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선버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같이 보기) |
잔글 (→같이 보기) |
||
380번째 줄: | 380번째 줄: | ||
* [[간선]] | * [[간선]] | ||
* [[버스]] | * [[버스]] | ||
− | * [[노선버스] | + | * [[노선버스]] |
{{자동차 분류|검토 필요}} | {{자동차 분류|검토 필요}} |
2021년 9월 28일 (화) 23:21 판
간선버스(幹線버스)는 지역간 중·장거리 통행 수요를 처리할 목적으로 운행하는 기능별 노선 버스이다.
목차
개요
간선버스는 지역 간 중·장거리의 통행 수요를 처리함으로써 고질적인 교통 체증을 해소하고 체계적인 교통 흐름이 이루어지게 할 목적으로 운행하는 기능별 노선 버스 종류 중 하나다. 기존의 버스 운행 체계는 지나친 장거리 노선과 우회 노선, 노선의 편중 및 중복, 버스 이용자의 수요 패턴과 배차 운영의 불일치, 승용차 대수의 폭발적 증가로 인한 고질적 교통 정체 등의 요인이 겹쳐 대중교통 수단으로서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간선 및 지선 체계를 도입하여 가능한 한 운행거리를 직선화하고 지선과 간선을 연계한 환승 체계로 장거리 노선을 단축화하고 신속성과 정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앙버스전용차로제도 도입되었다. 간선버스는 지선버스, 광역버스, 순환버스와 함께 2004년 7월 서울특별시에서 가장 먼저 도입되었다. 버스 색깔이 파란색이라 파랑버스 또는 블루버스라고도 하며, 뒷바퀴 바로 뒤쪽에 파란색을 뜻하는 영문 머리글자 B가 표시되어 있다. 서울특별시 전역을 체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간선축의 주요 통행 유형을 반영하고, 간선축 2개 이상을 지나는 다양한 노선을 선정하여 설계하였다. 번호는 모두 세 자릿수로 이루어졌는데 첫 번째 숫자는 출발지 권역을, 두 번째는 도착지 권역을, 세 번째는 일련번호를 나타낸다.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는 중앙버스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주로 이용하며 주요 도심을 연결하는 주간선버스, 지선버스와 함께 주간선버스를 보완하는 보조간선버스로 나뉜다. 서울특별시 외에도 수도권과 인천광역시,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경상남도 창원시, 전라남도 목포시 등지의 주요 도시에서도 간선버스를 운행하고 있다.[1]
지역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는 2004년 7월부터 지선버스, 광역버스, 그리고 환승 시스템과 함께 도입되었다. 서울시내 중 번화가와 대로급 도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도시형버스로 주로 서울특별시 및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 중장거리 노선을 운행하고 있고 파란색으로 칠해져 있어 블루버스라고도 불린다. 교통카드를 사용해 버스, 지하철 등에서 환승 시 추가요금 없이 환승할 수 있으며 교통카드 사용시 최초 10km까지 기본요금 1,250원, 매 5km 추가시 100원씩 추가된다. 번호는 세 자릿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첫 번째 숫자는 출발지 번호, 두 번째 숫자는 종점번호, 세 번째 숫자는 일련번호이다. 서울특별시에는 주간선버스와 보조간선버스가 있는데 주간선버스는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주 계통으로 하여 서울특별시의 주요 도심을 연결하는 운영체계이다. 보조간선버스는 지선버스와 함께 주간선버스를 보완하여 운행된다. 컨소시엄 업체를 제외한 시내버스 업체에서 운영하며 보조간선버스 노선 중에는 경기도에서 출발하는 노선도 있다. 서울특별시 간선버스의 겉면에는 행선지가 3개 끼워져 있었지만 2013년 하반기부터 버스 우측면에 신형 행선판을 부착함으로써 측면 세 자리 행선지판은 가독성이 나쁘다는 이유로 제거했다. 기존에 중장거리 노선으로 운행했던 도시형 및 일부 좌석버스의 체계를 개편하여 통합한 것으로 초기에는 도시형 외에도 몇몇 좌석 노선으로 운행했던 버스도 있었으며 중간에 몇몇 지선버스 및 광역버스가 간선버스로 전환되면서 인가대수가 증가한 적도 있었다. 몇몇 지선버스나 모든 광역버스와 마찬가지로, 기점이 경기도 지역에 있는 노선도 있다.[2][3]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요금표[4] 종류 교통카드 현금 조조할인(교통카드) 일반 1,200원 1,300원 960원 청소년 720원 1,000원 580원 어린이 450원 450원 360원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의 간선버스는 인천에서 운행중인 도시형버스로 1번~99번의 노선과 700번대의 노선에 해당한다. 지선버스와 다르게 저상버스가 많이 투입되어 있고 지선버스보다 2배 이상 길다. 마을버스 노선들이 지선버스라는 이름으로 시내버스로 편입되면서 기존의 일반버스가 구분을 위해 이름만 간선버스로 바꾼 것이다. 간선버스는 파란색 도색으로 주로 장거리 노선이 이 범주에 해당한다. 현재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중 가장 큰 비중을 가지고 있는 노선이다. 간선버스는 현재 1번부터 700-1번까지 존재하는데 큰 번호 부여 규칙 없이 무작위로 번호가 부여되었다. 또한 일부 노선들은 수요에 비해 배차간격이 상당히 안 좋은 편이며 굴곡으로 인해 수요가 적은 노선도 있으고 몇개의 노선은 공식적인 배차간격과 상당히 차이가 나는 노선들도 있다. 버스를 늘리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차량을 돌려쓸 수밖에 없어서 실제로 필요한 운행 대수보다 적은 인가대수로 운행하는 노선들이 많다. 인천광역시의 간선버스 중 일부는 경기도에도 진입하고 있으며, 서울특별시에도 일부 간선버스들이 경유한다. 간선버스의 막차는 보통 22:40~23:50정도에 있으며, 일부 노선들의 막차는 중간종료형식으로 00:20까지 운행하는 버스도 있다.[2][5]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요금표[6] 종류 교통카드 현금 해당노선 일반 1,250원 1,300원 1~87, 111-2, 112, 202, 203, 204, 221, 222, 223, 300, 700-1, 700-2, 721, 754, 760, 760-1, 770-1 청소년 870원 900원 어린이 500원 500원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의 간선버스는 급행, 지선, 순환노선을 제외한 모든 노선을 가리킨다. 번호표가 세 자리 숫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생활 권역별로 번호가 별도로 부여된다. 교통카드를 사용해 버스, 지하철 등에서 환승 시 추가요금 없이 환승할 수 있으며, 30분이내 1회 환승이 가능하다. 녹색, 푸른색의 버스로 2015년 기준 56개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2] 대구광역시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은 2006년 노선개편 때 기존의 일반버와 좌석버스 노선들 중 지선급의 중 단거리 노선을 제외한 나머지 노선들을 재편한 것이다. 번호체계는 개편전과 같은 기점 번호, 경유지 번호, 종점 번호 세자리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서울특별시와 달리 일련번호가 없기 때문에 노선부여의 한계가 있으며 노선 개편을 해도 번호를 바꾸지 않기 때문에 종점 번호가 실제 종점과 다른 경우가 많다. 게다가 간선버스라도 순환버스처럼 운행하는 노선이 있는데 대구광역시에서의 순환버스는 2차순환도로와 3차순환도로를 따라 운행하는 순환2(-1)번, 순환3(-1)번만 칭하고 있기 때문에 나머지 순환형 노선은 간선버스가 아니면 지선버스이므로 간선버스라도 순환형 노선일 경우 편의상 순환형 간선버스라고 칭한다. 순환형 간선버스일 경우 반시계방향운행은 -1이 붙는다. 대구광역시 간선버스에 행선판과 노선도 등에 표시되는 고유색상은 대구광역시 로고 색상 중 하나인 파란색이며 행선판 버전에 따라 하늘색이나 남색 계열이 사용되기도 했다.[7]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요금표[8] 종류 교통카드 현금 일반 1,250원 1,400원 청소년 850원 1,000원 어린이 400원 500원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의 간선버스는 2006년 12월 개편시 10번 이후부터의 번호체계를 적용하였다. 2007년 2월부터 재개편에 들어가면서 지선버스 노선 일부가 간선버스로 변경되고 간선노선 일부가 지선버스로 변경되었다. 서울특별시, 인청광역시,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와 달리 간선버스를 나타내는 색상으로 파란색이 아닌 노란색을 사용한다.[2]
간선버스 같은 경우 선형과 배차 간격에서 아쉬움이 크다. 간선버스임에도 지선버스 마냥 이리저리 굴곡이 심해 직선거리로 얼마 되지도 않는 곳을 수십km 돌아가는 노선도 있다. 그래도 상당 수 노선들이 굴곡을 줄여나갔지만 여전히 어마어마한 굴곡을 보여주면서 배차 간격까지 처참한 간선 노선이 남아 있기에 정리가 필요해 보인다. 또한 광주 간선버스들의 특징 중 하낙 주요 간선도로들을 잘 따라가다 갑자기 틀어서 동네길같은 도로로 들어가는 것이다. 문제는 몇 블록 가지도 않고 또 다시 간선도로로 빠져나오는 것이다. 차라리 진입했으면 어느 정도 진행을 하다가 간선도로에 재진입을 하면 수요도 어느 정도 잡아내는 개념찬 노선이 될 수 있으나 애매하게 들어갔다가 나와서 이도저도 아닌 형태를 보여준다. 심지어 저 과정을 몇 번을 반복한다. 이로 인해 광주 시내에서 간선버스를 이용해 이동하는데 1시간 이상이 걸리는 일이 많다.[9]
광주광역시 간선버스 요금표[10] 종류 교통카드 현금 일반 1,250원 1,400원 청소년 800원 1,000원 어린이 400원 500원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의 간선버스는 급행, 지선, 외곽, 마을노선을 제외한 모든 노선을 가리킨다. 번호표가 세 자리 숫자 중 십의 자리가 영자리 숫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파란색으로 도색하였다. 하지만 노선연장, 개편, 재정 문제 등으로 일부 지선버스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지선버스들이 간선으로 전환되어 있고 버스들의 도색도 기존의 간지선제를 포기해 간선과 지선 대부분의 대형버스들이 파란색으로 도색되어 있어 간선버스 구분이 힘들다.[2]
간선버스는 전부 대형버스이며 파란 도색을 하고 있고 요금도 일반버스와 같다. 주로 좌석버스와 일부 입석 버스노선들을 단축하거나 선형을 개량하여 만든 노선들이 많다. 그런데 당연히 서울 시내버스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일부 노선은 선형이 완전히 지선버스랑 똑같을 정도로 간선에 걸맞지 않은 노선들이 꽤 있었고 무엇보다 버스들이 간선과 지선도색이 혼합되어 운행하여 대혼란을 빚었다. 결국 2012년 하반기부터 급행을 제외한 모든 대형버스와 저상버스들은 모두 간선 도색을 하였고 대형버스를 운영하는 지선버스들은 간선버스로 통합되었다.[11]
대전광역시 간선버스 요금표[12] 종류 교통카드 현금 일반 1,250원 1,400원 청소년 750원 900원 어린이 350원 400원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의 간선버스는 2013년 4월 22일 대개편을 통해 9개의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340번, 430번, 550번, 551번, 601번, 655번, 801번, 991번이 있으며 전광판에 빨간색으로 간선운행노선번호를 표현한다.[2]
세종특별자치시 간선버스 노선[13] 노선번호 기점기 경유지 종점지 배차간격 340 조치원터미널 명학산업단지 세종터미널 60분 430 꽃동네대학교 명학산업단지 세종터미널 30분 550 조치원역 정부세종청사 산성동종점 9회 운행 551 조치원역 정부세종청사 산성시장 1회 운행 601 조치원역 정부세종청사 수루배마을 8, 9단지 - 655 세종터미널 용담리 충남대학교 - 801 문화체육관광부 전의면사무소 민석아파트 20분 991 대곡리 정부세종청사 국책연구단지 30분
경상남도
- 창원시
경상남도 창원시의 간선버스는 주로 시가지를 이어주는 노선의 역할을 하고 있다. 경상남도 창원시의 간선버스는 간선 좌석노선과 간선 일반노선으로 나뉘며, 좌석노선에는 좌석형 시내버스, 일반노선에는 입석형 시내버스가 각각 투입된다. 번호는 간선 좌석노선이 700번 단위, 간선 일반노선이 100번 단위가 부여되며 대표 안내 색상은 간선 좌석노선이 빨강, 간선 일반노선이 파랑이다. 요금 또한 차이가 있으며 간선좌석노선은 현금으로 납부 시 1,700원, 교통카드로 납부 시 1,600원이며 간선 일반노선은 현금으로 납부 시 1,200원, 교통카드로 납부 시 1,100원이다. 버스 정류장의 표지판에서는 간선 좌석노선을 좌석, 간선 일반노선을 지선노선과 읍면노선 등과 함께 묶어 일반의 범주에 넣어 안내하고 있다.[2]
경상남도 창원시 간선좌석 노선[14] 노선번호 기점기 경유지 종점지 대수 횟수 배차간격 800(급행) 대방동 정우상가, 명서동, 합성동, 최원 1동, 어시장 월영A 15대 90 12분~14분 801(급행) 청솔A 사파동, 도청, 창원종합터미널, 합성동, 회산교, 어시장, 월영A 덕동 7대 35 30분~36분 860(급행) 덕동차고지 마산합포구청, 어시장, 신촌동, 경화역, 롯데마트, 진해구청 용원종점 4대 16 64분~91분 703 대방동 남산동, 정우상가, 사단앞,신세계백화점, 어시장 월영A 13대 78 13분~20분 704 대방동 창원대, 현대A, 한국철강,자유무역, 어시장 월영A 11대 66 13분~20분 707 대방동 법원, 지귀상가, 창원종합터미널,합성동, 마산여고 해운중 10대 60 18분~23분 710 대방동 정우상가, 명서동, 소답시장, 합성동,중리삼계 마산대 12대 72 10분~30분 751 태광주유소 명서동, 세코, 정우상가, 창원병원,신촌동, 진해고교 인의동 7대 48.5 14분~26분 752 태광주유소 서부경찰서, 창원대학, 도청, 대방동,한림A 홈플러스 인의동 5대 28.5 32분~60분 757 소계동 창원역, 도계동, 시청, 롯데마트,진해구청, 웅천동, 웅동 용원동 10대 50 18분~32분 760 마산역 시외버스터미널, 자유무역후문, 신촌동, 진해고교, 진해역 인의동 8대 67 11분~20분 762 마산대 회성동, 시외버스터미널, 자유무역, 신촌동, 홈플러스 장천동 4대 24 35분~56분
전라남도
- 목포시
전라남도 목포시의 간선버스는 2007년 3월 개편시 빨간색으로 재도색한 차량으로 운행한다. 노선은 1번, 1A번(근화희망타운 지선), 1B(군산동 지선), 2번 13번 13-1번(통학버스), 30번, 30-1번이 있다.[2]
목포시 간선버스 노선[15] 노선번호 기점기 종점지 배차간격 1 석현동 석현동 9분 1A 삼학도 근화희망타운 30분 1B 삼학도 군산동 1일 6회 2 석현동 석현동 16분 9 해양대후문 나악세영리첼 30분~35분 13 석현동 제일극장 10분~13분 13-1 목포시민문화 체육센터 해양대후문 - 30-1 옥암골드클래스 해양대후문 -
- 나주시
전라남도 나주시의 간선버스는 2016년 6월 개편시 종전의 100~500번대 노선의 광주광역시 방면 노선을 123번으로 변경했다. 하지만 얼마 못가 수요가 없어 999번으로 변경하여 운행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혁신시도를 경우하며 남평정류장, 나주시외버스터미널, 영상포공용버스터미널에서 각 지역별 지선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나주교통에서 단독운행 999-1번만 별도로 혁신도시가 아닌 내기리를 경유하지만 공통적으로 전남대학교병원, 조선대학교, 전남대학교를 경유한 것이 특징이다.[2]
나주시 간선버스 노선[16] 노선번호 기점기 종점지 운행횟수 운행업체 999 영산포 전남대후문 왕복 30회 나주교통 999-1 영산포 전남대후문 왕복 30회
각주
- ↑ 〈간선버스〉, 《네이버 지식백과》
- ↑ 2.0 2.1 2.2 2.3 2.4 2.5 2.6 2.7 2.8 〈간선버스〉, 《위키백과》
- ↑ 〈간선버스(서울)〉, 《나무위키》
- ↑ 서울특별시 공식 홈페이지 - https://news.seoul.go.kr/traffic/traffic_price
- ↑ 〈간선버스(인천)〉, 《나무위키》
- ↑ 인천광역시 공식 홈페이지 - http://bus.incheon.go.kr/bis/fare.view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간선〉, 《나무위키》
- ↑ 대구광역시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daegu.go.kr/tra/index.do?menu_id=00000354&servletPath=%2Ftra
- ↑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나무위키》
- ↑ 광주광역시 공식 홈페이지 - http://bus.gwangju.go.kr/guide/trafficfare/trafficFare?tabIndex=3
- ↑ 〈대전광역시 시내버스〉, 《나무위키》
- ↑ 대전광역시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daejeon.go.kr/drh/DrhContentsHtmlView.do?menuSeq=3308
- ↑ 세종특별자치시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sejong.go.kr/life/sub02_010204.do
- ↑ 창원시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changwon.go.kr/depart/contents.do?mId=0701060000
- ↑ 〈목포시의 시내버스 노선 목록〉, 《위키백과》
- ↑ 〈나주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참고자료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