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포수 모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greenwood26 (토론 | 기여) |
greenwood26 (토론 | 기여)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폭포수 모델'''이란 소프트웨어 개발시 단계적으로 개발하는 방법론을 말한다. 분석→설계→개발(디자인→퍼블리싱→프로그래밍)→테스트→적용→안정화의 단계를 따른다. 폭포수가 거슬러 올라갈 수 없듯이, 소프트웨어 개발도 반드시 앞 단계가 먼저 완료되어야 다음 단계의 개발을 진행할 수 있다는 뜻이다.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SDM)의 일종이다. 반대말은 [[애자일]] 개발 방법론이다. | '''폭포수 모델'''이란 소프트웨어 개발시 단계적으로 개발하는 방법론을 말한다. 분석→설계→개발(디자인→퍼블리싱→프로그래밍)→테스트→적용→안정화의 단계를 따른다. 폭포수가 거슬러 올라갈 수 없듯이, 소프트웨어 개발도 반드시 앞 단계가 먼저 완료되어야 다음 단계의 개발을 진행할 수 있다는 뜻이다.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SDM)의 일종이다. 반대말은 [[애자일]] 개발 방법론이다. | ||
− | == | + | == 장단점 == |
+ | |||
+ | === 장점 === | ||
+ | * 고전적인 방법론으로써 적용 사례가 풍부하다. | ||
+ | * 전체 과정의 이해가 쉽다. | ||
+ | * 현재 단계에 대한 이해가 빠르고 쉽다. | ||
+ | * 문서, 산출물의 관리와 적용이 쉽다. | ||
+ | |||
+ | === 단점 === | ||
+ | * 병행 작업이 안된다. | ||
+ | * 피드백에 대한 반복 단계가 어렵다. | ||
+ | * 테스트 단계에 발견된 중요 결함에 대한 대응이 어렵다. | ||
+ | * 고객 요구사항에 대한 상세한 반영이 어렵다. | ||
== 참고 자료 == | == 참고 자료 == |
2020년 8월 4일 (화) 15:20 판
폭포수 모델이란 소프트웨어 개발시 단계적으로 개발하는 방법론을 말한다. 분석→설계→개발(디자인→퍼블리싱→프로그래밍)→테스트→적용→안정화의 단계를 따른다. 폭포수가 거슬러 올라갈 수 없듯이, 소프트웨어 개발도 반드시 앞 단계가 먼저 완료되어야 다음 단계의 개발을 진행할 수 있다는 뜻이다.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SDM)의 일종이다. 반대말은 애자일 개발 방법론이다.
장단점
장점
- 고전적인 방법론으로써 적용 사례가 풍부하다.
- 전체 과정의 이해가 쉽다.
- 현재 단계에 대한 이해가 빠르고 쉽다.
- 문서, 산출물의 관리와 적용이 쉽다.
단점
- 병행 작업이 안된다.
- 피드백에 대한 반복 단계가 어렵다.
- 테스트 단계에 발견된 중요 결함에 대한 대응이 어렵다.
- 고객 요구사항에 대한 상세한 반영이 어렵다.
참고 자료
개요, 장단점 구성 단계 ,<소프트웨어 공학 - 폭포수 모델(Waterfall Model)> , <<개인 블로그>> , 2014-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