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ESG

위키원
qkrwhdtn6296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7월 29일 (목) 10:46 판 (역사)
이동: 둘러보기, 검색

ESG(Environmental, Social and Corporate Governance)는 풀이하자면 환경, 사회, 기업 지배구조인데 이는 기업이나 비즈니스에 대한 투자의 지속 가능성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는 세 가지 핵심 요소이다. 이 기준은 기업의 미래 금융 성적(투자 수익과 위험성)을 더 잘 파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1] 이에스지라고 읽는다.

등장배경

국내 경영에서 ESG가 큰 화두로 떠올랐지만, ESG는 어느 날 갑자기 나타난 개념은 아니다. ESG는 좀 더 근원적인 개념인 지속 가능성으로부터 출발했다. 전 세계적 차원에서 지속 가능성이 주요한 의제로 등장한 것은 1987년 유엔환경계획(UNEP)과 세계환경개발위원회(WCED)가 공동으로 채택한 '우리 공동의 미래(Our Common Future)' 일명 브룬트란트 보고서에서 지속가능 발전이 제시되면서부터이다. 지속가능 발전은 미래 세대에게 필요한 자원과 잠재력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현세대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발전을 의미한다. 인류가 빈곤과 인구증가,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 환경 파괴 등의 위기에 직면해 앞으로 대재앙이나 파국을 맞이하지 않고도 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속가능 발전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1997년에는 기업이나 기관이 발간하는 지속가능 보고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위한 비영리단체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가 미국 보스턴에 설립되었다. GRI는 2000년에 첫 번째 가이드라인을 발표한 데 이어 수 차례의 개정을 거쳐 2016년에는 GRI 표준(GRI Standards)을 정립했다. GRI표준은 경제, 환경, 사회 부문으로 나누어 기업이나 기관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설정하고 있다. 현재 GRI표준은 전 세계 기업과 기관이 지속가능 보고서나 ESG 보고서를 발간하는 데 기본적인 프레임 워크 중 하나로 활용되고 있다.

2006년에는 UN의 주도하에 지속가능성 투자 원칙을 준수하는 국제 투자 기관 연합체인 UN PRI(P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 책임투자원칙)가 결성되었다. UN PRI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와 관련된 이슈를 투자 정책 수립 및 의사결정, 자산 운용 등에 고려한다는 원칙을 발표했다. UN PRI에는 국내 국민연금을 포함해 2020년 3월 말 기준 전 세계 3,038개의 투자사 및 투자 기관이 가입되어 있다. UN PRI는 금융 투자 원칙으로 ESG를 강조했다는 점에서 현재 기업 경영에서 강조되는 ESG 프레임워크의 초석을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ESG와 관련된 또 하나의 중요한 정보공시 중 하나는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공개 태스크포스(TCFD)에서 2017년 발표한 권고안이다. TCFD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리스크와 기회요인을 분석하고, 거버넌스, 전략, 리스크 관리, 지표 및 목표의 4가지 측면에서 재무정보공개 권고안을 제시했다. UN PRI 준수 본격화와 TCFD 권고안 발표와 발맞춰 국내에서도 2021년 1월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가 합동으로 '기업공시제도 종합 개선안'을 발표했다. 새로운 공시제도에 따르면, 현재 자율공시로 지정되어 있는 기업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이 2025년부터 일정 규모 이상기업에게 의무화되며, 2030년부터는 모든 코스피 상장사로 확대된다.

2019년 유엔기후행동정상회의에서 당시 16세 소녀였던 그레타 툰베리의 한마디가 당시 가장 큰 이슈로 떠올랐다. 그녀가 제기한 기후변화 문제가 뜨거운 관심을 받은 이유는 기업의 역할에 대한 가치관이 변했기 때문이다. 기업의 경제적 성과만을 기대하던 기존의 가치관에서 변화하여, 주요한 사회적 문제를 야기한 기업의 책임경영 활동을 통해 이를 해결하고 우리의 삶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행동을 할 것이라는 기대가 커졌다.[2]

한편, 애플, 아마존, 월마트, 블랙록 등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기업 CEO가 참여한 BRT(Business Roundtable)는 2019년 8월 연례회의에서 기업의 주주 우선 원칙을 폐지하고 모든 이해관계자의 가치가 통합된 새로운 '기업의 목적(Pupose of aCorporation)'을 선언했다. 181명의 글로벌 기업 CEO가 서명한 선언에는 과거 주주(Shareholder)를 최우선시했던 기업들이 이제는 고객, 직원, 공급자, 지역사회, 주주 등 모든 이해관계자(Stakeholder)의 가치를 고려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BRT 선언에 참여하기도 했던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래리 핑크 CEO는 2020년 1월 전 세계 최고경영자들에게 보내는 연례서한을 통해 기후변화 리스크와 ESG를 투자 결정에서 핵심 요소로 반영한 것임을 밝혔다. 블랙록은 투자 프로세스에 ESG 정보 분석과 평가를 통합함으로써 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촉구하고 있다. 또한 매출의 25% 이상을 석탄발전에 의존하는 기업에 대한 투자를 중단했으며, 2019년 4억 5,000만 달러 규모에 머물렀던 ESG운용 자산을 2020년에는 230억 달러까지 확대하는 등 실제 자산 운영 및 관리에 ESG를 반영하기 시작했다.

2020년 1월 스위스 다보스에서 개최된 세계경제포럼(WEF)에서는 지속가능성과 이해관계자가 핵심주제로 다뤄졌으며, 이어 9월에는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측정(Measuring Stakeholder Capitalism)'이라는 제목의 지속가능한 가치 측정 가이드라인 백서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는 KPMG 등 글로벌 빅4 회계법인이 참여해 작성되었으며, 거버넌스, 지구, 사람, 번영을 4대 축으로 지속가능성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가 제시되었다.[3]

의미

기업의 재무 요소라고 하면 말 그대로 자금, 사업확장능력, 회사경영능력, 자본, 투자금 등이 포함되지만, ESG는 기업의 사회적 또는 윤리적 가치 등 기업의 비재무적인 요소를 중심으로 보는 방식이다.[4]

환경

ESG의 E(environment)는 자연환경오염 관련이다. 최근에 이슈가 된 탄소 저감에 대해 많이 살펴보는 추세인데, 예를 들면 삼성전자, SK하이닉스뿐만 아니라 LG화학 등 제조업 기반의 기업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대신 탄소배출로 인한 환경오염을 발생시킨다. 그렇기에 전 세계는 2050년까지 탄소 중립정책을 펼치기로 했다. 즉 제품을 생산할 때 탄소가 배출되어도 그만큼 탄소를 줄이거나 아예 탄소 발생이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는 정책이다. 우리나라는 2025년부터 자산총액 2조원 이상의 대기업 상장사는 ESG가 의무로 도입되며 2030년까진 코스피 상장사 전체도 해당하도록 정책을 변경할 계획이다. 즉 회사를 운영하면서 나오는 주력 제품에서 환경적인 요소를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요소에 넣겠다는 이야기이다.[4] 예로는 기후변화 및 탄소배출, 대기 및 수질오염, 생물의 다양성, 삼림 벌채, 에너지 효율, 폐기물 관리, 물 부족 등이 있다.[5]

사회

ESG의 S(social)는 사회적인 요소, 말 그대로 특정 국가의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에 얼마나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지이다. 예를 들면 최근 남녀공용을 많이 생산하고 있는데, 이는 남자나 여자나 동등하게 입을 수 있는 옷으로 어느정도 일정 마인드를 갖고있는 국가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지만, 남녀차별이 심한 국가나 남성우월주의국가에서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적인 요소는 젠더갈등, 젠더이슈, 노동자 관계 등 사회에 끼칠 공공 또는 도덕적인 요소라고 보면 된다.[4] 예로는 고객만족, 데이터 보호 및 프라이버시, 성별 및 다양성, 직원참여, 지역사회 관계, 인권, 노동기준 등이 있다.[5]

지배구조

ESG의 G(governance), 지배구조는 회사 내부관련에서 회사 경영에서 불합리적인 요소가 얼마나 있는지 평가하는 지표이다. 예를 들면 기업이 너무 수직구조이며, 상명하복의 관계인 기업일수록 해당 지표는 부정적인 요소로 자리잡을 수도 있으며 다국적 기업의 경우 인종 구성, 여성 인력의 비율 등 얼마나 기업을 투명하고 평등하게 또는 공평한 기회를 제공하는지 여부 등이 평가요소이다.[4] 예로는 이사회 구성, 감사위원회 구조, 뇌물 및 부패, 임원 보상, 로비, 정치 기부금, 내부 고발자 제도 등이 있다.[5]

중요성

ESG지표는 착한기업을 찾는 것보단 나쁜기업을 걸러낸다는 의미로 보아야한다. 실제 미국 석유회사 엑슨모빌은 석유 채굴과정에서 연료를 태우기 때문에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을 수 밖에 없었다. 이는 당장은 아니겠지만 큰 관점에서 본다면 지구의 환경을 나쁘게 만들고 있으며 이는 지구에 사는 인간들에게 악영향을 분명 끼친다. 이런 이유로 주주총회때 엑슨모빌에 온실가스 감축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통과시키려 했지만 투자자들이 반발했다. 이런 이유로 '지구 환경에 나쁜 회사'다라고 정의를 내리며 대주주들이 지분을 팔기 시작했고 결국 80달러였던 주가가 30달러로 추락하였으며 2020년 8월부로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에서 퇴출당했다. 이 외에도 디즈니 블록버스터영화 뮬란도 영화 크레딧에 뮬란 촬영지인 신장 위구르 중국 공안에 감사한다라는 씬에서 해당 지역은 중국의 소수민족 탄압이 심각한 곳이였기에 인권문제가 발생했고, 결국 불매운동이 발생했다. 이처럼 ESG요소를 고려하지 않은 경영은 주가와 판매실적에서 엄청난 타격을 줄 수 있다는 대표 사례이다. 하지만 이와 다리 긍정적인 사례도 있다. 세계 다국적 화장품기업인 로레알코로나19 사태 이후 전 직원을 재택근무로 돌렸으며, 직원과 고객들에게 손 소독제를 공급하였고, 영업이 중단된 소매상들을 위해 제품 대금을 사업 재개때까지 받지 않았다. 이런 과정에서 ESG지표를 높게 평가받아 주가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효과를 보게 되었다.[4]

기업

기업은 안전하고 친환경적 제품을 요구하는 고객, 공정한 거래 관계를 요구하는 정부, 환경친화적 운영을 요구하는 지역사회 그리고 자원 사용 감축을 통해 원가 절감을 요구하는 주주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요구를 직면하고 있다. 최근 많은 연구를 통해 기업이 환경/사회적 책임을 이행할수록, 이해관계자와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며 위험 상황에 노출되는 건수 또한 감소하였으며, 장기적으로 기업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결과가 이를 증명하고 있다.[2]

규제 강화

2000년대 전후로 글로벌 주요국에서는 기업의 ESG요소의 투자수익 또는 위험성을 포함하여 기업가치 및 경제적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논의가 확대되면서 ESG공시 논의가 촉발되었다. EU는 2003년 회계현대화지침(EU Account Modernization Directive 2003/51/EC)에서 연차보고서상 회사의 사업과 성과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범위 내 환경, 고용 등의 비재무적 요소를 공시하도록 하고, 영국 역시 2000년대 초반 연기금에 ESG정보공시를 처음 도입했다. 2006년 UN PRI가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 관련 6대 원칙 등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에 대한 공시 강화가 추진되었다. 우리나라는 2019년부터 자산총액 2조 원 이상의 코스피 상장사를 중심으로 기업지배구조 핵심정보를 투자자에게 의무적으로 공시하도록 개정했다. 더불어 2021년 1월 14일 금융위원회는 ESG 책임투자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차원에서 ESG 정보의 자율공시를 활성화하고 단계적 의무화 추진 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크게 3단계 접근으로 1단계(현재~2025년)에서는 자율공시를 활성화하고 2단계(2025~2030년)에는 일정 규모 이상(예: 자산 2조 원 이상)기업에게 ESG 공시를 의무화하였으며, 3단계(2030년 이후)에서는 전 코스피 상장기업들을 대상으로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공시를 의무화하는 것이다.[3]

투자자 요구 증대

스튜어드십 코드(Stewardship Code)는 기관투자자들이 고객 및 수익자의 자산을 위탁 받은 선량한 관리자로서 중장기저긍로 고객 및 수익자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수탁자가 어떻게 책임을 이행할 것인가에 대한 행동 지침이다. 특히, 수튜어드십 코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시 기관투자자들이 주주로서 기업의 지배구조를 견제하지 못했다는 반성해서 출발하여 연기금 등 기관투자자의 역할과 책임을 강조하게 되었으며, 이를 유도하는 방안으로 2010년 영국에서 최초로 스튜어드십 코드를 제정·도입하게 되었다. 또한 이는 '이해관계자 자본주의(Stakeholder Capitalism)'의 확산과도 맥을 같이 한다. 과거에는 기업의 최대한의 이윤을 창출하여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이른바 주주자본주의(Shareholder Capitalism)를 지향했다면, 최근에는 유럽을 중심으로 ESG가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기여함으로써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의가 주주에서 기업의 이해관계자들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연기금 등 기관투자자의 수탁자를 이해관계자로 확장시켜 기업의 지배 구조 개선 및 사회적 책임도 수행하도록 유도한다. 2021년 1월 기준 전 세계적으로 스튜어드십 코드를 도입한 국가는 약 20개국이며, 현재 영국을 비롯해서 미국, 캐나다 등이 이에 해당된다. 아시아에서 최초로 2014년 일본이 도입한 데 이어 우리나라는 2016년 한국형 스튜어드십 코드를 발표했다. 개발 국가별로 도입 양상은 조금씩 다르나, 공통적으로 기관투자자들은 고객 및 수익자의 이익을 위해 투자대상 회사에 대해 주주로서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기업지배구조 등을 개선하여 중장기적 기업가치 향상을 도모하여, 고객 및 수익자의 이익과 경제 발전 등 선순환 구축을 위해 행동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6년 12월 '기관투자자의 수탁자 책임에 관한 원칙'으로 도입되었으며, 수탁자 책임 정책 제정과 공개, 이해상충 방지, 투자대상 회사에 대한 주기적 점검, 수탁자 책임 활동을 위한 내부 지침, 의결권 정책 및 행사내역 공개, 고객에 대한 보고, 역량 및 전문성 확보 등 7가지 세부원칙을 정하고 있다. 정부는 지속적으로 주식 대량보고(5% 룰) 개정 및 공적연기금의 단기매매차익 반환의무(10% 룰) 보완 등을 추진하며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확산을 유도중이다. 이에 따라 국내 연기금 및 보험사, 자산운용사 등 기관투자자의 가입이 확대되어 2021년 1월 총 146개 기관 및 기업이 스튜어드십 코드를 도입 중이다. 글로벌 기관투자자의 적극적 역할 등에 기초하여 해외 기업들의 지배구조 개선과 주주 권익 보호를 강화하는 법제 개정도 활발하다. 일례로 2017년 EU의 개정 주주권리지침(Sharegolder Right Directive)은 기관투자자의 주주활동, 의결권 자문기관, 임원 보상, 특수 관계인 거래 등에 관한 개선 조치를 담고 있다. 이와 유사하게 국내에서도 기업지배구조 개선, 상생 협력과 사회적 책임 강화 등을 목적으로 이른바 '공정경제 3법'이 제·개정되어 2021년 12월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동 규제는 상법상 다중대표 소송제 신설, 감사위원 분리선출 등과 더불어 공정거래법상 사익편취 규제 대상 강화, 지주회사 등에 대한 지분율 요건 강화 등을 기준으로 중심으로 기관투자자를 비롯하여 다양한 투자자의 의사결정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 이에도 현재 집단소송제 징벌적 배상제 도입을 위한 입법 논의가 진행 중이다. 집단소송제는 현재 주가조작이나 공시의무 위반, 분식회계, 불완전판매 등 증권분야에만 적용되고 있으나, 전 분야로 확장법을 추진 중이며, 징벌적 손해배상 역시 일반적용을 논의 중이다. 입법 여부에 대한 모니터링과 더불어 이러한 논의의 배경에 투자자를 비롯하여 전 이해관계자가 기업지배 구조 등에 관심을 갖고 투자 기준이 높아지고 있음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3]

기업평가 반영

글로벌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Moody's), 피치(Fich ratings) S&P(Standard & Poor's) 등에서는 ESG 평가 결과를 신용 등급에 일부 반영하고 있다. S&P Global의 경우, 환경오염이나 탄소배출량, 안전보건, 내부통제, 리스크 관리 등으로 분류하여 조정사유에 해당하는 기업에 대해 신용등급을 조정했다. 예를 들어, 듀크 에너지(Duke Enegy)의 경우 석탄발전소에서 과도하게 석탄재가 배출되어 환경오염적 요소로 신용등급을 'A-Stable'에서 'A-Negative'로 조정하여 ESG에 따른 신용위험을 알렸다. 신용평가기관들은 ESG가 확대됨에 따라 ESG 전문역량 보유기관 및 ESG 평가기관을 M&A를 통해 확대해 나가고 있다. 2020년 10월 한국신용평가기관은 ESG 채권 인증 평가시업을 최초로 선보였다. 대표적으로 자체 내 ESG 금융 평가방법론을 기준으로 한국중부발전이 발행한 제 59회 공모사채(지속가능채권)를 평가하여 STB1의 최종평가를 부여했다. 평가방법에는 발행기업이 ESG 관련 지속가능경영, 기후변화 완화 및 대응에 대한 회사의 의지, 프로젝트가 적격사업 기준에 부합하고 조달 자금 전략을 프로젝트에 투입하는지 등을 평가한 것으로 조사된다. 이러한 사회적 흐름은 기업들의 ESG 경영이 재무적 위험을 넘어 신용위험까지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3]

고객 요구 증대

기업의 ESG 영향력 확대, ESG 공시 강화와 투자자 요구 수준이 높아지면서 기업은 단순한 마케팅 차원을 넘어 생산과정 전반에서 ESG 요소를 내재화하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다. 무엇보다 최근 생산과 소비가 글로벌 밸류체인 내에서 가장 효율적인 형태의 분업체계로 구축되면서 원료 확보보다 상품 조립과 공정 과정 등 주요 생산과정을 다양한 글로벌 협력업체가 담당하고 있다. 다국적 기업을 중심으로 협력업체를 직접적으로 관리하여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용이나 환경적 측면의 부정적인 영향을 통제하기는 어려운 반면, 관련 문제 발생 시 직접적으로 브랜드 가치 저하 등의 리스크에 당면하게 된다. 이에 글로벌 주요 기업은 제품과 서비스 전 생산과정에 대한 위험 요소를 최소화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경영과제로 삼고 있다. 더불어 높아지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대응 필요성을 반영하여 UN기업과 인권 가이드라인이나 OECD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 등은 기업이 하도급 기업을 포함하여 업무상 협력업체에 대해서도 사회·환경적 요소를 고려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은 ESG 요소를 고려하여 협력업체 등 공급망 관리를 통해 비즈니스의 지속가능성을 도모 중이다. 소비자들은 점차 기업의 제품이 사회적·환경적으로 어떤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경영사상전문가인 사이먼 사이넥(Simon Sinek)은 골든 서클(Golden Circle)이론을 설명하며, "사람들은 '당신이 무엇을 했는가'로 제품을 구매하지 않는다. 그들은 '당신이 왜 그것을 했는가'로 제품을 구매한다"고 언급했다. 이는 과거에는 소비자들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무엇(What)'이 가장 중요한 요소였다면, 최근 소비자들은 '무엇'을 넘어 '어떻게(How)'와 '왜(Why)'까지 고려하며 제품을 구매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과거 소비자들은 기업이 생산한 최종 제품의 디자인, 품질 등에 집중했다면, 최근 점점 더 많은 소비자들은 내가 사용하는 제품이 어디서 어떻게 생산되는지와 나아가 제품이 담고 있는 가치관과 신념, 사회·환경적 책임은 다하고 있는지까지도 관심을 가지고 구매를 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움직임은 밀레니얼 세대(1980년대 초반부터 1990년대 중반 출생자)와 Z세대(1990년대 중반 이후 출생자)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보여진다.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 환경오염과 미세먼지 심화 등을 일상 속에서 체감하는 밀레니얼·Z세대는 환경 이슈에 민감하다. 또한 정의란 무엇인지, 올바름이란 어떤 것인지를 생각하며, 기업의 제품을 살펴볼 때에도 기업의 진정성, 진실성, 도덕성을 구매 기준 중 하나로 여긴다. 즉, 의식 있는 컨셔스(Conscious)소비 성향을 강하게 보인다.[3]

투자 증가

글로벌지속가능투자연합 통계에 따르면 세계 ESG 투자 규모는 40조 5,000억 달러(4경 4,400조)로, 30조 6,800억 달러(3경 3,600조)규모였던 2018년과 비교해 1년 반 만에 30%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ESG를 염두에 두고 투자하겠다는 기조가 확고해지는 등 환경 지속가능성과 투자의 연계는 강해지고 있다. 특히 ESG의 개선은 경영 자금 조달에도 유리하다. 지난 1월 환경부는 '2021년 녹색금용 추진계획'을 발표하며 정책금융기관의 녹색 분야 지원 비중을 늘리겠다고 밝혔다. 그 뿐만 아니라 문재인 정부는 산업구조를 친환경으로 전환하는 데에 천문학적 금액을 투자할 것을 예고했다. 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도 2035년 저탄소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총 2000조원의 자금을 민간에 투자하겠다 밝히기도 했다. ESG경영을 강화하면 정책금용 조달에 더욱 유리해지는 구조가 형성되고 있다.[6]

역사

금용 자산을 어디에 배치할 것인지에 대한 역사적 결정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이루어졌고 재정적 수익이 우세했다. 그러나 정치적 고려에서부터 천상의 보상에 이르기까지 돈을 어디에 투자 할지를 결정하는 데는 항상 다른 기준이 많이 있었다. 노동 조합이 관리하는 방대한 연금 기금이 자본 자산을 사용하여 더 넓은 사회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회를 인식한 것은 1950년대와 1960년대였다. 미국의 국제 전기 노동자 형제단은 합리적인 주택 프로젝트 개발에 상당한 자본을 투자했고, 전미탄광노동자조합(United Mine Workers,UMWA)는 의료 시설에 투자했다.

국내 경영에서 ESG가 큰 화두로 떠올랐지만, ESG는 어느 날 갑자기 나타난 개념은 아니다. ESG는 좀 더 근원적인 개념인 지속 가능성으로부터 출발했다. 전 세계적 차원에서 지속 가능성이 주요한 의제로 등장한 것은 1987년 유엔환경계획(UNEP)과 세계환경개발위원회(WCED)가 공동으로 채택한 '우리 공동의 미래(Our Common Future)' 일명 브룬트란트 보고서에서 지속가능 발전이 제시되면서부터이다. 지속가능 발전은 미래 세대에게 필요한 자원과 잠재력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현세대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발전을 의미한다. 인류가 빈곤과 인구증가,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 환경 파괴 등의 위기에 직면해 앞으로 대재앙이나 파국을 맞이하지 않고도 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속가능 발전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1970년대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아프르트헤이트 정권에 대한 전 세계적 혐오는 윤리적 노선에 따라 선택적 투자를 중단한 가장 유명한 사례 중 하나가 되었다. 미국 제너럴 모터스의 이사인 레온 설리번 목사는 정권에 대한 제재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1971년 남아프리카와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행동 강령을 만들었다. 설리번 원칙(Sullivan Principles)으로 알려진 것은 많은 관심을 끌었고, 정부는 설리번 강령을 위반하는 남아프리카 기업에 얼마나 많은 미국 기업이 투자하고 있는지 조사하기 위해 여러 보고서를 의뢰했다. 보고서의 결론은 많은 남아공 기업들로부터 미국에 의한 대규모 투자 중단으로 이어졌다. 재계가 남아프리카 정권에 가한 결과적인 압박은 아파르트헤이트 제도가 폐지되어야 한다는 추진력을 증기시키는 데 큰 무게를 더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널리 퍼진 자선활동에 대한 지배적인 분위기에, 밀턴 프리드먼은 사회적 책임이 기업의 재무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큰 정부"의 규제와 간섭이 항상 거시 경제를 손상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회사나 자산의 평가가 전적으로 순이익에 따라 예측되어야 한다는 그의 주장(사회적 책임에 의해 발생하는 비용이 필수적이지 않은 것으로 간주됨)은 20세기 대부분 널리 퍼져있는 신념을 뒷받침했다. 그러나 세기 말에 이르러서는 반대의 이론이 나오기 시작했다. 1988년 비즈니스 컨설팅 회사인 SustainAbility의 공동 창립자인 존 엘킹턴(John Elkington)은 Cannibals with Forks: The Triple Bottom Line of 21st Century Business*를 출판했는데, 이 책에서 기업 또는 주식 가치를 결정하는 요소에 새롭게 포함되어야 하는 비재무적 고려 사항의 클러스터를 만들었다. 그는 새로운 계산에 포함된 재정적, 환경적, 사회적 요인을 언급하며 "3중 이익"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1997년에는 기업이나 기관이 발간하는 지속가능 보고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위한 비영리단체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가 미국 보스턴에 설립되었다. GRI는 2000년에 첫 번째 가이드라인을 발표한 데 이어 수 차례의 개정을 거쳐 2016년에는 GRI 표준(GRI Standards)을 정립했다. GRI표준은 경제, 환경, 사회 부문으로 나누어 기업이나 기관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설정하고 있다. 현재 GRI표준은 전 세계 기업과 기관이 지속가능 보고서나 ESG 보고서를 발간하는 데 기본적인 프레임 워크 중 하나로 활용되고 있다.


동시에 환경 부문과 금융 부문의 엄격한 구분이 무너지기 시작했다. 2002년 런던 시에서 유기농 생산 표준의 기술 구성, 인증 및 배포를 감독하기 위해 선택된 국제 패널의 일원이자 런던 시의 선도적인 브랜드 컨설팅 회사 중 한 곳의 설립자인크리스 예이츠 스미스(Chris Yates-Smith)는 최초의 환경 금융 연구 그룹 중 하나를 설립했다. 금융 리더, 도시 변호사 및 환경 책임 NGO그룹은 선순환 구조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그 간략한 내용은 환경 및 사회적 기준과 재무 성과 사이의 상관 관계의 본질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세계의 몇몇 대형 은행과 투자 회사는 판매 측 서비스 제공을 통해 ESG투자 시장에 대한 관심증가에 대응하기 시작했다. 첫 번째는 브라질 은행 Unibanco와 런던의 마이크 타니엘(Mike Tyrell)의 Jupiter Fund로, ESG 기반 연구를 사용하여 2001년 HSBC씨티은행(Citicorp)에 선택적 투자 서비스를 제공했다.

2002년대 초반에 투자 시장의 주요 부분은 윤리적으로 유도된 투자는 본질적으로 재정적 수익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역사적 가정을 연전히 받아들였다. 자선활동은 그다지 수익성 있는 사업으로 알려지지 않았고, 프리드먼은 윤리적으로 책임있는 방식으로 행동하는 비용이 이득보다 클 것이라는 주장에 대해 널리 받아들여진 학문적 근거를 제공했다. 그러나 이러한 가정은 근본적으로 이의를 제기를 받기 시작했다. 1998년 두 명의 저너리스트 로버트 레버링(Robert Levering)과 밀튼 모스코비츠(Milton Moskowitz)가 포춘지 선정 일하기 좋은 100대 기업을 발표했는데, 처음에는 포춘지 선정에 이름을 올렸고, 그 후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그 결과 회사의 재무 성과가 어떻게 발전했는지에 관한 미국의 우수 관리 회사 목록을 정리한 책이 되었다. ESG가 나타낸 세 가지 우려 영역 중 환경 및 사회 분야는 기후 변화에 대한 두려움이 커짐에 따라 대중과 미디어의 관심을 대부분 받았다. 모스코비츠(Moskowitz)는 책임 있는 투자의 기업 지배 구조 측면에 주목했다. 그의 분석은 회사 관리 방식, 주주 관계 및 직원 대우 방식에 관한 것이었다. 그는 기업 지배 구조 절차를 개선한다고 해서 재무 성과가 손상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오히려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기업의 효율성을 확보하며 우수한 경영 인재를 발굴하고 활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20녀대 초, 모스코비츠(Moskowitz)목록의 성공과 이것이 기업의 간편한 채용 및 브랜드 평판에 미치는 영향은 ESG 요소의 재정적 영향에 대한 역사적 가정에 도전하기 시작했다. 2011년, 와튼(Wharton)의 재무 교수인 알렉스 에드만스(Alex Edmans)는 금융경제학 저널(Journal of Financial Economics)에 일하기 좋은 100대 기업이 1984~2009년에 걸쳐 주가 수익률 측면에서 동료 기업보다 연 2~3% 더 높은 성과를 거뒀으며, 분석가의 기대치를 체계적으로 초과한 수익을 제공했다는 논문을 발표했다.

2005년, UN 환경 프로그램 금융 이니셔티브는 국제 법률 회사인 프레쉬필즈 브룩하우스 데링거(Freshfields Bruckhouse Deringer)로부터 투자자 및 ESG 문제와 관련된 법률 해석에 대한 보고서를 의뢰했다. 프레쉬필즈(Feshfields)보고서는 투자 회사가 ESG 문제를 투자 분석에 통합하는 것이 허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렇게 하는 것이 수탁 의무의 일부라는 결론을 내렸다. 2014년 법무위원회(일글랜드웨일스)는 연금 수탁자 및 다른 사람들이 투자 결정을 내릴 때 ESG 요소를 고려하는 데 아무런 제한이 없음을 확인했다.

프리드먼의 ESG 유형 요소를 재무 관행에 통합하면 재무 성과가 저하된다는 주장을 학술적으로 뒷받침하는 여러 보고서가 21세기 초에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이 보고서는 반대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연구를 생산하기도 했다. 2006년 옥스포드 대학마이클 바넷(Michael Barnett)와 뉴욕 대학의 로버트 살로몬(Robert Salomon)은 이 논쟁의 양측이 심지어 상호 보완적일 수 있다는 결론에 대한 영향력 있는 연구를 발표했다. 즉, 사회적 책임과 재정적 성과 사이의 곡선적 관계를 제시했다. 선별적 투자 관행과 비선택적 투자 방식 모두 투자 포트폴리오의 재무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성과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유일한 경로는 선별적 투자의 중간 방법이었다. ESG문제에 관심을 보이는 대형 투자 회사 및 은행 외에도, 금융계 전반에 걸쳐 책임 있는 투자와 ESG 기반 포트폴리오를 다루는 일련의 투자 회사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투자 업계의 많은 사람들은 ESG 요소의 개발이 투자 분석의 고려 사항으로 불가피하다고 생각한다. ESG 문제와 재무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증거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으며, 수탁 업무와 장기적인 투자 지속 가능성에 대한 필요성을 폭넓게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적 및 기업 지배 구조에 대한 우려는 점점 더 커지고 있다. 투자 시장에서 점점 중요한 역할을 한다. ESG는 실용성보다는 자선 활동의 문제가 되었다.

투자의 지속 가능성 및 윤리적 영향과 관련된 무형 요소의 포함을 무엇이라고 부를지에 대한 불확실성과 논쟁이 있었다. "친환경"과 "ECO"와 같은 유행어를 초기에 사용한 것부터 투자 분석 유형("책임 투자", "사회 책임 투자"(SRI), "윤리적인", "외부 금융", "긴 수평적 투자"(LHI), "기업 건강", "전통적이지 않은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설명이 가능하다. 그러나 ESG라는 용어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악사 인베스트먼트 매니저스(AXA Investment Managers)와 AQ Research가 2008년에 실시한 350명의 글로벌 투자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대다수의 전문가가 이러한 데이터를 설명하는 데 ESG라는 용어를 선호한다고 결론지었다.

2006년에는 UN의 주도하에 지속가능성 투자 원칙을 준수하는 국제 투자 기관 연합체인 UN PRI(P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 책임투자원칙)가 결성되었다. UN PRI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와 관련된 이슈를 투자 정책 수립 및 의사결정, 자산 운용 등에 고려한다는 원칙을 발표했다. UN PRI에는 국내 국민연금을 포함해 2020년 3월 말 기준 전 세계 3,038개의 투자사 및 투자 기관이 가입되어 있다. UN PRI는 금융 투자 원칙으로 ESG를 강조했다는 점에서 현재 기업 경영에서 강조되는 ESG 프레임워크의 초석을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ESG와 관련된 또 하나의 중요한 정보공시 중 하나는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공개 태스크포스(TCFD)에서 2017년 발표한 권고안이다. TCFD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리스크와 기회요인을 분석하고, 거버넌스, 전략, 리스크 관리, 지표 및 목표의 4가지 측면에서 재무정보공개 권고안을 제시했다. UN PRI 준수 본격화와 TCFD 권고안 발표와 발맞춰 국내에서도 2021년 1월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가 합동으로 '기업공시제도 종합 개선안'을 발표했다. 새로운 공시제도에 따르면, 현재 자율공시로 지정되어 있는 기업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이 2025년부터 일정 규모 이상기업에게 의무화되며, 2030년부터는 모든 코스피 상장사로 확대된다.

Natixis의 2016년 정의된 기여 계획 참여자 설문 조사2에 따르면 ESG와 지속 가능한 투자에 대한 관심이 계획 참여자들에게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10명 중 6명 이상이 그들의 투자가 사회적 이익을 가져다 준다는 것을 안다면 그들의 은퇴 계획에 기여하거나 기여금을 늘릴 가능성이 더 높을 것이라고 동의했다

2016년 1월 유엔책임투자원칙(PRI), 유엔환경계획금융이니셔티브(UNEPFI), Generation Foundation은 3개년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투자 관행과 의사결정에 있어 환경, 사회, 거버넌스 문제를 통합하는 데 있어 수탁 의무가 정당한 장벽인지에 대한 논쟁을 종결하였다.

이는 2015년 9월 유엔책임투자원칙(PRI), 유엔환경계획금융이니셔티브(UNEPFI), UNEP Inquiry, 유엔 글로벌 콤팩트(United Nations Global Compact)에 의해 21세기 신탁통치 의무를 발표한 이후이다. 이 보고서는 "ESG 문제를 비롯한 모든 장기적인 투자 가치 동인을 고려하지 않는 것은 의무의 오류"라고 결론 내렸다. 또한, 상당한 진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투자자가 ESG 문제를 투자 의사 결정 프로세스에 완전히 통합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도 인정했다.

2019년 유엔기후행동정상회의에서 당시 16세 소녀였던 그레타 툰베리의 한마디가 당시 가장 큰 이슈로 떠올랐다. 그녀가 제기한 기후변화 문제가 뜨거운 관심을 받은 이유는 기업의 역할에 대한 가치관이 변했기 때문이다. 기업의 경제적 성과만을 기대하던 기존의 가치관에서 변화하여, 주요한 사회적 문제를 야기한 기업의 책임경영 활동을 통해 이를 해결하고 우리의 삶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행동을 할 것이라는 기대가 커졌다.[2]

한편, 애플, 아마존, 월마트, 블랙록 등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기업 CEO가 참여한 BRT(Business Roundtable)는 2019년 8월 연례회의에서 기업의 주주 우선 원칙을 폐지하고 모든 이해관계자의 가치가 통합된 새로운 '기업의 목적(Pupose of aCorporation)'을 선언했다. 181명의 글로벌 기업 CEO가 서명한 선언에는 과거 주주(Shareholder)를 최우선시했던 기업들이 이제는 고객, 직원, 공급자, 지역사회, 주주 등 모든 이해관계자(Stakeholder)의 가치를 고려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BRT 선언에 참여하기도 했던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래리 핑크 CEO는 2020년 1월 전 세계 최고경영자들에게 보내는 연례서한을 통해 기후변화 리스크와 ESG를 투자 결정에서 핵심 요소로 반영한 것임을 밝혔다. 블랙록은 투자 프로세스에 ESG 정보 분석과 평가를 통합함으로써 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촉구하고 있다. 또한 매출의 25% 이상을 석탄발전에 의존하는 기업에 대한 투자를 중단했으며, 2019년 4억 5,000만 달러 규모에 머물렀던 ESG운용 자산을 2020년에는 230억 달러까지 확대하는 등 실제 자산 운영 및 관리에 ESG를 반영하기 시작했다.

2020년 1월 스위스 다보스에서 개최된 세계경제포럼(WEF)에서는 지속가능성과 이해관계자가 핵심주제로 다뤄졌으며, 이어 9월에는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측정(Measuring Stakeholder Capitalism)'이라는 제목의 지속가능한 가치 측정 가이드라인 백서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는 KPMG 등 글로벌 빅4 회계법인이 참여해 작성되었으며, 거버넌스, 지구, 사람, 번영을 4대 축으로 지속가능성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가 제시되었다.[3][1]

기업들의 노력

  • 마이크로소프트 : 자신의 소프트웨어 역량을 다른 사업들과 융합하여 선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10억달러의 '기후 혁신 펀드(Climate Innovation Fund)'를 조성해 향후 4년간 탄소 제거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탄소 네거티브(Carbon Negative)'라는 개념도 들고나왔다. '탄소 중립(Carbon Neutral)'만으로는 충분치 않으니 배출량 이상으로 흡수량을 늘리자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2030년부터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배출량보다 더 늘린 후, 2050년까지 창사 이래 배출한 모든 이산화탄소를 회수하겠다는 야심 찬 목표도 내걸었다. 2012년 실질적 이산화탄소 배출량 제로를 달성한 바 있다.
  • 아마존 : 제프 베조스 대표는 주주 서한을 통해 친환경 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했다. 기후협약을 최초로 서명한 회사로, 파리 기후 협약을 10년 앞당긴 204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약속 이행을 위해 2022년까지 배송용 차량 1만 대를 전기차로 바꾸고, 2030년까지는 총 10만 대를 업무에 투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아울러 재생에너지 사용률을 2024년까지 80%, 2030년까지는 100%로 각각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하고, 포장재 낭비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하겠다는 약속도 했다.
  • 에스케이하이닉스㈜ : 2018년 에코 비전 2022를 선언하고 친환경 생산 체제를 갖추기 위한 준비를 시작한 데 이어, 적극적인 탄소 배출량 감축 활동을 통해 지속가능성 중점을 둔 녹색 경영 모델을 구축해가고 있다. 특히 환경 활동 분야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2022년까지 2016년 온실가스배출전망(BAU, Business as Usual)대비40%의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것이다. 에스케이하이닉스㈜는 이를 달성하기 위해 에너지 시스템 최적화를 통한 사용량 및 비용절감, 기술 개발과 장비 개선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량감소,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대체 에너지 인프라 구축 등 세가지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2019년에는 국내 기업 중 처음으로 국내외 모든 생산 거점에서 '폐기물 매립 제로(ZWTL Zero Waste to Landfill) 인증'을 완료했다. 지난해에는 SK 관계사들과 함께 국내 기업 최초로 RE100에 가입하고, 단계별 이행 로드맵에 따라 재생에너지 사용량을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삼성전자㈜ : 2008년 에너지 고효율 제품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전사 에코협의회와 사업부 실무 협의체를 구성했다. 여러 부서들이 에너지 절감 기술과 환경 관련 동향 등을 공유하며 '성능은 최강, 에너지 소비는 최소'인 제품을 탄생시키기 위해 노력 중이다. 에코 패키지 확대 적용을 포함하며 다양한 노력들을 통해 2021년 생산되는 제품 중 친환경 아이템이 적용된 제품의 온실가스 감축량은 약 25,000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30년생 소나무 3백 80만 그루가 흡수하는 양이다.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한 삼성전자의 노력이 고스란히 집약된 제품들 외에도 반도체 분야에서의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D램 4종, SSD 3종, 그리고 e스토리지(eStrorage)2종 등 삼성전자의 메모리 제품 9개가 '카본 트러스트(Carbon Trust)'로부터 '제품 탄소 발자국(Product Carbon Footprint,PCF)'인증을 받은것이다. 특히, 스마트폰용 메모리 512GB eUFS 3.1은 반도체 업계 최초로 '탄소 저감 인증'을 취득했다. 삼성전자는 앞으로도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에너지 고효율 제품 개발과 설비 도입, 신재생 에너지 사용으로 ESG경영을 더욱 공고히 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 ㈜하나금융지주 : 2021년 3월 ESG·글로벌·플랫폼 3대 전략 달성을 위한 2021년 지주사 조직 개편을 단행하고, ESG경영을 이사회 차원의 주요 핵심 사안으로 격상시켜 이사회 내 ESG 관련 위원회인 '지속가능경영위원회' 및 '소비자리스크관리위원회'를 신설하기로 했다. 아울러 2050년까지 그룹 전 관계사 적용을 목표로 한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또한 '환경사회리스크관리체계(ESRM)'를 상반기 중 구축 완료해 환경파괴와 인권침해 문제가 있는 사업을 중점적으로 선별해 금융지원을 억제할 계획이며, 이를 토대로 2021년 중 적도원칙 가입 목표를 세우고 있다.
  • 우리금융지주㈜ : '2050 탄소중립 금융그룹'을 선포하며 자회사들의 석탄 발전소 건설을 위한 신규 PF참여 및 채권 인수 등을 차단하고 기존에 투자된 관련 자산도 리파이낸싱 시점에 가능한 회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 ㈜케이비금융지주 : 'KB 그린웨이 2030' 전략을 중점으로 계열사 모두가 탈석탄 금융에 참여해 국내외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신규 PF 및 채권 인수 사업 참여를 전면 중단하며 환경 관련 민간 투자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농협금융지주㈜ : 'ESG전환 2025'비전을 제시하고 ESG경영체제 강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또한 ESG 의사결정 체계 구축을 위해, 이사회 내 '사회가치 및 녹색금융위원회'와 회장 주관 'ESG 전략협의회'를 신설하기로 했다.
  • ㈜신한금융지주회사 : 친환경 전략인 '제로 카본 드라이브' 강화와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상생 생태계 구축'을 주요 목표로 잡고, 탄소배출량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등 친환경 금융의 새로운 표준을 만든다는 계획이다.[5]

글로벌 기관 및 이니셔티브

글로벌 표준화 기관

  • 온실가스 프로토콜(GHG Protocol) : 1997년 세계자원연구소(WRI)와 세계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WBCSD)에서 설립하였다. 1998년부터 기업과 정부, 지자체 등의 기후변화 대응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과 보고에 관한 국제 표준을 제정해 보급하고 있다. GHG Protocol 기업 표준(Corporate Standard)은 2001년 처음 마련되었으며, 이후 기업이 전기 및 기타 에너지 구입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Scope 2)을 측정하고 가치사슬 전체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량(Scope 3)을 측정하는데 활용 할 수 있는 지침을 추가했다. 온실가스 배출 관련 비재무정보 공시에서 국제적으로 가장 널리 활용되는 표준으로, 2016년 미국 경제 전문지 포춘(Fortune) 선정 글로벌 500대 기업 중 CDP(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 평가를 받은 기업의 92%가 GHG Protocol을 직·간접적으로 사용했다.
  • 글로벌 리포팅 이니셔티브(GRI; Global Reporting Initiaive) : 기업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비영리기구로, 1997년 미국의 환경단체 세레스(CERES, Coalition for Environmentally Responsible Economies)와 유엔환경계획(UNEP) 등이 주축이 되어 설립했다. GRI는 핵심은 지속가능성 보고 표준(Sustainability Reporting Standards)이며, 지난 20년간 동안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2000년 발표된 GRI Guidelines(G1)은 지속가능성 보고를 위한 최초의 글로벌 프레임워크이다. 이후 가이드라인은 G2~G4로 이어지며 확대 및 개선되었다. 2016년, GRI는 최초의 글로벌 지속 가능성 보고 표준인 GRI Standards를 제시했으며, 계속 업데이트되고 있다. GRI Standards는 경제 분야 6개 주제, 환경 분야 8개 주제, 사회 분야 19개 주제 등 광범위한 주제별 영향 보고를 위한 세부 지침과 글로벌 우수 사례를 제시한다. 보고 대상은 투자자를 포함한 모든 이해관계자이며,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채택된 글로벌 지속가능성 보고 표준이다. 현재 전 세계에서도 15,402개 조직이 GRI 가이드라인에 따라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 국제표준화기구(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 2010년 발표한 ISO 26000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국제표준이다. 글로벌 빈곤과 불평등, 경제성장에 따른 환경 위기 등 지속가능성에 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면서, 2004년 ISO에서 표준 개발이 결정되었고, 2005년부터 5년간 걸쳐 개발되었다. 소비자, 정부, 기업, 노동, NGO 및 기타 등 6대 다자간 이해관계자 접근방식으로 참여한 90여 개국 이상의 전문가가 이를 개발하였다. ISO 26000은 지배구조, 인권, 노동관행, 환경, 공정거래, 소비자 이슈, 지역사회 참여 및 개발 등을 7대 핵심 주제로 규정하고, 이에 대한 실행지침과 권고사항 등을 담고 있다. ISO 26000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분야에서 참고가 되어 왔으나, ISO 9000(품질경영시스템)이나 ISO14000(환경경영시스템)과 달리, 강제성이 없는 실행 가이드라인으로 인증을 위한 표준이 아니다. 때문에 세계 각국의 기관과 기업은 적용에 있어 제각기 다른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 지속가능성 회계기준위원회(SASB; 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s Board) : 2011년 설립되었으며, 주요 목적은 미증권거래위원회(SEC)에 보고할 기업의 공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었다. 투자자들에게 비교 가능한 비재무정보를 제공하고, 투자자들이 산업별로 중요한 ESG 이슈에 대한 기업의 성과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SASB는 2018년 77개 산업별 지속가능성 보고 표준을 발표하였으며, 각 산업별 중대이슈(materiality)에 관한 정보 공개를 요구한다. GRI밖에 없었던 지속가능성 보고 표준 시장에 뒤늦게 등장했지만, 재무적성과의 연계된 ESG 요소를 중심으로 간결한 세부지침이 만들어져 투자자들에게 빠르게 수용되고 있다. 현재 지속가능성 보고에 있어서 GRI와 함께 가장 널리 채택되며, 특히 블랙록(BlackRock)의 래리 핑크 회장이 2020년 SASB 기준과 TCFD(기후관련 재무정보공개 태스크포스) 기준 보고서 공시를 요구하면서 큰 주목을 받았다. 2020년 11월, IIRC(국제통합보고위원회)와의 합병을 선언하였고, 두 기관은 2021년 중반까지 Value Reporting Foundation 이라는 명칭으로 조직을 새롭게 개편하여 종합적인 기업 비재무정보 공시 표준을 제공할 예정이다.[7]

주요 프레임워크

  • 어카운터빌리티(AccountAbility) : 1995년 영국에서 설립된 비영리기관으로, 기업들이 발행한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의 제3자 검증(assurance)을 위한 글로벌 표준 개발을 하는 가장 대표적인 기관이다. 전 세계 10여 개국 전문가들이 참여해 기업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검증(assurance) 및 이해 관계자 참여를 위한 국제 표준인 AA1000시리즈를 개발했다 AA1000AP(모고서 검증 원칙), AA1000AS(보고서 검증절차 표준), AA1000SES(이해관계자 참여 표준)로 구성되어 있다. AA1000 시리즈는 국제회계사연맹(IFAC)의 ISAE3000과 함께 전 세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사후 검증에 가장 많이 활용돼 왔다. 2021년 1월 현재 AccountAbility는 검증 표준을 업데이트한 AA1000AS v3를 발표했다. 검증기관 자격 기준이 엄격해졌고, '포괄성(Inclusivity)', '중대성(Materiality)', '대응성(Responsiveness)'으로 대표되었던 AA1000AS 3대 원칙에 '임팩트(Impact)'가 추가되었다. 이에 따라 검증기관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해당 기업의 활동으로 인한 사회 및 환경 영향이 측정 및 모니터링되고 있는지에 관한 검증의견을 제시해야 한다.
  • 기후정보공개표준위원회(CDSB; Climate Disclosure Standards Board) : 2007년 1월 세계경제포럼(WEF)에서 기후변화 관련 정보공개에 대한 국제 표준화의 필요성에 따라 만들어진 컨소시엄 조직이다. CDP(Carbon Disclosure Project,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와 미국의 환경단체 세레스(CERES), 클라이밋그룹(Clinate Group), 국제배출권거래 협회, WBCSD, 세계경제포럼, 세계자원연구소(WRI) 등이 이사회를 구성했다. 2010년 CDSB 정보공개 프레임워크 초안을 발표했고 2018년까지 업데이트 했으며, 현재 32개국 374개 기업이 CDSB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고 있다. CDSB는 기업이 재무정보 공시 수준으로 환경 정보를 엄격하게 보고하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2020년 9월 CDSB와 GRI, SASB, IIRC, CDP 등 주요 5개 기관이 협력해 비재무정보 공시 글로벌 표준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데 이어, 12월에는 5개 기관 표준·프레임워크의 특정 구성요소와 TCFD권고사항을 함께 분석하여 통합된 글로벌 표준 논의를 위한 출발점을 제공했다.
  • CRD(Corporate Reporting Dialogue) : 2014년 IIRC(국제통합보고위원회)에서 조직한 글로벌 비재무정보 공시 표준 제정 기관들의 공식 협의체로, 현재 CDP, CDSB, FASB(미국 회계기준 위원회, 옵저버), GRI, IASB(국제회계기준위원회), IIRC, ISO, SASB 등 총 8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Better Alignment Project를 통해 각 기관별 공시 기준 및 지표 간의 차이를 통합하기 위한 노력을 진행해왔다. 2019년 9월, 보고서 <Driving Alignment in Climate-related Reporting>을 발간하여 CDP, CDSB, GRI, IIRC, SASB 등 5개 주요 기관의 지속가능성 보고 표준 및 프레임워크를 TCFD권고안과 비교, 분석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2020년 12월 5개 기관이 낸 프로토타입 보고서에는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공개 권고안인 TCFD 기준에 따라 거버넌스, 전략, 리스크 관리, 매트릭스(측정 지표) 및 목표를 프레임워크의 전체 틀로 가져왔다. CRD는 이러한 협업을 통해 비재무성과가 재무성과와 어떻게 연관되는지 검토하고, 궁극적으로 재무보고와 비재무보고의 통합을 지원하고자 한다.
  • 국제통합보고위원회(IIRC; International Integrated Reporting Council) : 기업 재무정보 뿐 아니라 ESG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보고서 작성을 위해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회계원칙'을 제정하고자, 지속가능성회계프로젝트(The Prince’s Accounting for Sustainability, A4S) 와 국제회계사연맹(IFA), GRI에 의해 2010년 설립된 조직이다. 전 세계 규제 당국, 투자자, 기업, 표준 제정기구, 회계 전문가 및 NGO 등이 참여했다. IIRC에서는 2013년 통합 보고(Integrated Reporting) 프레임워크를 제시했는데, 이는 재무보고서와 지속가능보고서를 하나로 합친 개념이다. 통합 보고서는 전통적인 재무자본과 제조사본 외에도 지식자본, 인적자본, 사회·관계자본, 자연자본 등 6가지 자본의 개념을 제시한다. 즉, 이는 실물자본뿐 아니라 무형자본까지 포함된 모든 유형의 자본에 대한 회계책임(Accountability)과 수탁책임(Stewardship)을 높이고, 단기·중기·장기적인 가치창출에 중점을 둔 보고 프레임워크이다. 현재 네슬레, 바스프, 다농 등 70개국 2,500개가 넘는 기업이 통합보고를 하고 있다.
  • SBTi(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 : 2015년 CDP, UNGC, WRI, WWF(세계자연기금) 등의 파트너쉽으로 설립되었다. 산업하 수준 대비 지구 온도 상승폭을 2℃ 이하로 억제하고, 1.5℃ 이하까지 줄이자는 파리기후변화협약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업들이 '과학에 기반해'온실가스(GHG) 배출 감축 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지침과 방법론을 제공한다. 현재 전 세계 1,155개 기업이 참여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DGB금용그룹, SKT, SK증권, 신한금융그룹이 약정서를 제출했다.
  •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 기후변화가 미치는 기업의 재무적 영향 공개를 위한 프레임워크이다. 기업의 재무적 영향 공개를 위한 프레임워크 및 권고안을 만들기 위해, G20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가 설립한 FSB(금융안정위원회)에서 2015년 발족한 태스크 포스다. 2021년 1월 기준 전 세계 77개국 1,700개 이상 기관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영국과 뉴질랜드는 TCFD 권고안 기준 공시 의무화 방침을 발표했으며, 스위스에서 상장기업과 금융기관의 TCFD 의무화가 추진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현재 까지 환경부와 한국거래소, 주요 금융지주, 포스코, SK이노베이션 등 민간기업 약 10여 곳이 지지를 선언했으며, 2020년 주요 기업에서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적용하면서 GRI, SASB와 같이 공시 표준으로 여겨지고 있다. 금융산업을 중심으로 TCFD 참여가 활발했으나, 최근 비금융산업의 가입도 증가하고 있다.
  •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United Nations Global Compact) : 코피 아난(Kofi Annan) 전 UN 사무총장의 주도로, 2000년 7월 출범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국제협약이다. 기업 활동에 있어 인권(Human Right), 노동 기준(Labor Standard), 환경(Environment) 및 반부패(Anti-Corruption)에 관한 10대 원칙을 제시하였다. 회원사들이 이 원칙들을 기업 운영 및 경영전략에 내재화하여 지속가능성과 기업시민의식 향상에 동참하도록 권장한다. 최근에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등 포괄적인 유엔의 목표 달성도 지원하고 있다. 현재 전 세계 157개국 14,000여 개 회원사(11,000여 개 기업회원 포함)가 참여하고 있으며, 한국의 경우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에서 국내 기업의 가입과 참여를 담당하고 있다.[7]

투자자 이니셔티브

  • 클리메이트액션 100+(Climate Action 100+) : 파리기후변화협약 달성을 위해 2017년 결성된 글로벌 투자자들의 이니셔티브다. 블랙록(BlackRock), 캘리포니아공무원연금(CalPers) 등 545개 이상의 투자자들이 협력하기로 서명했으며, 이들이 운영하는 자산규모는 52조 달러에 이른다. CA100+의 투자자들은 기업들이 기후변화에 대한 거버넌스를 개선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억제하며, 기후 관련 금융공시를 강화할 것을 요구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2021년 1월 현재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많은 전 세계167개 기업에 서한을 보내 2050년까지 넷제로(Net Zero, 온실가스 순배출량0)에 도달하는 방안과 계획 수립을 요구하고 있다. 엑슨 모빌, BP, 아람코, 로열더치쉘 등 글로벌 석유기업을 비롯해 코카콜라, 포드, 제너럴 모터스(GM), 월마트 등이 포함되어 있다. 국내 기업 중에는 한전, 포스코, SK이노베이션이 있다. 이들 167개 기업이 배출하는 온실가스는 전 세계 산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의 80%에 해당한다.
  • 글로벌지속가능투자연합(GSIA; Global Sustainable Investment Alliance) : 2014년 유럽, 호주, 캐나다, 영국, 미국, 일본, 네덜란드의 지속가능투자연합 기관들이 함께 설립한 조직이다. 멤버십을 바탕으로 상호 간 네트워크와 협력 강화, 공동의 이니셔티브 수행을 위한 협의체로써 기능했다. 2012년부터 2년마다 글로벌 지속가능투자 규모를 발표하는 GSIR(Global Sustainable Investment Review)를 발간하고 있다. 전 세계 지속가능투자규모는 2012년 13.2조 달러에서 2018년 30.7조 달러로 급증했고, 2020년상반기 40.5조 달러에 이를 정도로 급증하고 있다.
  • 국제기업지배구조네트워크(ICGN; International Corporate Governance Network) : 기업지배구조 개선에 관한 정보 교류 및 연구를 위해 1995년 설립된 국제 비영리기구로, 기관투자자를 중심으로 학계, 기업, 정부기관 등 폭넓은 네트워크를 지닌 기업지배구조 관련 세계 최대 규모의 기관이다. ICGN은 기업지배구조 관련 정보와 이슈를 교류하기 위한 글로벌 플랫폼 역할을 하며, 기업지배구조 원칙과 관행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또한 기업지배구조 모범규준 및 가이드라인 제정을 촉구하고 연구 활동을 지원한다. 2016년 도입한 국내 스튜어드십 코드도 ICGN의 자료를 기준으로 삼았다. 국민연금과 한국투자공사(KIC)를 비롯해 세계 각국의 연기금과 블랙록, 피델리티등 글로벌 금융사들도 회원사로 참여하고 있다. 회원사인 45개국 기관투자자가 운용하는 자산규모는 2021년 현재 54조 달러에 이른다.
  • 국제금융공사(IFC; 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 : 개발도상국 및 저개발국 민간기업에 투자하는 유엔 산하금융기관으로 1956년 설립되었다. 2005년 'Who Cares Wins' 컨퍼런스 보고서 <Investing for Long-Term Value>에서 ESG라는 용어를 처음 만들어 사용하였다. 같은 해 UNEP FI(유엔환경계획 금융 이니셔티브), 2006년 UN PRI(유엔책임투자원칙)를 통해 자본시장에 ESG 요소를 통합하려는 시도가 가속화되었다. 세계 최대 개발금융기관인 IFC는 2003년 적도원칙(Equator Principles) 이외에도 ESG 성과 및 리스크를 평가하고 관리할 수 있는 여러 표준 및 원칙을 개발하였다.
  • 포트폴리오 탈탄소화 연합(PDC; Portfolio Decarbonization Coalition) : 유엔환경계획 금융이니셔티브(UNEP FI), 프랑스 자산운용사 아문디(Amundi), CDP(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 스웨덴 국가연금기금인 AP4가 2014년 함께 설립한 민관협력체제로, 글로벌 금융기관들의 탈탄소화 투자를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PDC는 기관투자자들로 하여금 투자 포트폴리오를 탈탄소화함으로써, 탄소 집약적인 기업으로부터 자본을 회수하여 같은 부문의 탄소 효율이 높은 기업에 재투자하도록 추진하고 있다.
  • 유엔환경계획 금융 이니셔티브(UNEP FI;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 Finance Initiative) :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금융부문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1991년 유엔환경계획(UNEP)과 세계 주요 금융기관들이 공동으로 결성한 국제 파트너십이다. 2021년 1월 기준, 전 세계 378개의 금융기관(은행, 보험사, 투자사)이 참여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로 성장했다. UNEP FI는 금융기관의 재무적 요소뿐 아니라 ESG를 비롯한 비재무적 요소를 고려한 경영과 투자, 리스크 관리 및 정보공개를 추구한다.
  • 유엔책임투자원칙(UN PRI; United Nations Principles of Responsible Investment) : 전 세계 기관투자자들의 책임투자 흐름을 이끌고 있는 가장 큰 이니셔티브이다. 2006년 유엔 사무총장이던 코피 아난(Kofi Annan)이 주도해 이 원칙을 만들었다. UN PRI에 가입 서명한 기관은 2021년 1월 현재 3,615곳에 달한다. 지난 15년간 서명기관의 투자자산 비중이 16배나 늘었다. 한국에서는 국민연금을 포함해 11개 회사가 가입되어 있다. UN PRI가 제시한 책임투자 원칙은 총 6개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투자분석과 의사결정 과정에 ESG 이슈를 통합하고, 투자대상에게 ESG 이슈에 대한 정보공개를 요구하며, 투자산업의 책임투자 원칙 수용과 이행을 촉진하는 것 등이다. PRI에 서명하면, 매년 책임투자 원칙 이행 현황을 보고해야 하며, PRI는 A+부터 E까지 6단계로 점수를 매긴다. 만약 해당 보고가 불성실하거나 충분하지 못한 경우 2년간 재평가 기회를 준다. 그럼에도 보고 내용이 부족할 경우 서명기관에서 배제된다. PRI의 새로운 기준에 따르면, 서명기관들은 모든 관리자산의 최소 절반 이상에 대해 책임투자 정책을 시행해야 하며, 이를 이행할 담당직원 및 임원레벨의 감독책임자가 있어야 한다.[7]

자본시장 데이터 제공 기관

  • 블룸버그(Bloomberg) : 10년 이상 전 세계 기업의 ESG 공시 데이터를 제공해왔으며, 2020년 8월부터는 ESG Score 서비스를 시작했다. 2008년 9월 CDP와의 제휴를 통해 블룸버그 터미널(단말기)에서 기업의 탄소발자국, 에너지 사용량 등을 조회하도록 했으며, 2009년 7월 ESG 데이터 서비스를 런칭했다. 블룸버그의 ESG 데이터는 102개국 11,700개 이상의 기업에서 공개한 정보를 수집해 검증한 후 블룸버그 터미널에 공개되는데, 단말기 이용자만 평가 결과와 내용에 접근이 가능하다. ESG Score에는 ESG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사회 구성, 환경 및 사회 성과, 성평등(gender equality), 공시 투명성 등에 관한 평가점수가 포함된다. 또한, 자체 평가점수 외에 MSCI, 서스테이널리틱스(Sustainalytics) 등 주요 ESG 평가 기관 자료도 함께 제공, 투자자의 의사결정을 돕는다.
  •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 Carbon Disclosure Project) : 2000년 영국에서 설립된 국제 비영리기구로, 전 세계 9,600여 개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등 환경 경영 관련 정보공개를 요구하고 공시정보를 분석해 투자자 및 금융기관에 제공한다. 매년 발표되는 CDP 평가결과는 전 세계 금융기관의 ESG 투자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기후변화, 수자원, 산림자원의 3대 영역에 대한 데이터 공개 여부, 리스크 인식 및 관리 이해도, 목표 설정 등에 대해 피평가기업이 응답한 내용을 기반으로 평가한다. 평가 결과는 A~D등급으로, 데이터가 미공개이거나 부족해 평가가 불가능한 기업은 F등급을 부여한다. 또한 CDP는 2020년 약 4,000여 개 글로벌 공급망의 탄소배출량을 추적할 수 있는 온도평가(temperature rating)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는 기업 활동으로 인한 기후변화 위험을 투자자들이 더 잘 예측 및 관리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목적이다.
  • FTSE 러셀(FTSE Russell) : 2001년 ESG 평가를 바탕으로 한 지수인 'FTSE4Good'을 시작하였다. DJSI의 S&P500 ESG 지수, MSCI의 ESG Leaders 지수와 함께 3대 ESG 지수로 꼽히며, 유럽 시장을 대표하는 지수로 분류된다. 사회책임투자(SRI) 지수의 하나로서 담배, 무기, 석탄 등 일부 산업은 피평가기업에서 제외된다. 공개된 정보를 기반으로 평가하여 분기별로 지수에 편입된 기업을 발표하며, 현재 14개 주제별로 300개 이상의 지표가 포함되어 있다. 2020년 9월 현재 국내 기업은 약 30개사가 편입되어 있다.
  • 모건스탠리 캐피탈인터내셔널(MSCI; 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 1999년부터 ESG 평가를 제공해왔으며, 초기 ESG 분야를 개척한 RiskMetrics, Innovest, KLD 등을 인수·합병해서 2011년부터 ESG 리서치를 독자적으로 제공한다. 2019년에는 기후변화 대응 관련 애널리틱스 기업 Carbon Delta도 인수하였다. MSCI ESG 평가는 공개된 기업 정보, 정부 DB, 매크로데이터 등을 활용해 실시되며, 피평가기업은 정보 검증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 ESG 영역별 10개주제, 35개 핵심이슈를 평가하여 AAA~CCC의 7개 등급으로 평가결과를 부여한다. 거버넌스 평가에 가중치가 부여되며, 전체 평가등급 외에 ESG 영역별 등급도 별도로 부여한다. 매주 새로운 정보가 반영돼 업데이트되며, 심층 기업분석 리뷰는 연간 1회 정도 제공된다.
  • 랩리스크(RepRisk) : 1998년 설립된 ESG 데이터 평가기관이다. 인공지능머신러닝을 사용하여 전 세계 15만 개 이상의 기업 ESG 리스크를 분석한다. RepRisk에서 2007년부터 운영하는 ESG Risk Platform은 ESG 리스크에 대한 세계 최대 실사 데이터베이스로, ESG와 연관된 기업 경영, 투자, 사업 관계 등의 데이터가 포함된다. RepRisk가 제공하는 데이터의 목적은 중대한 ESG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식별하고 평가하는 데에 있다.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전 세계 20개 이상의 언어로 된 9만여 개의 정보를 검토해 매일 업데이트한다. 또한 GRI, SASB, UNGC 등 글로벌 ESG 표준에 의거해 28개의 ESG 이슈, 58개의 하위주제를 설정하여 ESG 리스크를 측정한다. 특히 공개된 정보뿐 아니라 온라인 정보 출처(미디어, 싱크탱크, 뉴스레터, 소셜미디어 등)를 통해 비정형 ESG 리스크를 식별한다. 기업의 자체 보고나 공개정보를 의도적으로 제외해, 제3자 데이터를 통해 이슈를 분석하는 게 특징이다.
  • 에스앤피글로벌(S&P Global) : 미국의 금융정보업체 스탠다드앤드푸어스 다우존스(S&P Dow Jones)와 스위스 지속가능경영 평가사인 로베코샘(RobecoSAM)은 1999년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 Dow Jones Sustainability Indices)를 개발해 매년 평가 결과를 발표한다. 전 세계 상위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경제적 성과, 환경 및 사회 성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기업 경영의 지속가능성을 분석한다. 피평가기업이 설문지에 답변한 내용을 기반으로 평가를 실시하며, 공통 평가 항목과 산업별 항목으로 구분된다. 대개 80~120개 문항으로 이뤄져 있으며, 산업별 특성을 반영한 기준을 적용해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이 특징이다.
  • 서스테이널리틱스(Sustainalytics) : 1992년 설립되어 기업의 ESG 리스크평가 및 리서치 등의 높은 전문성을 보여온 평가기관이다. 글로벌 펀드 평가회사 모닝스타(Morningstar)가 2020년 Sustainalytics를 인수했다. 이후 모닝스타는 Sustainalytics의 ESG 평가방법론을 활용하여 모든 펀드, 주식, 자산 분석에 ESG 요소를 통합하고 있다. Sustainalytics의 ESG 리스크 평가는 공개된 정보 기반으로 ESG 리스크가 기업의 재무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다. 피평가기업의 요청 시 보고서 발간 전 검토와 정보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평가 결과는 0~50 사이 점수 및 리스크 등급으로 표시된다. 점수가 높을수록 기업의 ESG 리스크가 크다. 전 세계 4만개 기업의 데이터와 2만 개 기업의 ESG 평가등급을 제공하고 있으며, 2020년부터 자사웹사이트에 4,000개 이상 기업의 ESG 등급을 공개하고 있다. 또한, Sustainalytics는 ‘지속가능채권 가이드라인’ 검증기관이다. 국내 기업 및 금융기관들도 ESG 채권을 발행하면서 Sustainalytics로부터 ESG 평가 및 인증을 받았다.
  • 비제오아이리스(Vigeo Eiris) : 2002년 설립된 ESG 평가, 데이터, 분석도구 및 지속가능금융 분야전문 기업이다. 기업의 전략, 운영, 관리 측면에 ESG 요소를 통합하는 과정을 평가하기 때문에, Vigeo Eiris의 평가등급은 피평가기업이 주요 지속가능성 이슈를 회사의 활동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역량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2019년 4월 신용평가기관 무디스(Moody’s)가 인수했다. Vigeo Eiris는 기업들이 ESG 기준을 사업부서 및 전략적 운영(지속가능채권, ESG 등급, CSR 평가 등)에 통합하는 것을 지원하고, 투자자들에게는 지속가능투자 전략, 리스크 평가 및 관리 전략, 포트폴리오 분석, ESG 지표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7]

기타 이니셔티브 및 기관

  • 캐피탈연합(Capitals Coalition) : 자연자본(natural capital), 사회자본(social capital), 인전자본(human capital)에 해당하는 370개 이상의 이해관계자들의 글로벌 연합체로, 이전 조직인 Natural Capital Coalition(NCC)과 Social and Human Capital Coalition(SHCC)이 통합되어 2020년 1월 출번했다. 자연자본, 사회자본, 인적자본, 생산자본 등 '자본(capitals)'개념을 통해 자연, 사람, 경제 간의 관계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가치(value)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여 모든 조직이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손실, 불평등 심화 등 3대 도전과제에 제대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21년 GRI, WBCSD, 세계은행 등에 의해 설립된 NCC는 2016년 Natural Capital Protocol을 통해 주로 민간부문이 자연자본을 측정하고 계량화하여 자연 생태계와 경제적(재무적) 의사결정을 통합할 수 있도록 지원해왔다.
  • 글래스루이스(Glass Lewis) : 2003년 설립된 세계 2위의 의결권 자문기관으로, 1,300명이상의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기업의 거버넌스 관련 동향과 의결권 행사에 관한 가이드라인 및 자문을 제공하고 케이스별로 주주권 행사 과정 전반을 지원하고 있다. 매년 30,000건 이상의 주주총회 의안 분석 등의 리서치 보고서를 발간한다. 또한 ESG 리스크 평가기관인 Sustainalytics와 협력하여 Sustainalytics의 서비스 중 4,500개 이상의 기업에 대한 ESG 연구 및 평가 내용을 Glass Lewis의 거버넌스 리서치 및 의결권 자문 플랫폼에 통합하여 제공하고 있다. Glass Lewis는 SASB Alliance Organization의 회원사로서 서비스 플랫폼에 SASB의 업계별 표준을 표시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외에도 ICGN(국제기업지배구조네트워크) 회원사이자 유엔책임투자원칙(UN PRI) 서명기관이다. 외국 의결권 자문기관으로는 처음으로 2018년 한국 스튜어드십 코드에 참여했다. 매년 750~800개 주주총회 안건을 분석해 기관투자자에게 의안 분석 보고서를 제공한다.
  • IMP(Impact Management Project) : 2016년 조직된 글로벌 비영리기구로, 지속가능성에 대한 임팩트를 측정, 관리 및 보고하는 방식에 있어 합의된 글로벌 지침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시작되었다. 세계 최초의 사회성과연계채권(SIB) 운용사인 영국 브릿지스 펀드 매니지먼트(Bridges Fund Management)가 주도해 만든 글로벌 협의체다. 투자자, 기업, 비영리단체, 표준 및 회계기준 제정기관 등의 관점을 종합해 임팩트의 구성요소를 정의하여 ESG 관련 기업의 보고, 임팩트 투자, 자선 사업 등 관련 활동 전반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ISS(Institutional Shareholder Service) : 1985년 설립된 세계최대의 의결권 자문기관이다. 2,000명 이상의 기관 투자자에게 기업의 거버넌스 및 책임투자에 관한 자문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매년 42,000건 이상의 주주총회 안건을 분석해 의결권 행사에 관한 방향을 제시하며, ESG 동향 연구 및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전 세계 자본 시장별 의결권 행사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글로벌 기관투자자의 60% 이상이 의결권 행사 시 ISS 자문을 참고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대형 기관투자자들은 주주총회 의안 찬반 여부에서 ISS 및 Glass Lewis 권고와 90%에 달하는 일치율을 보이는 등 영향력이 점점 커지고 있다.
  • 유엔사회개발연구소(UNRISD; UN Research Institute for Social Development) : UN이 추구하는 사회개발 관련 주제에 대해 다양한 학제간 연구 및 정책분석을 수행하는 연구기관으로, 1963년 설립되었다. 현재 사회정책과 개발(Social Policy and Development), 젠더와 개발(Genderand Development), 지속가능발전의 사회적 측면(Social Dimensions of Sustainable Development)에 관한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지속가능발전의 사회적 측면에 관한 연구로, 2018년 SDPI(Sustainable Development Performance Indictors)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SDPI는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성과를 개발 기업 차원을 넘어서서 글로벌 지속가능발전 관점에서 측정하기 위한 지표체계로, 3단계 약 80개 지표로 구성되며 각 단계는 경제·환경·사회·거버넌스 분야로 구분된다.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활동이 단기 개선에 그치지 않고 환경과 사회의 구조적 전환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맥략화하는 작업이다.
  • WBA(World Benchmarking Alliance) : 유엔지속가능발전목표(UN SDGs) 달성을 목표로, 특히 SDGs 목표 17(글로벌 파트너십)을 핵심으로 한 광범위한 이해관계자 그룹 연합이다. 유럽을 중심으로 기업, 투자자 등 전 세계 약 189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WBA는 SDGs 달성을 위해 변화가 필수적이라고 생각되는 7가지 영역(식량 및 농업, 순환경제, 디지털 기술, 사회, 탈탄소화 및 에너지, 도시, 금융시스템)을 규정한다. 또한 각 영역별로 기업의 SDGs에 대한 기여를 측정하고 비교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벤치마크를 개발하고 분석 결과를 발표한다. 대표적인 예로, Corporate Climate Action Benchmark는 석유와 가스, 전기, 자동차 등 3개 주요 탄소 배출 산업 내 기업의 기후행동 성과를 평가한다. Gender Benchmark는 기업들이 양성평등과 여성의 권한을 어떻게 촉진하는지 평가하고, 특히 SDGs 목표5 달성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촉진한다. 또한 WBA에서는 SDG2000(SDGs 달성에 가장 영향력 있는 기업 2,000개사 리스트)을 발표했는데, 2021년 1월 한국 기업 47곳이 포함되어 있다.
  • 세계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WBCSD; World Business Counci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지속가능발전에 관한 글로벌 기업들이 대표적인 이니셔티브로, 1995년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에서 설립되었다. 200개 이상의 주요 기업이 회원사로 참여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GS칼텍스, 한국타이어가 가입했고, 한국지부인 KBCSD에는 다수의 기업이 회워사로 활동 중이다. WBCSD는 기후와 에너지, 순환경제, 소셜 임팩트 등 여러 지속가능성 난제에 대한 효과적인 비즈니스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회원사 및 가치사슬 상의 기업들과 협력해왔으며, 70개에 달하는 국가 비즈니스 위원회로 구성된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전 세계에 영향력을 행사한다. 또한 회원사들 간의 지식 공유와 지속가능성 표준 이행을 촉진하고, 관련 정책에 대한 지지를 함께 표명하며, 유엔지속가능발전목표(UN SDGs), 파리기후변화협약 등 공동의 비전에 맞춰 경제 시스템의 전환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2020년 9월,WBCSD는 비재무정보 공시 표준 관련 시장의 컨센서스를 마련하기 위해 UN PRI(유엔책임투자원칙)와 ESG 데이터에 관한 협력을 진행한다고 발표했다.[7]

앞으로의 대응

기업이 추구해야 할 가치에는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가 있다. 지금까지 우리는 기업의 목적 달성 여부를 판단할 때 사회적 가치는 고려하지 않고 경제적 가치의 높고 낮음만 고려해왔다. 하지만 ESG의 영향력이 커지고, 또 자본주의의 철학도 주주자본주의에서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로 변모해가고 있어, 이제는 경영전략 결정 시 그 동안 간과해왔던 사회적가치를 반영해야한다. 즉, 경제적 가치도 높게 거두면서 ESG 임팩트도 함께 만들어가는 '존경할 만하고 현명한 기업(Admirable, Smart Company)'이 되어야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달성할 것인지는 각 산업이 처해 있는 상황과 산업별 ESG특성에 맞게 자신만의 경영전략을 통해 만들어 나가야 한다. ESG로의 방향성은 분명하지만, 구체적인 전략은 구성원의 창발적 아이디어에 근거해 창의적이고 혁신적으로 개발해나가야 한다. 확실한 것은 BASF, SK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 ESG를 경영 현장에 제대로 접목하기 위해서는 ESG를 측정하는 노력이 전제되어야 한다. 정성적 혹은 정량적 측정과 무관하게, 유형적인 측정치가 존재해야 모든 구성원들이 이를 체감할 수 있고, 또 그래야만 ESG의 진척 상황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8]

각주

  1. 1.0 1.1 환경, 사회, 기업 지배구조〉, 《위키백과》
  2. 2.0 2.1 2.2 GS칼텍스〈우리는 왜 ESG에 주목해야 할까?〉, 《I am your Energy》 , 2020-02-20
  3. 3.0 3.1 3.2 3.3 3.4 3.5 ,이효정외 5명 〈ESG의 부상, 기업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삼정KPMG 경제연구원》, 2021-02-23
  4. 4.0 4.1 4.2 4.3 4.4 ESG뜻, ESG 경영에 대해서 알아보자.기업별EGS점수〉, 《공학도의 다양한 취미, 정보를 갖은 블로그》 , 2021-06-17
  5. 5.0 5.1 5.2 5.3 김영란〈ESG혁신 나선 기업들, 선택 아닌 필수!〉, 《CEONEWS》 , 2021-04-02
  6. 김국현〈세계는 지금 ESG 혁신 중, 다양한 사례를 통해 알아본 ESG 경영〉, 《SKhynix NEWSROOM》 , 2021-02-09
  7. 7.0 7.1 7.2 7.3 7.4 ,나석권〈ESG Handbook Basic〉, 《사회적가치연구원》, 2021-02-25
  8. ,나석권〈ESG 경영의 과거, 현재, 미래〉, 《사회적가치연구원》, 2021-05-13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ESG 문서는 사회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