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타적 논리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진리표) |
(→진리표)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tr bgcolor="" style=font-weight:bold;"> | <tr bgcolor="" style=font-weight:bold;"> | ||
<td>명제 <I>P</I><td>명제 <I>Q</I><td><I>P</I><font> ⊻</font> <I>Q</I> </tr> | <td>명제 <I>P</I><td>명제 <I>Q</I><td><I>P</I><font> ⊻</font> <I>Q</I> </tr> | ||
+ | <tr style="text-align:center;"> | ||
+ | <td>1<td>1<td><b>0</b></tr> | ||
+ | <td>1<td>0<td><b>1</b></tr> | ||
+ | <td>0<td>1<td><b>1</b></tr> | ||
+ | <td>0<td>0<td><b>0</b></tr> | ||
</table> | </table> |
2019년 10월 23일 (수) 13:38 판
배타적 논리합(排他的論理合, exclusive or)은 수리 논리학에서 주어진 2개의 명제 가운데 1개만 참일 경우 판단하는 논리 연삭이며, 약칭으로 XOR, EOR, EXOR이라고 쓴다. 연산자는 ⊻, ⩒ 이다. 혼동이 되지 않을 경우 XOR, xor, ⊕, +, ≠라고도 쓴다.
특징
배타적 논리합은 논리합, 논리곱, 부정을 사용하여
⊻ ⋀ ¬ ⋁ ¬ ⋀
⊻ ⋁ ⋀ ¬ ⋁ ¬
⊻ ⋁ ⋀ ¬ ⋀
라고 표현할 수 있다.
2를 몫으로 하는 잉여류체ℤ/[2] 의 가감산(덧셈과 뺄셈이 같다)은 0을 거짓, 1을 참으로 생각하면 배타적 논리합이 된다.
진리표
명제 P | 명제 Q | P ⊻ Q |
1 | 1 | 0 | 1 | 0 | 1</tr>
<td>0<td>1<td>1</tr> <td>0<td>0<td>0</tr> </tab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