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궤도전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각주}} ==같이 보기== {{자동차 분류|검토 필요}})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무궤도전차'''<!--무궤도 전차-->(無軌道電車, Trolley bus)는 버스와 노면전차를 합쳐 놓은 형태로 디젤이나 CNG, 충전지 등의 차량 내부에 탑재된 연료를 이용하는 것이 아닌, 외부의 전기를 직접 받아 연료로 이용하여 운행하는 차량이다. 생김새는 버스와 거의 비슷하지만, 전선에서 받은 전기로 움직이기 때문에 전차의 일종으로 분류된다. 다만, 대한민국에서는 트롤리버스라고 하면 대부분 레트로풍 버스를 뜻한다.<ref>〈[https://namu.wiki/w/%EB%AC%B4%EA%B6%A4%EB%8F%84%EC%A0%84%EC%B0%A8 무궤도 전차]〉, 《나무위키》</ref> | ||
+ | |||
+ | ==역사== | ||
+ | 트롤리버스의 시초는 전기철도를 개발한 독일의 베르너 폰 지멘스의 발명품이다. 그는 1882년 4월 28일에 최초의 무궤도전차인 일렉트로모테(Elektromote)를 베를린 교외에서 운행하였다. 이외에 미국, 프랑스 등지에서 유사한 시스템이 시도되었으나, 전람회 전시 정도에 머무르는 수준이었다. 이후 1901년에 독일인 막스 쉬만(Max Schiemann)이 드레스덴 인근에서 최초의 여객 영업 노선을 개업하였다. 이 노선은 1904년에 폐지되었으나, 지금도 널리 사용되는 2개의 가선과 급전봉을 사용한 운행 시스템을 처음 개발, 도입하였으며, 이 시스템은 지금의 무궤도전차에도 이어지고 있다. 이후 영국, 미국, 유럽 각국에 보급이 진행되었으나, 점차 지하 또는 고가를 운행하는 도시 철도나 버스 등에 의해서 그 영업권이 잠식되어 점차 사라졌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 매연이 없다는 점, 전기차량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서 노면전차와 함께 새롭게 각광받고 있다. 한편, 트롤리버스는 공산권에서 상당히 널리 이용되었다. 러시아의 경우 지멘스의 초기 모델과 유사한 무궤도전차를 1902년에 처음으로 무궤도전차를 생산하였으며, 1933년에 모스크바에 최초로 영업 노선이 탄생하였다. 이후, 러시아 이외에 주변 동구권 국가들, 중화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등에 무궤도전차 시스템이 보급되어 지금까지 활용되고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8A%B8%EB%A1%A4%EB%A6%AC%EB%B2%84%EC%8A%A4 트롤리버스]〉, 《위키백과》</ref> | ||
+ | |||
+ | ==특징== | ||
+ | 전기버스의 원조로 에너지 효율이나 환경오염 방지에 관한 전기버의 장점들을 모두 그대로 가지고 있다. 오히려 플러그인 전기버스에 장착되는 배터리가 보조금 없이 유지할 수 없을만큼 고가이고, 생산 및 폐기 광정에서의 환경오염이 문제가 된다는 점을 생각하면, 효율이나 환경문제에서는 최근의 전기버스보다 우수한 측면도 있다. 모터, 변속기, 서스펜션, 전기회로, 차체 정도의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요구 기술 수준도 낮기 때문에 차량 내구 연한이 매우 길다. 또한, 똑같이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노면전차와는 다르게 타이어와 지면 마찰을 사용하므로 등판 능력이 더 뛰어나다. 단점은 가선에서 전기를 공급받는 접점이 빠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정해진 경로를 달리고 분기 및 합류가 외부에서 제어되는 노면전차와는 다르게 자체적인 조향 장치가 있기 때문에 방향을 전환할 때 집전 장치가 가선에서 분리될 수 있다. 특히 코너를 조금만 빨리 돌거나 분기점에서 교통 흐름 때문에 실수로 다른 경로로 들어서면 가차없이 분리되어 버린다. 그러면 운전사는 내려서 그걸 장대로 가져다 끼워야 하고, 당연히 그동안 도로 교통에 문제가 생긴다. 이런 불상사를 막기 위해 최신 차량은 집전 장치 자체를 유연하고 길게 만들고 있고, 가선 분기기 쪽은 전자석이나 기계적 장치를 통해서 분기점에서 집전 장치가 달아나지 않도록 제어해 준다. 그리고 최소한 다음 정류장까지는 자력 주행이 가능하도록 예비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다. 운이 좋으면 유럽 등지에서 무궤도전차의 분리된 봉을 가선에 다시 연결하는 장면을 볼 수 있는데, 전깃줄이랑 봉을 제 위치에 붙이는 과정은 20초도 안 걸릴 만큼 짧고 쉽다. | ||
+ | |||
+ | ==현황== | ||
+ | ===국내=== | ||
+ |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2020년 9월부터 서울을 오가는 시내버스 2개 노선에 트롤리버스 2대를 투입하였다. 국내에서는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시내 광고용으로 도입했지만, 대중교통 운행은 남양주시가 처음이다. 서울 노선에 투입되는 트롤리버스는 '166-1번'(와부읍∼청량리)과 '65-1번'(화도읍∼석계역)이다. '땡큐 30번'(별내면∼퇴계원읍∼금곡동), '땡큐 90번'(진접읍∼퇴계원읍∼금곡동), '168번'(화도읍∼호평동∼평내동∼양정동∼와부읍) 3개의 시내 노선에도 트롤리버스 3대를 추가로 투입한다. 땡큐버스는 남양주시가 준공영제로 방식으로 운영하는 시내 순환 노선이다. 이로써 남양주 트롤리버스는 총 10개 노선에 10대가 운행된다.<ref>김도윤 기자, 〈[https://www.yna.co.kr/view/AKR20200906018000060 남양주 '트롤리버스' 서울까지 다닌다…2개 노선]〉, 《연합뉴스》, 2020-09-06</ref> 땡큐버스는 2020년 1월 개통 후 2020년 말까지 누적승객 753만 5천명을 기록했다. 첫 운행과 비교해 약 87배, 모든 노선 운행을 시작한 2020년 6월과 비교해 약 3배 증가한 수치다. 땡큐버스는 92대가 5개 권역에서 11개 노선을 따라 한번 환승으로 어디든지 갈 수 있는 편리한 환승체계를 갖췄다. 더구나 해외 유명 관광지에서나 볼 수 있는 ‘트롤리 버스’ 9대를 특수 제작, 도심 한가운데서 유럽 감성을 느낄 수 있도록 배치해 단순한 교통수단을 넘어 즐길 수 있는 재미요소까지 더해지며 호응을 받고 있다.<ref>하지은 기자, 〈[http://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2377868 남양주 땡큐버스 누적 승객 743만명…인기 ‘고공행진’]〉, 《경기일보》, 2021-08-24</ref> | ||
+ | |||
+ | ===국외=== | ||
+ | ====북한==== | ||
+ | 2020년 평양시 주요 노선에서 궤도전차, 무궤도전차 등이 운행을 시작했다. 무궤도전차는 일반 버스와 비슷한 모양이지만 트롤리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운행하는 대중교통 수단이다. 때문에 지금까지 북한의 전차는 정전만 되면 전혀 움직일 수 없었다. 열악한 전력사정 때문에 출퇴근 시간에도 자주 정전이 되면서 북한 근로자들은 커다란 불편을 겪어야 했다.<ref>박수윤 기자, 〈[https://www.yna.co.kr/view/AKR20200117140800504 북한, '시민의 발' 확충에 안간힘…버스·전차 속속 개량]〉, 《연합뉴스》, 2020-01-20</ref> 2020년 11월에는 평양거리에 외형과 색깔이 새로워진 새 형의 무궤도전차들이 운행을 시작했다. 외형에 있어, 종전의 무궤도전차가 직각이었다면 이번에는 앞면이 유선형으로 된 새 형의 무궤도전차가 제작되었다는 것이다. 색깔도 종전에는 푸른색이 기본이었다면 붉은색과 분홍색, 흰색을 조화롭게 주어 전차의 멋을 더욱 살리고 있어, 손님들은 미남자라고 호평하고 있다.<ref>이계환 기자, 〈[https://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0495 평양에 유선형의 새 무궤도 전차 등장]〉, 《연합뉴스》, 2020-11-29</ref> | ||
+ | |||
{{각주}} | {{각주}} | ||
2021년 8월 24일 (화) 17:31 판
무궤도전차(無軌道電車, Trolley bus)는 버스와 노면전차를 합쳐 놓은 형태로 디젤이나 CNG, 충전지 등의 차량 내부에 탑재된 연료를 이용하는 것이 아닌, 외부의 전기를 직접 받아 연료로 이용하여 운행하는 차량이다. 생김새는 버스와 거의 비슷하지만, 전선에서 받은 전기로 움직이기 때문에 전차의 일종으로 분류된다. 다만, 대한민국에서는 트롤리버스라고 하면 대부분 레트로풍 버스를 뜻한다.[1]
역사
트롤리버스의 시초는 전기철도를 개발한 독일의 베르너 폰 지멘스의 발명품이다. 그는 1882년 4월 28일에 최초의 무궤도전차인 일렉트로모테(Elektromote)를 베를린 교외에서 운행하였다. 이외에 미국, 프랑스 등지에서 유사한 시스템이 시도되었으나, 전람회 전시 정도에 머무르는 수준이었다. 이후 1901년에 독일인 막스 쉬만(Max Schiemann)이 드레스덴 인근에서 최초의 여객 영업 노선을 개업하였다. 이 노선은 1904년에 폐지되었으나, 지금도 널리 사용되는 2개의 가선과 급전봉을 사용한 운행 시스템을 처음 개발, 도입하였으며, 이 시스템은 지금의 무궤도전차에도 이어지고 있다. 이후 영국, 미국, 유럽 각국에 보급이 진행되었으나, 점차 지하 또는 고가를 운행하는 도시 철도나 버스 등에 의해서 그 영업권이 잠식되어 점차 사라졌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 매연이 없다는 점, 전기차량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서 노면전차와 함께 새롭게 각광받고 있다. 한편, 트롤리버스는 공산권에서 상당히 널리 이용되었다. 러시아의 경우 지멘스의 초기 모델과 유사한 무궤도전차를 1902년에 처음으로 무궤도전차를 생산하였으며, 1933년에 모스크바에 최초로 영업 노선이 탄생하였다. 이후, 러시아 이외에 주변 동구권 국가들, 중화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등에 무궤도전차 시스템이 보급되어 지금까지 활용되고 있다.[2]
특징
전기버스의 원조로 에너지 효율이나 환경오염 방지에 관한 전기버의 장점들을 모두 그대로 가지고 있다. 오히려 플러그인 전기버스에 장착되는 배터리가 보조금 없이 유지할 수 없을만큼 고가이고, 생산 및 폐기 광정에서의 환경오염이 문제가 된다는 점을 생각하면, 효율이나 환경문제에서는 최근의 전기버스보다 우수한 측면도 있다. 모터, 변속기, 서스펜션, 전기회로, 차체 정도의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요구 기술 수준도 낮기 때문에 차량 내구 연한이 매우 길다. 또한, 똑같이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노면전차와는 다르게 타이어와 지면 마찰을 사용하므로 등판 능력이 더 뛰어나다. 단점은 가선에서 전기를 공급받는 접점이 빠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정해진 경로를 달리고 분기 및 합류가 외부에서 제어되는 노면전차와는 다르게 자체적인 조향 장치가 있기 때문에 방향을 전환할 때 집전 장치가 가선에서 분리될 수 있다. 특히 코너를 조금만 빨리 돌거나 분기점에서 교통 흐름 때문에 실수로 다른 경로로 들어서면 가차없이 분리되어 버린다. 그러면 운전사는 내려서 그걸 장대로 가져다 끼워야 하고, 당연히 그동안 도로 교통에 문제가 생긴다. 이런 불상사를 막기 위해 최신 차량은 집전 장치 자체를 유연하고 길게 만들고 있고, 가선 분기기 쪽은 전자석이나 기계적 장치를 통해서 분기점에서 집전 장치가 달아나지 않도록 제어해 준다. 그리고 최소한 다음 정류장까지는 자력 주행이 가능하도록 예비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다. 운이 좋으면 유럽 등지에서 무궤도전차의 분리된 봉을 가선에 다시 연결하는 장면을 볼 수 있는데, 전깃줄이랑 봉을 제 위치에 붙이는 과정은 20초도 안 걸릴 만큼 짧고 쉽다.
현황
국내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2020년 9월부터 서울을 오가는 시내버스 2개 노선에 트롤리버스 2대를 투입하였다. 국내에서는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시내 광고용으로 도입했지만, 대중교통 운행은 남양주시가 처음이다. 서울 노선에 투입되는 트롤리버스는 '166-1번'(와부읍∼청량리)과 '65-1번'(화도읍∼석계역)이다. '땡큐 30번'(별내면∼퇴계원읍∼금곡동), '땡큐 90번'(진접읍∼퇴계원읍∼금곡동), '168번'(화도읍∼호평동∼평내동∼양정동∼와부읍) 3개의 시내 노선에도 트롤리버스 3대를 추가로 투입한다. 땡큐버스는 남양주시가 준공영제로 방식으로 운영하는 시내 순환 노선이다. 이로써 남양주 트롤리버스는 총 10개 노선에 10대가 운행된다.[3] 땡큐버스는 2020년 1월 개통 후 2020년 말까지 누적승객 753만 5천명을 기록했다. 첫 운행과 비교해 약 87배, 모든 노선 운행을 시작한 2020년 6월과 비교해 약 3배 증가한 수치다. 땡큐버스는 92대가 5개 권역에서 11개 노선을 따라 한번 환승으로 어디든지 갈 수 있는 편리한 환승체계를 갖췄다. 더구나 해외 유명 관광지에서나 볼 수 있는 ‘트롤리 버스’ 9대를 특수 제작, 도심 한가운데서 유럽 감성을 느낄 수 있도록 배치해 단순한 교통수단을 넘어 즐길 수 있는 재미요소까지 더해지며 호응을 받고 있다.[4]
국외
북한
2020년 평양시 주요 노선에서 궤도전차, 무궤도전차 등이 운행을 시작했다. 무궤도전차는 일반 버스와 비슷한 모양이지만 트롤리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운행하는 대중교통 수단이다. 때문에 지금까지 북한의 전차는 정전만 되면 전혀 움직일 수 없었다. 열악한 전력사정 때문에 출퇴근 시간에도 자주 정전이 되면서 북한 근로자들은 커다란 불편을 겪어야 했다.[5] 2020년 11월에는 평양거리에 외형과 색깔이 새로워진 새 형의 무궤도전차들이 운행을 시작했다. 외형에 있어, 종전의 무궤도전차가 직각이었다면 이번에는 앞면이 유선형으로 된 새 형의 무궤도전차가 제작되었다는 것이다. 색깔도 종전에는 푸른색이 기본이었다면 붉은색과 분홍색, 흰색을 조화롭게 주어 전차의 멋을 더욱 살리고 있어, 손님들은 미남자라고 호평하고 있다.[6]
각주
- ↑ 〈무궤도 전차〉, 《나무위키》
- ↑ 〈트롤리버스〉, 《위키백과》
- ↑ 김도윤 기자, 〈남양주 '트롤리버스' 서울까지 다닌다…2개 노선〉, 《연합뉴스》, 2020-09-06
- ↑ 하지은 기자, 〈남양주 땡큐버스 누적 승객 743만명…인기 ‘고공행진’〉, 《경기일보》, 2021-08-24
- ↑ 박수윤 기자, 〈북한, '시민의 발' 확충에 안간힘…버스·전차 속속 개량〉, 《연합뉴스》, 2020-01-20
- ↑ 이계환 기자, 〈평양에 유선형의 새 무궤도 전차 등장〉, 《연합뉴스》, 2020-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