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1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1월 1일'''은 양력(그레고리력)으로 1번째 날(첫해가 시작한 날)이다. == 새해 첫날 == 전세계적으로 새해를 맞이한 날인 새해 첫날로서...) |
(태그: 모바일 편집, 모바일 웹 편집)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 새해 첫날 == | == 새해 첫날 == | ||
− | 전세계적으로 새해를 맞이한 날인 새해 첫날로서 기념한다. 기원전 45년 [[카이사르]]가 [[로마 공화정]]의 유일한 [[권력자]]가 된 후, 봄의 시작해서 한겨울인 이 날로 1월 1일을 옮겼다. | + | 전세계적으로 새해를 맞이한 날인 새해 첫날로서 기념한다. [[기원전 45년]] [[카이사르]]가 [[로마 공화정]]의 유일한 [[권력자]]가 된 후, 봄의 시작해서 한겨울인 이 날로 [[1월]] 1일을 옮겼다. 그 근거가 로마의 남부 지방 [[이집트]]에선 옮겨진 [[1월]] 1일이 [[한겨울]]이 아닌 따뜻한 날짜란 것이었으며, 옮기기 전에 [[1월]] 1일은 지금의 [[3월]] 1일이다. |
+ | |||
+ | [[대한민국]]에선 이 날을 음력 [[1월]] 1일인 설과 구분해 '양력설' 또는 '신정(新正)'이라고 부른다. 일제강점기와 이승만 정부 시대와, 박정희 대부 시대 때엔 이중과세(二重過歲) 문제를 없앤단 구실로 양력설만을 연휴([[1월]] 1~3일)로 지정하고, 음력설을 쇠지 못하게 강제하여 [[서울]] 등 대도시에선 양력설에 차례를 지내던 가정도 존재했다. | ||
+ | |||
+ | == 사건 == | ||
+ | * 기원전 153년 - 로마 공화정의 집정관이 첫 임기를 시작하다. | ||
+ | * | ||
+ | |||
+ | == 문화 == | ||
+ | * 1707년 - [[주앙 5세]]가 포르투갈의 왕위에 오리다. | ||
+ | * | ||
+ | |||
+ | == 탄생 == | ||
+ | * | ||
+ | |||
+ | == 사망 == | ||
+ | * | ||
+ | |||
+ | == 기념일 == | ||
+ | * [[새해 첫날]] | ||
+ | |||
+ | == 같이 보기 == | ||
+ | * [[1월]] | ||
+ | * [[1일]] | ||
+ | |||
+ | {{날짜|토막글}} |
2024년 12월 2일 (월) 08:21 기준 최신판
1월 1일은 양력(그레고리력)으로 1번째 날(첫해가 시작한 날)이다.
새해 첫날[편집]
전세계적으로 새해를 맞이한 날인 새해 첫날로서 기념한다. 기원전 45년 카이사르가 로마 공화정의 유일한 권력자가 된 후, 봄의 시작해서 한겨울인 이 날로 1월 1일을 옮겼다. 그 근거가 로마의 남부 지방 이집트에선 옮겨진 1월 1일이 한겨울이 아닌 따뜻한 날짜란 것이었으며, 옮기기 전에 1월 1일은 지금의 3월 1일이다.
대한민국에선 이 날을 음력 1월 1일인 설과 구분해 '양력설' 또는 '신정(新正)'이라고 부른다. 일제강점기와 이승만 정부 시대와, 박정희 대부 시대 때엔 이중과세(二重過歲) 문제를 없앤단 구실로 양력설만을 연휴(1월 1~3일)로 지정하고, 음력설을 쇠지 못하게 강제하여 서울 등 대도시에선 양력설에 차례를 지내던 가정도 존재했다.
사건[편집]
- 기원전 153년 - 로마 공화정의 집정관이 첫 임기를 시작하다.
문화[편집]
- 1707년 - 주앙 5세가 포르투갈의 왕위에 오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