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종류) |
(→종류)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 종류 == | == 종류 == | ||
− | 클라우드는 사용 형태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기업 내부의 비밀을 유지하기 위해 외부에 공개되지 않도록 내부 사용자에게만 제한하는 폐쇄형 클라우드(private cloud)와 일반 대중에게 모두 공개하는 공개형 클라우드(public cloud)가 있다. 이 둘의 장점을 적절히 섞은 혼합형 클라우드(hybrid cloud)도 있다.<ref>피플러스, 〈클라우드 서비스의 종류〉, 《피플러스 뉴스》, 2017-07-26</ref> 클라우드 서비스는 점차 제공하는 자원의 영역이 넓어지면서 발전하였다. | + | 클라우드는 사용 형태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기업 내부의 비밀을 유지하기 위해 외부에 공개되지 않도록 내부 사용자에게만 제한하는 '''폐쇄형 클라우드'''(private cloud)와 일반 대중에게 모두 공개하는 '''공개형 클라우드'''(public cloud)가 있다. 이 둘의 장점을 적절히 섞은 '''혼합형 클라우드'''(hybrid cloud)도 있다.<ref>피플러스, 〈클라우드 서비스의 종류〉, 《피플러스 뉴스》, 2017-07-26</ref> 클라우드 서비스는 점차 제공하는 자원의 영역이 넓어지면서 발전하였다. |
처음에는 구글의 [[드롭박스]], [[다음 클라우드]] 등 소프트웨어나 애플리케이션을 웹에서 사용할 수 있는 [[SaaS]](software as a service)형태의 클라우드 서비스가 대부분이었다. 이후 [[서버]]나 [[스토리지]], 인프라스트럭처 등을 제공하는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형태의 클라우드 서비스가 탄생하여 사용자들은 더 이상 인프라 구축에 힘을 들일 필요 없이 서비스나 소프트웨어 개발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AWS에서 제공하는 [[EC2]]가 대표적인 예이며 단순히 서버 등의 자원을 제공해 주면서 사용자가 장치에 제약없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PaaS]](platform as a service)는 프로그램 개발자들에게 개발 환경, 즉 [[플랫폼]]을 제공한다. 프로그램 개발자들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에게 개발을 위한 [[툴킷]], [[운영 체제]], 프로그래밍 언어 실행 환경 등을 포함한 컴퓨팅 플랫폼을 배급받아 기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계층을 구매, 관리하는 비용 없이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 처음에는 구글의 [[드롭박스]], [[다음 클라우드]] 등 소프트웨어나 애플리케이션을 웹에서 사용할 수 있는 [[SaaS]](software as a service)형태의 클라우드 서비스가 대부분이었다. 이후 [[서버]]나 [[스토리지]], 인프라스트럭처 등을 제공하는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형태의 클라우드 서비스가 탄생하여 사용자들은 더 이상 인프라 구축에 힘을 들일 필요 없이 서비스나 소프트웨어 개발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AWS에서 제공하는 [[EC2]]가 대표적인 예이며 단순히 서버 등의 자원을 제공해 주면서 사용자가 장치에 제약없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PaaS]](platform as a service)는 프로그램 개발자들에게 개발 환경, 즉 [[플랫폼]]을 제공한다. 프로그램 개발자들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에게 개발을 위한 [[툴킷]], [[운영 체제]], 프로그래밍 언어 실행 환경 등을 포함한 컴퓨팅 플랫폼을 배급받아 기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계층을 구매, 관리하는 비용 없이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
2018년 9월 5일 (수) 14:39 판
역사
- 1960년대 시분할의 초기 개념이 RJE(remote job entry, 원격 작업 입력)를 통해 대중화되었다. 이런 개념은 IBM과 DEC와 같은 대형 업체들과 대부분 연계되었다. 이 시기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은 1965년 미국의 컴퓨터 학자인 존 매카시가 "컴퓨팅 환경은 공공 시설을 쓰는 것과도 같을 것" 이라는 개념을 제시한데에서 유래하였다.[1] 이후 1970년대 초에 멀틱스(GE 하드웨어), 케임브리지 CTSS와 최초 유닉스 포트(DEC 하드웨어)와 같은 플랫폼에서 완전한 시분할 솔루션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 1990년대에는 통신 회사들이 가상 사설망(VPN)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컴퓨터가 확산되면서 기술자들은 대형 컴퓨터 파워를 시분할을 통해 더 많은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식을 탐구하였다. General Magic라는 회사가 1995년 3월부터 통신 회사들과 제휴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최초로 시작하였다. 하지만 서비스나 인프라적인 환경이 적절하게 구축되지 못하여 실패하였다.
- 약 10년 후 2005년에서야 클라우드 서비스라는 단어가 다시 퍼지기 시작하였다. 2008년 초, NASA의 오픈네뷸라(OpenNebula)는 폐쇄형 클라우드와 혼합형 클라우드를 배치시키고 클라우드들을 연합시키는 최초의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가 되었다.[2] 2008년 중순 가트너는 기존 비즈니스 모델에서 단체들이 회사 소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자산을 사용량에 따라 요금을 지불하는 서비스 기반 모델로 옮겨가고 있어 클라우드 컴퓨팅이 IT 서비스를 사용하고 판매하는 IT 서비스 소비자들 간의 관계를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았다.[3] 이때의 클라우드 서비스는 대부분 SaaS에 집중되었지만 이후 IaaS, PaaS로 영역을 넓혔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단어는 2006년 구글의 회장이었던 에릭 슈미츠에 의해 처음 쓰여 졌다.
종류
클라우드는 사용 형태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기업 내부의 비밀을 유지하기 위해 외부에 공개되지 않도록 내부 사용자에게만 제한하는 폐쇄형 클라우드(private cloud)와 일반 대중에게 모두 공개하는 공개형 클라우드(public cloud)가 있다. 이 둘의 장점을 적절히 섞은 혼합형 클라우드(hybrid cloud)도 있다.[4] 클라우드 서비스는 점차 제공하는 자원의 영역이 넓어지면서 발전하였다.
처음에는 구글의 드롭박스, 다음 클라우드 등 소프트웨어나 애플리케이션을 웹에서 사용할 수 있는 SaaS(software as a service)형태의 클라우드 서비스가 대부분이었다. 이후 서버나 스토리지, 인프라스트럭처 등을 제공하는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형태의 클라우드 서비스가 탄생하여 사용자들은 더 이상 인프라 구축에 힘을 들일 필요 없이 서비스나 소프트웨어 개발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AWS에서 제공하는 EC2가 대표적인 예이며 단순히 서버 등의 자원을 제공해 주면서 사용자가 장치에 제약없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PaaS(platform as a service)는 프로그램 개발자들에게 개발 환경, 즉 플랫폼을 제공한다. 프로그램 개발자들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에게 개발을 위한 툴킷, 운영 체제, 프로그래밍 언어 실행 환경 등을 포함한 컴퓨팅 플랫폼을 배급받아 기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계층을 구매, 관리하는 비용 없이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현재 BaaS[5](blockchain as a service), MBaaS(backend as a service) 등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특징
장점
- 여러 기기를 단말기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인터넷에 연결이 되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데이터에 접근이 가능하다.
- 데이터를 서버에 보관함으로써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 전문적인 지식이 없이도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
단점
- 서버가 공격 당하면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
- 백업을 하지 않은 정보는 되살리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 인터넷 접속이 느리거나 통신환경이 열악하면 서비스 받기 힘들다.
클라우스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의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는 아마존 웹 서비스(AWS)이고, 2위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 3위 IBM 클라우드, 4위 구글 드라이브 서비스 등이 있다. 한국은 KT 클라우드, 네이버 클라우드, 다음 클라우드, 가비아 클라우드, 스마일서브 클라우드 등이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반대말은 온프레미스(On Premise)이다.
오픈 소스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툴로는 오픈스택(OpenStack)이 있다.
클라우드 마이닝
클라우드 마이닝(cloud mining)이란 불특정 다수의 고객으로부터 암호화폐 채굴 대행 요청을 받아서 해시 파워(hash power)를 판매한 뒤, 채굴로 발생한 전체 수익을 해시 파워에 비례하여 배분하는 채굴 방식을 말한다. 클라우드 채굴이라고도 한다.
같이 보기
- 아마존 웹 서비스(AWS)
-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icrosoft Azure)
- 클라우드 마이닝
- ↑ 이휘성, 〈[이휘성의 똑똑한 세상 이야기] 클라우드 컴퓨팅 – 손에 잡히는 구름 이야기〉, 《wordpress IBM Korea》, 2010-11-02
- ↑ 〈오픈네뷸라〉, 《위키백과》
- ↑ Christy Pettey, "Gartner Says Worldwide IT Spending On Pace to Surpass $3.4 Trillion in 2008", Gartner Newsroom, 2008-08-18
- ↑ 피플러스, 〈클라우드 서비스의 종류〉, 《피플러스 뉴스》, 2017-07-26
- ↑ 황치규 기자, 〈차세대 BaaS 플랫폼, 퍼블릭 블록체인판 뒤흔드나〉, 《더비체인》, 2018-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