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송"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썸네일|300픽셀|1142년 남송의 영역(자주색) '''남송'''(南宋 : 1127년 ~ 1279년)은 중국의 왕조이다. ...) |
(→같이 보기)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2번째 줄: | 112번째 줄: | ||
== 참고자료 == | == 참고자료 == | ||
* 〈[https://ko.wikipedia.org/wiki/%EB%82%A8%EC%86%A1 남송]〉, 《위키백과》 | * 〈[https://ko.wikipedia.org/wiki/%EB%82%A8%EC%86%A1 남송]〉, 《위키백과》 | ||
− | * 〈[https://zh.wikipedia.org/wiki/%E5%8D%97%E5%AE%8B | + | * 〈[https://zh.wikipedia.org/wiki/%E5%8D%97%E5%AE%8B 南宋]〉, 《维基百科》 |
− | ]〉, | ||
== 같이 보기 == | == 같이 보기 == | ||
121번째 줄: | 120번째 줄: | ||
{{역사|검토 필요}} | {{역사|검토 필요}} | ||
− | [[분류: | + | [[분류:중국사]] |
2024년 11월 22일 (금) 10:24 기준 최신판
남송(南宋 : 1127년 ~ 1279년)은 중국의 왕조이다. 조광윤(趙匡胤)이 건국한 북송이 여진족의 금나라에게 1126년 멸망당하고 황제가 사로잡힌 정강의 변을 겪으면서, 종실 강왕(康王) 조구(趙構) (훗날 고종)가 남쪽으로 옮겨 양자강 이남의 땅 임안(臨安, 현재의 항저우)으로 천도하여 부흥한 정권을 가리켜 남송이라고 부른다. 몽골인이 세운 몽골제국과 한족이 세운 남송은 국가의 존망이 달려있는 전쟁을 시작하였고 남송은 1279년에 멸망하였다.
목차
역사[편집]
1126년 북송의 수도 개봉부(카이펑)이 여진족에 함락되어 북송의 휘종(徽宗)과 흠종(欽宗)의 모든 가족들이 금나라에 잡혀가는 정강의 변이 일어났다. 송나라 휘종과 흠종의 부인과 모친 등 휘종과 흠종의 많은 일족들이 여진족들의 유곽에 끌려가 기생이 되는 치욕을 당했다. 북송이 멸망한 후, 흠종의 동생 강왕 조구는 남쪽으로 도망쳐 1127년 난징에서 등극하여 고종(高宗)이 되어 송나라를 재흥했다. 처음엔 악비(岳飛), 한세충(韓世忠) 등의 활약으로 인해 금나라에게 강력하게 저항했으나, 진회(秦檜)가 재상으로 취임하면서 주전론(主戰論)을 누르고, 금나라와 화평을 맺었다. 화평 후 진회는 완전히 권력을 장악하고, 이때까지 악비 등의 군벌의 손에 장악당한 군의 지휘권을 조정으로 되돌렸다. 또 한편으로는 주전론자들을 탄압하여 송나라 충신 악비는 살해되고, 한세충은 은거를 하였다.
효종의 치세[편집]
진회의 사후 금나라의 4대 황제 해릉왕(海陵王)이 침공을 개시했다. 금나라의 여진인 대군이었으나, 해릉왕은 권력 확립을 위해 수많은 사람을 살해했기 때문에 금나라의 황족 중 한 사람인 완안옹(完顔雍)이 해릉왕에 대해 반란을 일으켰다. 금나라의 유력자들은 속속 완안옹의 곁으로 모이게 되었고, 해릉왕은 군중에서 살해되었다. 완안옹은 금나라의 세종(世宗)이 되어 송나라와 화평을 맺었다. 같은해 고종은 퇴위하여 태상황이 되고, 양자인 조신(趙昚)이 즉위하여 효종(孝宗)이 되었다.
금나라의 세종, 남송의 효종은 각자가 속한 왕조에서 가장 최고의 명군으로 불렸던 인물들이었는데, 우연하게도 동시대에 2명의 명군이 남쪽과 북쪽에 나타나게 되어 평화가 찾아오게 되었다.
효종은 불필요한 관리의 숫자를 줄이고, 당시 남발기미가 보이던 회자(會子;지폐)의 절제 및 농촌의 체력회복, 강남경제의 활성화 등 여러 가지 개혁을 추진해 남송은 번영을 구가하게 되었다.
한탁주 시대[편집]
효종이 1189년 퇴위하여, 조돈(趙惇)이 즉위하여 광종(光宗)이 되었다. 광종은 아버지와는 다르게 우둔하였기에 황후 이씨의 말밖에는 듣지않았다. 황제에 불만을 품은 종실 재상 조여우(趙汝愚)와 한탁주(韓侂胄) 등에 의해 광종은 퇴위당했다. 한탁주는 이 공적으로 권력의 자리에 가까이 다가가게 될 것이라 생각했지만, 한탁주의 인격을 좋아하지 않은 조여우 등은 한탁주를 멀리했다.
이것에 원한을 품은 한탁주는 조여우 등을 몰아내기 위한 운동을 시작해 1195년(경원 원년) 조여우는 재상직에서 물러났고, 경원 3년에는 조여우편에 섰던 주필대(周必大), 유정(留正), 왕난(王藺), 주자(朱子), 팽귀년(彭龜年) 등 59명이 금고(禁錮)에 처해졌다. 그 이듬해에는 주자의 성리학(性理學;당시 도학(道學)이라고 불렸다) 역시 위학이라고하여 탄압받는 지경에 이르렀다.(경원위학의 금(慶元僞學之禁)) 이와 같은 일련의 사건을 경원의 당금(慶元之黨禁)이라 불렀다.
한탁주는 그 후 10년동안 권력을 유지했으나, 뒤를 보호해주던 황후와 황태후가 차례로 붕어하자, 권력이 서서히 줄어들게 되었다. 이때 금나라가 북쪽의 타타르 등의 침입에 괴로워하는 모습을 보고 금나라는 약체화되었다고 본 한탁주는 남송의 비원인 금나라 타도를 성공시킨다면 권력을 확고부동할 수 있을거라 생각하고 개희북벌을 감행했으나 실패했다. 실제 금나라는 곤란한 상황이었으나, 그 이상으로 남송군의 약체화가 현저하였던 것이다.
1207년 금나라는 조기 화평을 희망하고, 한탁주의 머리를 요구하자, 사미원(史弥遠)은 한탁주는 살해하고, 그의 머리는 소금에 절여져 금나라로 보내지는 것으로 금나라와 화의를 맺고 금나라에 조공을 바쳤다. 그리고 한탁주을 살해한 사미원이 이번에 권력을 장악하고 그 후 26년 동안 재상의 지위를 차지했다.
금나라의 멸망[편집]
이 때 북쪽의 몽골고원에서는 몽골제국이 급속도로 세력을 확대하였다. 사미원이 사망한 1233년 몽골 제국이 금나라의 수도를 함락시키자, 남쪽으로 도망친 금나라 최후의 황제 애종(哀宗)을 잡아 1234년 2월 금나라는 멸망했다.
몽골과의 전쟁, 멸망[편집]
이 후 몽골은 일시 북쪽으로 물러나고, 이후 1234년 6월 송나라군이 북상하여 낙양과 카이펑을 회복하였다. 하지만 낙양과 카이펑은 이미 여진족과 몽골족의 전쟁에 황폐화되어 인구는 사방으로 도망쳐 볼모지상태였다. 낙양과 카이펑의 회복은 몽골과의 조약위반이였다. 결국 1235년 2월 쿠릴타이에서 남송에 대한 침공이 결정되었으며, 몽골과 남송간의 전쟁이 시작되었다. 이 전쟁은 1235년부터 멸망한 1279년까지 44년이라는 장구한 시간 동안 이어졌으며 남송은 공물과 공녀를 계속 보냈다. 하지만 몽골군에 의해 남송은 유린되어 가며 멸망하였다.
1차 침공[편집]
1235년 10월 성도(현 청두)가 몽골군에게 함락당했고, 다음 해 3월엔 양양성이, 1237년에는 황주까지 몽골군이 진출했다. 몽골은 이전 다른 국가들과 전쟁 때는 그 지역 사람들의 인망을 얻기 위해 학살하지 않았으나 격렬하게 저항하는 송나라의 전쟁에선 행동을 바꾸어 가는 곳마다 한족들을 학살하였고 노비로 끌고 갔으며 몽골군이 지나간 곳에는 아무것도 남지 않았다. 남송의 명장인 맹공(孟珙)이 반격해, 양양성, 기주성 등을 탈환하고, 사천에서 몽골군을 막았다. 그리고 1241년 오고타이 칸이 사망하자, 몽골과 송나라 사이의 전쟁은 잠시 멈춘다.
2차 침공[편집]
이후 1253년 운남 지역에 있던 대리국을 점령한 몽골 제국은 1258년 몽케 칸이 다시 남송을 침공하였다. 몽케 칸은 동생인 쿠빌라이 칸을 시켜서 후난성 방면을 침공하게 했고, 자신은 쓰촨성에 있는 성도를 점령한 후, 오늘날 충칭시인 조어성을 포위하였다. 몽골군은 송나라 영토 전체를 휩쓸며 수십개의 성들을 공략할 때 성을 포위하여 한족들을 굶겨 죽이고 성 밖으로 나오는 자들도 모두 죽였다. 몽케 칸이 전염병으로 병사함으로써 전쟁이 또 잠시 멈추었다.
한편 쿠빌라이 칸이 공격한 무창에 원군으로 온 가사도(賈似道)는 쿠빌라이와 밀약을 맺어서 쿠빌라이를 퇴각시켰다. 이후 몽골을 격퇴한 영웅으로써 환영받게 된 가사도는 그 인기에 힘입어 재상이 되어, 전권을 임명받았다. 가사도는 교묘한 정치수완을 발휘하고, 공전법 등 농정 개혁에 힘쓰는 한편, 인기를 얻는 것도 잊지 않아 그 후 15년에 걸쳐 남송 정권을 장악했다.
3차 침공[편집]
3차 침공은 더욱 잔인하였으며 가는 곳마다 학살이 행해졌고 사로 잡힌 한족들을 성 밖에서 울부짖게 하여 남송군의 사기를 저하시켰다. 1278년 몽골의 장군 바얀에 의해 결국 남송의 수도인 임안이 정복당하면서 송나라는 멸망했다. 그 시기 남송의 장세걸(張世傑), 육수부 등 일부 군인과 관료는 남송의 어린 황자를 데리고 나와 남송 황제로 옹립하고, 광저우 남쪽으로 도망쳐 항전을 계속하였다. 1279년 그들은 처절하게 저항했지만 광주만(廣州灣)의 애산(厓山)에서 몽골군에 포위되어 격멸당해 이것으로 인해 송나라는 완전히 멸망하였다(애산 전투). 원나라의 통치 아래에서 송나라의 유민으로써 살아남기를 계속한 자들도 있어 《문장궤범》을 편찬한 사방득, 《십팔사략》을 저술한 증선지, 《자치통감음주》(자치통감의 주석서) 등이 있다.
영토[편집]
북쪽 영토가 금나라에 의해 빼앗기고 송나라와 금나라의 남북 대치가 형성되면서 남송의 영토은 북송 시기보다 축소되었다. 이 시기는 중국의 두 번째 남북조 시기로 불리며, 1139년(소흥 9년) 송나라과 금나라의 첫 번째 합의에서 양측은 황하를 경계로 정했다. 그러나 금나라가 약속을 깨고 허난과 산시를 점령하면서 1141년에는 회하를 경계로 다시 합의하였고, 다음 해에는 서부 경계를 대산관(현재 산시성 뽀지시 남서부) 및 현재 진령 이남으로 조정했다. 이후 일부 변동이 있었으나, 기본적으로 진령과 회하에서 안정되었다.
정치[편집]
남송은 북송의 정책을 계승하여 중앙집권을 강화했다. 이는 중앙과 지방 권력, 관료 기관, 사법, 군권 등 여러 방면에서 중앙집권을 강화하는 일련의 조치를 통해 국가 내부의 통일, 사회 안정, 경제 발전을 유지하려는 목적이었다. 인재등용제도 측면에서는 북송의 "황제와 사대부가 함께 천하를 다스리는 시대"를 계승하여, 출신 문벌에 제한받지 않고 중형 죄인이 아니면 상공업자, 잡류, 승려, 농민, 심지어 도살업자도 시험에 응시하여 관직을 받을 수 있었다. 남송의 과거 급제자 대부분은 평민이었다. 북송, 남송 시기에 봉건사회 사상문화 환경이 가장 자유로운 시기였으며, 객관적으로 경제, 사회, 문화 발전에 긍정적인 촉진 역할을 했다고 평가한다. 이러한 배경은 남송이 다양한 계층의 인재를 등용하고, 사회적 유연성을 높여 경제와 문화의 발전을 도모한 결과로 볼 수 있다.
경제[편집]
남송 시기에 남방 경제가 북방을 초과하게 된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전쟁의 영향 감소: 남송 초기, 금나라 군대가 여러 차례 남쪽을 공격했지만, 장강을 넘는 경우가 드물어 남방 지역은 전쟁의 피해를 상대적으로 적게 받았다. 이는 남방 경제가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 인구 증가: 많은 북방의 송나라 사람들이 금나라의 통치를 피하고자 남방으로 이주했다. 이로 인해 남방의 인구가 크게 증가하였고, 이는 경제 활동의 활성화로 이어졌다.
- 경제 정책의 변화: 송나라는 "농상병중"(农商并重)이라는 국책을 확립하여 농업과 상업을 동등하게 중시했다. 또한, 상업을 장려하는 정책을 통해 사회 각 계층이 상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는 상품 경제의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왔다. 상업이 농업과 함께 사회 부를 창출하는 중요한 원천으로 인식되면서 상인의 사회적 지위도 크게 향상되었다.
농업[편집]
남송의 농업 발전은 "농업 혁명"으로 불릴 만큼 두드러졌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농업용수 개발: 농업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농업용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 대규모의 위전 개간: 새로운 농지를 개간하여 경작지를 확대하였다.
- 우수 농작물 품종 보급: 농작물의 품질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우수한 품종이 보급되었다.
- 경제 작물 재배 면적 확대: 경제적 가치를 지닌 작물의 재배 면적이 확대되었다.
- 쌀 재배의 보편화: 쌀 재배가 더욱 보편화되어 식량 생산의 중심이 되었다.
- 면화 재배 지역 확대: 면화 재배가 북송 시기에 국한되었던 복건, 양광 지역에서 장강과 회하 유역으로 확대되었다.
남송 시기에는 농작물의 단위 면적당 생산량이 당대에 비해 두세 배 증가하였으며, "소호숙, 천하족"이라는 속담도 이 시기에 등장했다. 이는 농업 생산성의 비약적인 발전을 나타내며, 일부 학자들은 이를 "농업 혁명"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방직업[편집]
남송 말기에 이르러 면화 재배가 널리 보급되면서, 강남 지역에서는 면직물의 방직이 비교적 일반화되었다. 남송 시인 애가숙의 《목면시》에 따르면, 당시에는 이미 방적기, 활, 직기 등의 도구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남송의 섬유 산업은 상당한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그 규모와 기술은 동시대의 여진 금나라를 크게 능가하였다.
조선업[편집]
남송 시대는 강남 지역에 위치하여 교통 운송에 주로 선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조선업이 발달하였다. 주요 조선 중심지로는 명주, 천주, 광주 등이 있었으며, 이들 지역에서는 대형 해상 선박을 제조할 수 있었다. 조선업은 전례 없는 발전을 이루었으며, 조운선, 상선, 유람선 등 다양한 종류의 선박이 대량으로 제작되었다. 특히, 해상 선박에 사용된 다중 돛대는 이전 시대에는 없던 혁신적인 기술이었으며, 전투선의 종류도 다양하여 금나라, 몽골과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자기업[편집]
남송 시대에 많은 관요가 남쪽으로 이주하였고, 그 중 유명한 "수내사관요"는 임안의 봉황산 아래에 설립되었다. 경덕진은 이미 전국적으로 유명한 도자기 제조 중심지로 발전하였으며, 그 제품은 각지에 판매되었다. 경덕진에서 소성된 도자기는 매우 정교하여 "요옥"이라고 불렸다.
제지업 및 인쇄업[편집]
남송 시대의 문화 사업 발전은 인쇄업과 제지업의 번영을 가져왔다. 당시 관청과 민간은 모두 서적 인쇄에 종사하였으며, 임안, 복건, 사천은 인쇄업의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특히 임안 국자감에서 출판한 도서는 "감본"이라고 불리며, 인쇄 기술이 뛰어났다. 사천과 복건에도 많은 서방이 존재했다. 제지업에서는 종이의 품종, 질, 양 모두에서 현저한 진보가 있었으며, 성도, 임안, 휘주, 지주, 평강, 건양 등이 주요 종이 생산지로 알려졌다.
지폐[편집]
남송 시대는 지폐가 대량으로 유통되면서 동전을 점차 대체하여 주요 교환 수단이 되었다. 남송의 지폐는 "교자"와 "회자"로 나뉘며, "교자"는 주로 사천 지역에서 사용되었고, "회자"는 "동남 회자", "양회 회자", "호북 회자"의 세 종류로 나눈다. 그러나 남송 후반기에는 지폐의 대량 발행으로 인해 화폐 가치가 하락하고 물가가 급등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러한 경제적 변화는 당시 사회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지폐의 대량 발행은 통화 가치의 불안정을 초래하여 경제적 혼란을 야기했다.
대외무역[편집]
남송 시대의 해외 무역은 여러 대형 해항의 번영을 통해 그 활기를 드러냈다. 광저우, 취안저우, 임안, 명주(저장 닝보) 등 주요 항구들이 외국과의 무역을 위한 중심지로 발전하였으며, 남송의 해안선에는 약 20개의 항구가 외국과의 교역을 위해 활발히 운영되었다. 이러한 무역의 번영은 남송 시대의 경제적 성과를 잘 보여주며, 당시 남송과 무역 관계를 맺고 있던 국가와 지역은 60개 이상에 달했다.
남송의 수출 상품은 주로 수공업 제품으로 구성되어 부가가치가 높았으며, 수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외국과의 무역 범위도 확대되었다. 반면, 수입 상품은 주로 원자재와 초기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금나라: 송나라와 금나라는 회하 지역에 "각장"이라는 무역 시장을 설치했다. 이 외에도 민간에서의 사적 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 서하: 서하는 남송(南宋)이 건국될 당시 하황 지역(河湟地区, 현재의 칭하이 동부)을 점령하였고, 이로 인해 실크로드를 통한 육상 무역이 중단되었다. 이는 당시 동서양 간의 교역에 큰 장애가 되었으며, 해상 무역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는 계기가 되었다.
- 서아시아: 남송 시기에 모든 무역은 거의 해상 실크로드를 통해 이루어졌다. 남송은 세폐 지출이 막대하여 내부 세수가 무거웠고, 경제는 서방과의 무역에 크게 의존했다. 아랍 상인의 왕래가 점점 증가하면서 해상 무역의 번영을 촉진했다.
- 고려: 송나라가 성립된 후, 각지에 시박사를 설치하여 고려와의 무역을 발전시켰다. 고려는 주로 금, 은, 인삼, 종이 등을 수출했고, 송나라는 비단, 도자기, 서적 등을 수출했습니다. 이러한 무역은 양국의 경제와 문화 교류에 큰 기여를 했다.
- 일본: 일본은 대재부의 감독 하에 무역을 진행하며, 홍려관이라는 접대 및 거래 기관을 건설했다. 그러나 중일 간에는 공식적인 외교 무역이 없었고, 개인 무역에 한정되었다. 송나라 상인들은 주로 하카타와 에치젠 쓰루가에서 거래를 했다.
과학기술[편집]
중국 역사에서 중요한 발명의 절반 이상이 송나라에서 이루어졌으며, 송나라의 많은 과학기술 발명이 중국 과학기술사 및 세계 과학기술사에서 첫 번째이다. 화약과 화약 무기의 대규모 사용과 보급은 남송에서 시작되었으며, 근대의 총포는 남송에서 등장한 원시적인 관형 화기를 기반으로 발전했다. 남송은 위력이 큰 화포를 전투에 널리 사용하여 화기 제조 기술의 큰 진보를 반영했다.
송나라 시기 동안 중국의 과학기술은 크게 발전했다. 특히 남송 시기에는 수학과 과학 교재가 대량으로 보급되었고, 다양한 기술적 혁신이 이루어졌다. 다음은 그 주요 발전 사항이다.
- 수력 수차와 수운의상대: 남송인들은 수력 수차를 이용하여 3층 높이의 시계인 수운의상대를 제작했다. 이는 당시의 기술적 성과를 보여주는 중요한 예이다.
- 강수량과 강설량 측정: 남송 시기에는 강수량과 강설량을 처음으로 측정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 부교와 홍교 기술: 북송 시기에 시작되어 남송 시기에 번성한 부교는 휘종이 발명한 것으로, 교량 아래에 부유물을 두어 필요시 대형 선박이 지나갈 수 있도록 했다. 또한, 홍교 기술도 이 시기에 등장했다.
- 수학적 발전: 한신점병과 같은 수학 문제들이 완전한 해석을 받았으며, 원주율의 정밀도가 향상되었다. 송나라를 "위대한 대수학자의 시대"라고 칭하며, 중국의 대수학이 송나라 시기에 최고조에 달했다고 평가했다.
- 심괄의 몽계필담: 심괄은 몽계필담을 저술하며 공진 현상 실험을 처음으로 수행하여 서양보다 수 세기 앞섰다.
- 수공업의 발전: 남송의 수공업은 섬유업, 조선업, 도자기 제조업, 제지업, 인쇄업, 화기 제조업 등에서 큰 발전을 이루었다.
- 화약과 화약 무기: 화약과 화약 무기의 대규모 사용과 보급은 남송에서 시작되었다. 근대의 총포는 남송에서 등장한 원시적인 관형 화기를 기반으로 발전했으며, 남송은 위력이 큰 화포를 전투에 널리 사용하여 화기 제조 기술의 큰 진보를 반영했다.
문화[편집]
신기질의 애국 시는 그의 강한 애국심과 민족적 정서를 담고 있어 널리 전파되었다. 그는 남송 시대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그의 시는 주로 금나라에 대한 반감을 표현하고 송나라의 부흥을 염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러한 시들은 당시 사람들에게 큰 감동을 주었고, 오늘날까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송리종 시대에는 주희의 도학, 즉 정주리학이 크게 발전하였다. 이는 유교의 철학적 체계를 정립하고, 도덕적 수양을 강조하는 학문으로, 당시 사회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시기의 예술 스타일은 외래 문화의 영향을 받지 않고 주로 고대 전통을 계승하였다. 산수화는 여전히 중요한 회화 범주였으며, 마원과 하계 같은 산수화가들이 지역의 풍경를 아련하고 부드러운 경치로 묘사하였다. 이는 북송 산수화가들이 그린 험준한 산수 경치와 대조를 이루며, 송고종의 화원에서 발전한 "마하" 화풍으로 불리기도 한다.
근대 중국 문화는 사실상 송나라 문화에서 비롯되었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