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은행 디지털화폐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 Central Bank Digital Currencies)는 법정화폐나 주화같은 명목화폐를 대체하거나 보완하기 위해 중앙은행이 직접 발행하는 디지털화폐이다. CBDC는 발행 대상에 따라 일반적인 소액결제용과 금융기관간 거액결제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적 방식으로 구현됨에 따라 현금과 달리 익명성을 제한할 수 있고, 이자지급이 가능하며, 보유한도 설정, 이용시간 조절도 가능하다.
2019년 7월 8일, 중국은 CBDC를 발행한다고 공식 발표하였으며 왕씬 중국 인민은행연구원 원장은 중앙은행 차원에서 암호화폐를 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 외에 터키 중앙은행이 CBDC 발행계획을 2019-2023 경제 로드맵에 포함을 시켰으며 노르웨이 중앙은행, 태국 중앙은행, 러시아 중앙은행도 2018년에 CBDC 발행에 대해 긍정적 의사와 낙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2019년 1월 한국은행은 2018년 1월 출범한 '가상통화 및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공동연구 태스크포스(TF)'를 해체하고 CBDC를 가까운 장래에 발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개요
CBDC란 전자적 형태로 발행하는 중앙은행 화폐로, 거액 CBDC와 범용 CBDC로 나뉜다. 거액 CBDC는 금융기관 등에만 제한적으로 발행되는 반면 범용 CBDC는 개인, 법인 등 모든 경제주체를 대상으로 발행된다. 이 중 범용 CBDC에 더 관심이 쏠린다. 범용 CBDC가 기존에 존재하지 않던 완전히 새로운 방식의 디지털화폐이기 때문이다. 은행이 제공하는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예금을 대체할 수 있다. 이 경우 금융 메커니즘에 중대한 변화를 일으킬 수도 있게 된다.
CBDC 발행 방식
우리가 잘 아는 은행예금과 유사한 '계좌(account)'방식과 분산원장기술(DLT)에 기반한 '토큰(token)'방식으로 발행할 수 있다. 계좌 방식은 이용자에게 고유 계좌를 발급하고 거래내역을 기록, 저장한다. 중앙 집권 방식이다. 중앙은행은 계좌 소유자의 신원 확인을 할 수 있다. 토큰 방식은 블록체인 핵심 기술인 DLT에 기초해 중개자 없이 개인간 거래(P2P)가 가능하다. 중앙은행이 어떤 방식을 택할지는 상황과 여건에 따라 달라진다.
CBDC 도입 관건
CBDC 도입의 또 다른 관건은 기술이다. 고도화된 기술력이 요구된다. CBDC가 정부 개입이 없는 다른 디지털화폐보다 안정성, 신뢰성 등 요구가 더 까다로운 탓이다. 그만큼 외부 공격의 표적이 되기도 쉽다. 하지만 현재 기술 수준으로 이러한 위험을 원천봉쇄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블록체인의 분산장부기술(DLT)에 대한 의구심도 여전히 큰 것도 문제다. 기존 지급결제 시스템만으로도 충분히 효율적이고 빠른 업무가 가능한데 굳이 DLT를 도입할 필요가 있느냐는 지적이 나온다. 게다가 블록체인의 핵심은 분권화다. 중앙집권 성격이 뚜렷한 중앙은행에서 이러한 특성을 얼마나 살릴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