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선급행버스체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2번째 줄: | 2번째 줄: | ||
==개요== | ==개요== | ||
− | 주요 도로에 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하고 급행으로 버스를 운행시키는 급행버스 시스템을 말한다. 간선급행버스체계는 도착정보시스템, 버스우선신호체계, 환승터미널 등을 갖춰 기존의 버스 운행 방식보다 정시성,신속성,수송 능력이 대폭 향상된 대중교통체계이다. 도심과 외곽을 잇는 주요 간선도로 전체 또는 도로 중앙에 버스만 다닐 수 있는 전용도로를 설치하고, 요금징수 시스템, 승강장, 환승정거장, 환승터미널, 정보체계 등은 지하철처럼 적용된다. 즉 모든 버스차로나 차량, 정류장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해 관리하는 것이다. | + | 주요 도로에 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하고 급행으로 버스를 운행시키는 급행버스 시스템을 말한다. 간선급행버스체계는 도착정보시스템, 버스우선신호체계, 환승터미널 등을 갖춰 기존의 버스 운행 방식보다 정시성,신속성,수송 능력이 대폭 향상된 대중교통체계이다. 도심과 외곽을 잇는 주요 간선도로 전체 또는 도로 중앙에 버스만 다닐 수 있는 전용도로를 설치하고, 요금징수 시스템, 승강장, 환승정거장, 환승터미널, 정보체계 등은 지하철처럼 적용된다. 즉 모든 버스차로나 차량, 정류장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해 관리하는 것이다.<ref>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74426&cid=43667&categoryId=43667 간선급행버스체계]〉, 《네이버 지식백과》</ref> |
==특징== | ==특징==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 규정속도만 지키면 탈선할 일이 없는 궤도교통수단에 비해 안정성이 부족하다 | * 규정속도만 지키면 탈선할 일이 없는 궤도교통수단에 비해 안정성이 부족하다 | ||
* 버스는 매연과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교통수단이다 | * 버스는 매연과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교통수단이다 | ||
+ | |||
+ | {{각주}} | ||
+ | |||
+ | ==참고 자료== | ||
+ | * 간선급행버스체계 네이버 지식백과 - http://a.to/19vpBqx | ||
+ | * 간선급행버스체계 나무위키 - http://a.to/19kwgZH |
2019년 10월 10일 (목) 17:34 판
간선급행버스체계(BRT, Bus Rapid Transit)는 도심과 외곽을 잇는 주요 도로에 급행버스가 운행되는 교통시스템이다.
개요
주요 도로에 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하고 급행으로 버스를 운행시키는 급행버스 시스템을 말한다. 간선급행버스체계는 도착정보시스템, 버스우선신호체계, 환승터미널 등을 갖춰 기존의 버스 운행 방식보다 정시성,신속성,수송 능력이 대폭 향상된 대중교통체계이다. 도심과 외곽을 잇는 주요 간선도로 전체 또는 도로 중앙에 버스만 다닐 수 있는 전용도로를 설치하고, 요금징수 시스템, 승강장, 환승정거장, 환승터미널, 정보체계 등은 지하철처럼 적용된다. 즉 모든 버스차로나 차량, 정류장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해 관리하는 것이다.[1]
특징
장점
-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 시설소요가 적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쉽다
- 확장성이 좋고, 노선의 변경이 유연해 네트워크 효과를 극대화하기 좋다
- 승하차 수요에 따른 공급의 유연성이 매우 좋다
- 승객 입장에서 접근성이 매우 뛰어난 편이다
-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 철제차륜울 사용하는 고규격 철도나 트램에 비해 등판능력으로 인한 제약이 덜하다
단점
- 수송량의 한계가 명확하다
- 버스 자체가 값싼 대안이지만, 유지보수적인 측면에서 썩 좋은 편이 아니다
- 근본적으로 도로 교통이라는 점을 벗어나지 못한다
- 규정속도만 지키면 탈선할 일이 없는 궤도교통수단에 비해 안정성이 부족하다
- 버스는 매연과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교통수단이다
각주
참고 자료
- 간선급행버스체계 네이버 지식백과 - http://a.to/19vpBqx
- 간선급행버스체계 나무위키 - http://a.to/19kwgZ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