펀드(ETF), 주식워런트증권(ELW), 채권 등이 있다. 한국거래소는 유가증권시장코스닥시장 및 파생상품시장의 개설ㆍ운영에 관한 업무, 증권 및 장내파생상품의 매매에 관한 업무, 증권의 매매거래 및 파생상품거래에 따른 청산 및 결제에 관한 업무, 증권의 상장에 관한 업무, 장내파생상품 매매의 유형 및 품목의 결정에 관한 업무, 상장법인의 신고·공시에 관한 업무, 시장감시, 이상거래의 심리 및 회원에 대한 감리에 관한 업무 등을 수행한다.[1]

목록[편집]

아시아[편집]

북아메리카[편집]

유럽[편집]

기타[편집]

각 증권거래소 모습[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1.0 1.1  〈증권거래소〉, 《네이버 지식백과》 
  2.  〈증권거래소〉, 《두산백과》, 
  3. 3.0 3.1  〈증권거래소〉, 《나무위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증권거래소 문서는 금융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