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연산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특징)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 특징 == | == 특징 == | ||
+ | ===대입 연산자=== | ||
+ | |||
+ | :{|class=wikitable width=700 style="background-color:white" | ||
+ | |+ | ||
+ | !align=center"|대입 연산자 | ||
+ | !align=center"|설명 | ||
+ | |- | ||
+ | |align=center|= | ||
+ | |오른쪽 값을 왼쪽에 복사 | ||
+ | |- | ||
+ | |} | ||
===복합 대입 연산자=== | ===복합 대입 연산자=== | ||
복합 대입 연산자는 모두 두 개의 피연산자를 가지는 이항 연산자이며, 피연산자들의 결합 방향은 오른쪽에서 왼쪽이다.<ref name='대입 연산자'/> | 복합 대입 연산자는 모두 두 개의 피연산자를 가지는 이항 연산자이며, 피연산자들의 결합 방향은 오른쪽에서 왼쪽이다.<ref name='대입 연산자'/> | ||
18번째 줄: | 29번째 줄: | ||
|- | |- | ||
|align=center|-= | |align=center|-= | ||
− | |왼쪽의 피연산자에서 오른쪽의 피연산자를 뺀 후, 왼쪽의 피연산자에 | + | |왼쪽의 피연산자에서 오른쪽의 피연산자를 뺀 후, 왼쪽의 피연산자에 대입 |
|- | |- | ||
|align=center|*= | |align=center|*= | ||
− | |왼쪽의 피연산자에 오른쪽의 피연산자를 곱한 후, 왼쪽의 피연산자에 | + | |왼쪽의 피연산자에 오른쪽의 피연산자를 곱한 후, 왼쪽의 피연산자에 대입 |
|- | |- | ||
|align=center|/= | |align=center|/= | ||
− | |왼쪽의 피연산자를 오른쪽의 피연산자로 나눈 후, 왼쪽의 피연산자에 | + | |왼쪽의 피연산자를 오른쪽의 피연산자로 나눈 후, 왼쪽의 피연산자에 대입 |
|- | |- | ||
|align=center|%= | |align=center|%= | ||
− | |왼쪽의 피연산자를 오른쪽의 피연산자로 나눈 후, 그 나머지를 왼쪽의 피연산자에 | + | |왼쪽의 피연산자를 오른쪽의 피연산자로 나눈 후, 그 나머지를 왼쪽의 피연산자에 대입 |
|- | |- | ||
|align=center|.= | |align=center|.= | ||
− | |왼쪽 피연산자의 문자열에 오른쪽 피연산자의 문자열을 추가한 후, 왼쪽의 피연산자에 | + | |왼쪽 피연산자의 문자열에 오른쪽 피연산자의 문자열을 추가한 후, 왼쪽의 피연산자에 대입 |
|- | |- | ||
|align=center|<<= | |align=center|<<= | ||
− | |왼쪽의 피연산자의 비트를 오른쪽의 피연산자만큼 전부 왼쪽으로 이동시킨 후, 그 결과를 왼쪽의 피연산자에 | + | |왼쪽의 피연산자의 비트를 오른쪽의 피연산자만큼 전부 왼쪽으로 이동시킨 후, 그 결과를 왼쪽의 피연산자에 대입 |
|- | |- | ||
|align=center|%= | |align=center|%= | ||
− | |왼쪽의 피연산자를 오른쪽의 피연산자로 나눈 후, 그 나머지를 왼쪽의 피연산자에 | + | |왼쪽의 피연산자를 오른쪽의 피연산자로 나눈 후, 그 나머지를 왼쪽의 피연산자에 대입 |
|- | |- | ||
|align=center|>>= | |align=center|>>= | ||
− | |왼쪽의 피연산자의 비트를 부호를 유지하면서 오른쪽의 피연산자만큼 전부 오른쪽으로 이동시킨 후, 그 결과를 왼쪽의 피연산자에 | + | |왼쪽의 피연산자의 비트를 부호를 유지하면서 오른쪽의 피연산자만큼 전부 오른쪽으로 이동시킨 후, 그 결과를 왼쪽의 피연산자에 대입 |
|- | |- | ||
|align=center|&= | |align=center|&= | ||
− | |왼쪽의 피연산자와 오른쪽의 피연산자의 논리식이 모두 true면 왼쪽 피연산자에 true을 대입하고, 그 외에는 false을 | + | |왼쪽의 피연산자와 오른쪽의 피연산자의 논리식이 모두 true면 왼쪽 피연산자에 true을 대입하고, 그 외에는 false을 대입 |
|- | |- | ||
|align=center| |= | |align=center| |= | ||
− | |왼쪽의 피연산자나 오른쪽의 피연산자의 논리식 중 하나라도 true면 왼쪽 피연산자에 true을 대입하고, 그 외에는 false을 | + | |왼쪽의 피연산자나 오른쪽의 피연산자의 논리식 중 하나라도 true면 왼쪽 피연산자에 true을 대입하고, 그 외에는 false을 대입 |
|- | |- | ||
|align=center|^= | |align=center|^= | ||
− | |왼쪽 피연산자의 논리식과 오른쪽 피연산자의 논리식이 서로 다르면 왼쪽 피연산자에 true을 대입하고, 그 외에는 false을 | + | |왼쪽 피연산자의 논리식과 오른쪽 피연산자의 논리식이 서로 다르면 왼쪽 피연산자에 true을 대입하고, 그 외에는 false을 대입 |
|- | |- | ||
|} | |} |
2020년 8월 10일 (월) 11:41 판
대입 연산자는 변수에 값을 대입할 때 사용하는 이항 연산자이며, 피연산자들의 결합 방향은 오른쪽에서 왼쪽이다.[1]
개요
특징
대입 연산자
대입 연산자 설명 = 오른쪽 값을 왼쪽에 복사
복합 대입 연산자
복합 대입 연산자는 모두 두 개의 피연산자를 가지는 이항 연산자이며, 피연산자들의 결합 방향은 오른쪽에서 왼쪽이다.[1]
복합 대입 연산자 설명 += 왼쪽의 피연산자에 오른쪽의 피연산자를 더한 후, 왼쪽의 피연산자에 대입 -= 왼쪽의 피연산자에서 오른쪽의 피연산자를 뺀 후, 왼쪽의 피연산자에 대입 *= 왼쪽의 피연산자에 오른쪽의 피연산자를 곱한 후, 왼쪽의 피연산자에 대입 /= 왼쪽의 피연산자를 오른쪽의 피연산자로 나눈 후, 왼쪽의 피연산자에 대입 %= 왼쪽의 피연산자를 오른쪽의 피연산자로 나눈 후, 그 나머지를 왼쪽의 피연산자에 대입 .= 왼쪽 피연산자의 문자열에 오른쪽 피연산자의 문자열을 추가한 후, 왼쪽의 피연산자에 대입 <<= 왼쪽의 피연산자의 비트를 오른쪽의 피연산자만큼 전부 왼쪽으로 이동시킨 후, 그 결과를 왼쪽의 피연산자에 대입 %= 왼쪽의 피연산자를 오른쪽의 피연산자로 나눈 후, 그 나머지를 왼쪽의 피연산자에 대입 >>= 왼쪽의 피연산자의 비트를 부호를 유지하면서 오른쪽의 피연산자만큼 전부 오른쪽으로 이동시킨 후, 그 결과를 왼쪽의 피연산자에 대입 &= 왼쪽의 피연산자와 오른쪽의 피연산자의 논리식이 모두 true면 왼쪽 피연산자에 true을 대입하고, 그 외에는 false을 대입 |= 왼쪽의 피연산자나 오른쪽의 피연산자의 논리식 중 하나라도 true면 왼쪽 피연산자에 true을 대입하고, 그 외에는 false을 대입 ^= 왼쪽 피연산자의 논리식과 오른쪽 피연산자의 논리식이 서로 다르면 왼쪽 피연산자에 true을 대입하고, 그 외에는 false을 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