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향지시등
방향지시등(깜빡이)는 차량의 주행 방향을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하는 등화다. 영어로는 turn signal lamp라고 부른다.[1]
개요
방향지시등은 현재 모든 차량이 사용하는 표준 신호 기능으로서 운전자의 주행 방향 및 의사를 표현하는 장치다. 좌, 우측으로 방향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시 차량의 전면, 후면 램프에 불이 들어와서 신호를 보내는 방식이다.[2] 보통 출발, 좌회전, 우회전 시에 사용한다. 좌·우 방향지시등을 동시에 점멸시켜 비상등으로도 사용된다. 교통안전을 위한 필수적이니 장치라서 대한민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방향지시등 구조 및 작동에 관한 규칙이 정해져있다. 국내는 방향지시등 규칙 위반 시 2만원에서 3만원 가량의 범칙금을 요구한다. 운전할 때 의사소통을 중요한 장치임에도 국내에서는 방향지시등을 사용하지 않는 운전자들이 많아 이로 인한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편이다.[1]
역사
방향지시등은 현재 운전자의 의도를 표현하는 신호로 모든 차량이 사용하는 표준기능이다. 방향지시등이 발명되기 전에는 운전자가 차의 방향을 돌릴 때 어느 방향으로 운전하겠다는 신호를 손짓으로 다른 운전자들에게 알려야 했다. 1907년 퍼시 시모어 더글러스-해밀턴이 최초의 자동 방향 신호기를 특허로 등록했다. 운송 수단의 의도된 움직임을 알려주는 장치로 등장해 그 당시 사용했던 수동 신호를 흉내내기 위해 손 모양으로 제작되었다. 그로부터 몇 년 후 1925년 에드가 A.왈츠 주니어가 현대식 방향 지시등을 특허로 등록했지만 당시에는 큰 관심을 끔지 못했다. 최초로 전기 방향 지시등을 상업용 자동차에 부착한 회사는 뷰익(Buick, 别克)이었다. 뷰익은 안전 기능을 내장한 이 장치를 1938년에 소개하여 방향 지시등을 '등이 깜빡대는 방식의 방향 지시'라고 광고했다. 스티어링 칼럼에 위치한 스위치를 운전자가 누르면 후방에 있는 방향 지시 화살표에 불이 들어오는 방식이었다. 1940년 뷰익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방향 지시등이 자동으로 꺼지는 기능도 개발하였다. 이것이 현대에서 사용되는 방향지시등의 모태다. 현대식 자동차는 전방와 후방 모서리 부분에 방향 지시등이 설치된 형태로 표준화 되었다. 그 과정에서 황색 지시등 불빛으로 개선되어 눈부신 햇살에서도 신호를 볼 수 있게 해주었다. 스티어링 칼럼에 탑재된 레버를 위나 아래로 움직여서 오른쪽·왼쪽 방향 신호를 작동시킬 수 있다. 현대의 방향 지시등은 작동시 분당 60번에서 120번 사이의 비율로 깜빡인다.[3]
작동 방식
설계
현대의 방향지시등은 대부분 점멸식 방향지시등으로 전원을 단속하는 방법으로 행해진다. 방향지시등 회로는 기본적으로 점멸 릴레이(Flasher relay), 방향 지시 레버 및 스위치, 방향 지시등, 한 개 이상의 컨트롤 램프로 구성된다. 지시등 색상은 황색 또는 적색이어야 하고, 스위치를 작동시킨 후 최장시간 1초 이내에 점멸 신호가 발생되며 작동 상태 및 고장 여부를 운전석에서 확인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점멸 방식은 크게 열선식과 전자식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열선식은 방향지시등을 작동시키지 않을 때 플래셔-릴레이 접점이 닫혀있거나 열려 있는 형식을 취해 점멸 기능을 행한다. 플래셔 접점이 열려있는 상태에서 닫히게 되면 전류가 흐르게 하는 방식이거나 냉각 상태의 열선에서 방향지시등을 작동시키면 열선을 가열하여 프래셔 접점이 열리는 방식이다. 전자식은 전원 전압의 변화나 부하의 변화가 방향 지시등의 점멸 주파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전자식이 열선식과 뚜렷하게 구별되는 점은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astable multivibrator)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비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는 점멸 주파수의 신호 발생기 역할을 하여 일련의 과정을 통해 멀티 바이브레이터를 발진시켜 불빛이 발생하는 방식이다.[4]
표시 형태
방향지시등을 작동시키면 계기판에서 해당 방향의 화살표 불빛이 표시된다. 비상등을 작동시킨 경우에는 양 쪽 화살표에 모두 불빛이 들어온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