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간선버스

위키원
rlawn1291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9월 29일 (수) 10:38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간선버스

간선버스(幹線Bus)는 지역 간 중·장거리 통행 수요를 처리할 목적으로 운행하는 기능별 노선버스이다.

개요

간선버스는 지역 간 중·장거리의 통행 수요를 처리함으로써 고질적인 교통 체증을 해소하고 체계적인 차량 흐름이 이루어지게 할 목적으로 운행하는 기능별 노선버스 종류 중 하나이다. 기존의 버스 운행 체계는 지나친 장거리 노선과 우회 노선, 노선의 편중 및 중복, 버스 이용자의 수요 패턴과 배차 운영의 불일치, 승용차 대수의 폭발적 증가로 인한 고질적 차량 정체 등의 요인이 겹쳐 대중교통 수단으로서,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간선 및 지선 체계를 도입하여 가능한 한 운행 거리를 직선화하고 지선과 간선을 연계한 환승 체계로 장거리 노선을 단축하고 신속성과 정시성을 향상하기 위해 중앙버스전용차로제도 도입되었다. 간선버스는 지선버스, 광역버스, 순환버스와 함께 2004년 7월 서울특별시에서 가장 먼저 도입되었다. 버스 색깔이 파란색이라 파랑 버스 또는 블루버스라고도 하며, 뒷바퀴 바로 뒤쪽에 파란색을 뜻하는 영문 머리글자 B가 표시되어 있다. 서울특별시 전역을 체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간선축의 주요 통행 유형을 반영하고, 간선축 2개 이상을 지나는 다양한 노선을 선정하여 설계하였다. 번호는 모두 세 자릿수로 이루어졌는데 첫 번째 숫자는 출발지 권역을, 두 번째는 도착지 권역을, 세 번째는 일련번호를 나타낸다.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는 중앙버스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주로 이용하며 주요 도심을 연결하는 주간선 버스, 지선버스와 함께 주간선 버스를 보완하는 보조간선버스로 나뉜다. 서울특별시 외에도 수도권과 인천광역시,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경상남도 창원시, 전라남도 목포시 등지의 주요 도시에서도 간선버스를 운행하고 있다.[1]

지역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는 2004년 7월부터 지선버스, 광역버스, 그리고 환승 시스템과 함께 도입되었다. 서울특별시의 시내 중 번화가와 대로급 도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도시형 버스로 주로 서울특별시 및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 중장거리 노선을 운행하고 있고 파란색으로 칠해져 있어 블루버스라고도 불린다. 교통카드를 사용해 버스, 지하철 등에서 환승 시 추가 요금 없이 환승할 수 있으며 교통카드 사용 시 최초 10km까지 기본요금 1,250원, 매 5km 추가 시 100원씩 추가된다. 번호는 세 자릿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첫 번째 숫자는 출발지 번호, 두 번째 숫자는 종점 번호, 세 번째 숫자는 일련번호이다. 서울특별시에는 주간선 버스와 보조 간선버스가 있는데 주간선 버스는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주 계통으로 하여 서울특별시의 주요 도심을 연결하는 운영체계이다. 보조 간선버스는 지선버스와 함께 주간선 버스를 보완하여 운행된다. 컨소시엄 업체를 제외한 시내버스 업체에서 운영하며 보조 간선버스 노선 중에는 경기도에서 출발하는 노선도 있다. 서울특별시 간선버스의 겉면에는 행선지가 3개 끼워져 있었지만 2013년 하반기부터 버스 우측면에 신형 행선지 판을 부착함으로써 측면 세 자리 행선지 판은 가독성이 나쁘다는 이유로 제거했다. 기존에 중장거리 노선으로 운행했던 도시형 및 일부 좌석버스의 체계를 개편하여 통합한 것으로 초기에는 도시형 외에도 몇몇 좌석 노선으로 운행했던 버스도 있었으며 중간에 몇몇 지선버스 및 광역버스가 간선버스로 전환되면서 인가 대수가 증가한 적도 있었다. 일부 지선버스나 모든 광역버스와 마찬가지로, 기점이 경기도 지역에 있는 노선도 있다.[2][3]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요금표[4]
종류 교통카드 현금 조조할인(교통카드)
일반 1,200원 1,300원 960원
청소년 720원 1,000원 580원
어린이 450원 450원 360원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의 간선버스는 인천광역시에서 운행 중인 도시형 버스로 1번~99번의 노선과 700번대의 노선에 해당한다. 인천광역시의 간선버스는 파란색으로 도색했으며 지선버스와 다르게 저상버스가 많이 투입되어 있고 지선버스보다 2배 이상 길다. 마을버스 노선들이 지선버스라는 이름으로 시내버스로 편입되면서 기존의 일반 버스가 구분을 위해 이름만 간선버스로 바꾼 것이다. 주로 장거리 노선이 이 범주에 해당하며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중 가장 큰 비중을 가지고 있는 노선이다. 인천광역시의 간선버스는 1번부터 700-1번까지 존재하는 데 큰 번호 부여 규칙 없이 무작위로 번호가 부여되었다. 또한 일부 노선들은 수요보다 배차 간격이 상당히 안 좋은 편이며 굴곡으로 인해 수요가 적은 노선도 있고 몇 개의 노선은 공식적인 배차 간격과 상당히 차이가 나는 노선들도 있다. 버스를 늘리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차량을 돌려쓸 수밖에 없어서 실제로 필요한 운행 대수보다 적은 인가 대수로 운행하는 노선들이 많다. 인천광역시의 간선버스 중 일부는 경기도에도 진입하고 있으며, 서울특별시에도 일부 간선버스들이 경유한다. 간선버스의 막차는 보통 22:40~23:50 정도에 있으며, 일부 노선들의 막차는 중간종료 형식으로 00:20까지 운행하는 버스도 있다.[2][5]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요금표[6]
종류 교통카드 현금 해당노선
일반 1,250원 1,300원 1~87, 111-2, 112, 202, 203, 204, 221, 222, 223, 300, 700-1, 700-2, 721, 754, 760, 760-1, 770-1
청소년 870원 900원
어린이 500원 500원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의 간선버스는 급행, 지선, 순환 노선을 제외한 모든 노선을 가리킨다. 번호표가 세 자리 숫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생활 권역별로 번호가 별도로 부여된다. 교통카드를 사용해 버스, 지하철 등에서 환승 시 추가 요금 없이 환승할 수 있으며, 30분 이내 1회 환승이 가능하다. 녹색, 푸른색의 버스로 2015년 기준 56개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2] 대구광역시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은 2006년 노선개편 때 기존의 일반 버스와 좌석버스 노선 중 지선 급의 중·단거리 노선을 제외한 나머지 노선들을 개편한 것이다. 번호체계는 개편 전과 같은 기점 번호, 경유지 번호, 종점 번호 세 자리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서울특별시와 달리 일련번호가 없기 때문에 노선부여의 한계가 있으며 노선 개편을 해도 번호를 바꾸지 않아 종점 번호가 실제 종점과 다른 경우가 많다. 게다가 간선버스라도 순환 버스처럼 운행하는 노선이 있는데 대구광역시에서의 순환 버스는 2차 순환도로와 3차 순환도로를 따라 운행하는 순환 2(-1)번, 순환 3(-1)번만 칭하고 있기 때문에 나머지 순환형 노선은 간선버스가 아니면 지선버스이므로 간선버스라도 순환형 노선일 경우 편의상 순환형 간선버스라고 칭한다. 순환형 간선버스일 경우 반시계방향 운행은 -1이 붙는다. 대구광역시 간선버스에 행선지 판과 노선도 등에 표시되는 고유색상은 대구광역시 로고 색상 중 하나인 파란색이며 행선지 판 버전에 따라 하늘색이나 남색 계열이 사용되기도 한다.[7]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요금표[8]
종류 교통카드 현금
일반 1,250원 1,400원
청소년 850원 1,000원
어린이 400원 500원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의 간선버스는 2006년 12월 개편 시 10번 이후부터의 번호체계를 적용하였다. 2007년 2월부터 재개편에 들어가면서 지선버스 노선 일부가 간선버스로 변경되고 간선노선 일부가 지선버스로 변경되었다.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와 달리 간선버스를 나타내는 색상으로 파란색이 아닌 노란색을 사용한다.[2] 광주광역시의 간선버스는 선형과 배차 간격에서 아쉬움이 크다. 간선버스임에도 지선버스처럼 굴곡이 심해 직선거리로 얼마 되지 않는 곳을 돌아가는 노선도 있다. 이 때문에 많은 노선이 굴곡을 줄여나갔지만, 여전히 큰 굴곡과 비효율적인 배차 간격을 가진 간선 노선이 남아 있어 정리가 필요하다. 또한 광주광역시 간선버스들의 특징 중 하나는 주요 간선도로들을 이동하다 갑자기 평탄하지 않은 도로로 진입하는 것인데 이로 인해 많은 거리를 가지도 않고 또다시 간선도로로 빠져나온다. 진입을 하고 일정 거리를 주행하다 간선도로에 재진입을 하면 수요도 증가하는 노선이 될 수 있으나 애매하게 진입하다 나와서 비효율적인 형태를 보여준다. 심지어 이 과정을 몇 번을 반복하기 때문에 광주광역시 시내에서 간선버스를 이용해 이동하는 데 1시간 이상이 걸리는 경우가 많다.[9]

광주광역시 간선버스 요금표[10]
종류 교통카드 현금
일반 1,250원 1,400원
청소년 800원 1,000원
어린이 400원 500원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의 간선버스는 급행, 지선, 외곽, 마을 노선을 제외한 모든 노선을 가리킨다. 번호표가 세 자리 숫자 중 십의 자리가 영자리 숫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파란색으로 도색하였다. 하지만 노선연장, 개편, 재정 문제 등으로 일부 지선버스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지선버스가 간선으로 전환되어 있고 버스들의 도색도 기존의 간지선제를 포기해 간선과 지선 대부분의 대형버스가 파란색으로 도색되어 있어 간선버스 구분이 힘들다.[2] 또한 대전광역시의 요금이 일반 버스와 같으며 주로 좌석버스와 일부 입석 버스 노선들을 단축하거나 선형을 개량하여 만든 노선들이 많다. 하지만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와 같이 일부 노선은 선형이 완전히 지선버스랑 똑같을 정도로 간선에 걸맞지 않은 노선들이 꽤 있었고 무엇보다 간선버스와 지선버스 도색이 혼합되어 운행하여 혼란을 빚어냈다. 결국, 2012년 하반기부터 급행버스를 제외한 모든 대형버스와 저상버스들은 모두 간선 도색을 하였고 대형버스를 운영하는 지선버스들은 간선버스로 통합되었다.[11]

대전광역시 간선버스 요금표[12]
종류 교통카드 현금
일반 1,250원 1,400원
청소년 750원 900원
어린이 350원 400원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의 간선버스는 2013년 4월 22일 대개편을 통해 9개의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340번, 430번, 550번, 551번, 601번, 655번, 801번, 991번이 있으며 전광판에 빨간색으로 간선운행노선번호를 표시한다.[2]

세종특별자치시 간선버스 노선[13]
노선번호 기점기 경유지 종점지 배차간격
340 조치원터미널 명학산업단지 세종터미널 60분
430 꽃동네대학교 명학산업단지 세종터미널 30분
550 조치원역 정부세종청사 산성동종점 9회 운행
551 조치원역 정부세종청사 산성시장 1회 운행
601 조치원역 정부세종청사 수루배마을 8, 9단지 -
655 세종터미널 용담리 충남대학교 -
801 문화체육관광부 전의면사무소 민석아파트 20분
991 대곡리 정부세종청사 국책연구단지 30분

경상남도

창원시

경상남도 창원시의 간선버스는 주로 시가지를 이어주는 노선의 역할을 하고 있다. 경상남도 창원시의 간선버스는 간선 좌석 노선과 간선 일반노선으로 나뉘며, 좌석 노선에는 좌석형 시내버스, 일반노선에는 입석형 시내버스가 각각 투입된다. 번호는 간선 좌석 노선이 700번 단위, 간선 일반노선이 100번 단위가 부여되며 대표 안내 색상은 간선 좌석 노선이 빨강, 간선 일반노선이 파랑이다. 요금 또한 차이가 있으며 간선 좌석 노선은 현금으로 납부 시 1,700원, 교통카드로 납부 시 1,600원이며 간선 일반노선은 현금으로 납부 시 1,200원, 교통카드로 납부 시 1,100원이다. 버스 정류장의 표지판에서는 간선 좌석 노선을 좌석, 간선 일반노선을 지선 노선과 읍면 노선 등과 함께 묶어 일반의 범주에 넣어 안내하고 있다.[2]

경상남도 창원시 간선좌석 노선[14]
노선번호 기점기 경유지 종점지 대수 횟수 배차간격
800(급행) 대방동 정우상가, 명서동, 합성동, 최원 1동, 어시장 월영A 15대 90 12분~14분
801(급행) 청솔A 사파동, 도청, 창원종합터미널, 합성동, 회산교, 어시장, 월영A 덕동 7대 35 30분~36분
860(급행) 덕동차고지 마산합포구청, 어시장, 신촌동, 경화역, 롯데마트, 진해구청 용원종점 4대 16 64분~91분
703 대방동 남산동, 정우상가, 사단앞,신세계백화점, 어시장 월영A 13대 78 13분~20분
704 대방동 창원대, 현대A, 한국철강,자유무역, 어시장 월영A 11대 66 13분~20분
707 대방동 법원, 지귀상가, 창원종합터미널,합성동, 마산여고 해운중 10대 60 18분~23분
710 대방동 정우상가, 명서동, 소답시장, 합성동,중리삼계 마산대 12대 72 10분~30분
751 태광주유소 명서동, 세코, 정우상가, 창원병원,신촌동, 진해고교 인의동 7대 48.5 14분~26분
752 태광주유소 서부경찰서, 창원대학, 도청, 대방동,한림A 홈플러스 인의동 5대 28.5 32분~60분
757 소계동 창원역, 도계동, 시청, 롯데마트,진해구청, 웅천동, 웅동 용원동 10대 50 18분~32분
760 마산역 시외버스터미널, 자유무역후문, 신촌동, 진해고교, 진해역 인의동 8대 67 11분~20분
762 마산대 회성동, 시외버스터미널, 자유무역, 신촌동, 홈플러스 장천동 4대 24 35분~56분

전라남도

목포시

전라남도 목포시의 간선버스는 2007년 3월 개편 시 빨간색으로 재도색한 차량으로 운행한다. 노선은 1번, 1A번(근화희망타운 지선), 1B(군산동지선), 2번 13번 13-1번(통학버스), 30번, 30-1번이 있다.[2]

목포시 간선버스 노선[15]
노선번호 기점기 종점지 배차간격
1 석현동 석현동 9분
1A 삼학도 근화희망타운 30분
1B 삼학도 군산동 1일 6회
2 석현동 석현동 16분
9 해양대후문 나악세영리첼 30분~35분
13 석현동 제일극장 10분~13분
13-1 목포시민문화 체육센터 해양대후문 -
30-1 옥암골드클래스 해양대후문 -
나주시

전라남도 나주시의 간선버스는 2016년 6월 개편 시 종전의 100~500번대 노선의 광주광역시 방면 노선을 123번으로 변경했다. 하지만 얼마 못 가 수요가 없어 999번으로 변경하여 운행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혁신 시도를 경유하며 남평 정류장, 나주시외버스터미널, 영상포공용 버스터미널에서 각 지역별 지선 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나주교통에서 단독운행 999-1번만 별도로 혁신도시가 아닌 내기리를 경유하지만 공통으로 전남대학교병원, 조선대학교, 전남대학교를 경유하는 것이 특징이다.[2]

나주시 간선버스 노선[16]
노선번호 기점기 종점지 운행횟수 운행업체
999 영산포 전남대후문 왕복 30회 나주교통
999-1 영산포 전남대후문 왕복 30회

각주

  1. 간선버스〉, 《네이버 지식백과》
  2. 2.0 2.1 2.2 2.3 2.4 2.5 2.6 2.7 2.8 간선버스〉, 《위키백과》
  3. 간선버스(서울)〉, 《나무위키》
  4. 서울특별시 공식 홈페이지 - https://news.seoul.go.kr/traffic/traffic_price
  5. 간선버스(인천)〉, 《나무위키》
  6. 인천광역시 공식 홈페이지 - http://bus.incheon.go.kr/bis/fare.view
  7.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간선〉, 《나무위키》
  8. 대구광역시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daegu.go.kr/tra/index.do?menu_id=00000354&servletPath=%2Ftra
  9.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나무위키》
  10. 광주광역시 공식 홈페이지 - http://bus.gwangju.go.kr/guide/trafficfare/trafficFare?tabIndex=3
  11. 대전광역시 시내버스〉, 《나무위키》
  12. 대전광역시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daejeon.go.kr/drh/DrhContentsHtmlView.do?menuSeq=3308
  13. 세종특별자치시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sejong.go.kr/life/sub02_010204.do
  14. 창원시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changwon.go.kr/depart/contents.do?mId=0701060000
  15. 목포시의 시내버스 노선 목록〉, 《위키백과》
  16. 나주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간선버스 문서는 자동차 분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