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새만금은 전라북도의 만경강과 동진강의 하구를 방조제로 막은 뒤 내부를 매립하는 간척 사업이다. 총 면적은 409km², 이 중 간척 토지는 291km², 담수호 면적은 118km²이다.
새만금 방조제는 총 길이가 33.9km로 세계에서 가장 긴 방조제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 '새만금(새萬金)'은 김제·만경평야를 '금만평야'로 일컬어 왔던 말을 '만금'으로 바꾸고 새롭다는 뜻의 '새'를 덧붙여 만들었다. 정부는 2010년 1월 29일에 새만금 신도시 이름을 아리울로 선정했으며, 새만금이라는 이름도 계속 사용한다고 밝혔다.
새만금 방조제는 1991년 11월에 착공하여 약 18년 5개월 만에 건설하였다. 만경강과 동진강의 유로를 연장하고 그 이외의 지역은 주변 수역의 준설토로 매립한다. 2006년 물막이 공사가, 2010년 방조제 도로 공사가 끝났고 매립작업과 부지조성은 2020년 끝났다. 2016년부터는 일부 공사가 먼저 끝난 지역에서 농사도 지을 수 있게 된다.
개요
새만금 개발사업은 전라북도 군산시, 김제시, 부안군 앞바다를 연결하는 방조제 33.9 km를 쌓아 그 안에 간척토지 291 km², 호수(새만금호) 118 km²를 만드는 계획이다.
이 사업은 전북 옥구군(현 군산시) 옥서면을 중심으로 금강, 만경강, 동진강 하구를 둘러싼 갯벌을 간척하려던 옥서지구 농업개발계획에서 출발하였다. 1971년 계획된 옥서지구 농업개발계획은 1단계로 금강하구둑을 건설하여 금강 주변 농지의 배수시설을 개선하고, 2단계로 김제지구에 9.6 km의 방조제(군산시 옥서면 선연리 ~ 부안군 계화면 계화리)를 쌓아 120 km²의 갯벌을 간척하고 만경강 주변 농경지의 관개배수시설을 개선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었다. 새만금 개발 사업은 옥서지구 농업개발계획 2단계사업을 약 3.5배 확대한 사업으로, 1987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노태우가 같은 해 12월 10일 전주 유세에서 이를 대선공약으로 발표했다.
이 사업은 시작부터 정치적 목적으로 저개발 상태인 전북 지역에 대한 개발 공약으로 제시되었기 때문에, 농지 공급 부족 대책으로 사업시행을 허가한다는 애초의 국가적 명분과는 달리 시간이 갈수록 공업, 레저 등 다른 산업용지의 비중이 대폭 늘어나고 있다.
새만금 간척 이전에는 김제시에 거전항·심포항, 부안군에 계화항·해창항·문포항·돈지항·하리항, 군산시에 어은항·오봉항·하제항·비응도항이 존재하였으나 폐쇄되었다. 대신 새만금 외측에 비응항과 가력도항이 건설되었고 새만금항은 공사 중이다.
- 사업 개요
- 사업명 : 새만금종합개발사업
- 사업목적 : 동북아의 경제중심지로 개발
- 위 치 : 전라북도 군산시, 김제시, 부안군 일원
- 사업면적 : 40,900 ha(토지 29,100 ha/담수호 11,800 ha)
- 주요공사 : 방조제 33 km, 배수갑문 2개소, 방수제 125 km
- 사업기간 : 방조제(1991~2010년)/내부개발(2010~2020년)
- 사업비 : 22.79조원(국비12.14, 지방비 0.95, 민자9.7)
- 예상인구 : 개발 완료시 총 유발인구 70.6만명, 새만금 사업지역 내 26.9만명 수용 계획
- 사업 추진 현황
- 1975년 ~ 1987년 : 서남해안 간척자원 조사, 외곽시설 실시설계
- 1989년 11월 ~ 1991년 06월 : 사업시행 인가 고시(고시 제91-36호)
- 1991년 11월 16일 : 새만금 간척공사 기공
- 1991년 11월 28일 : 제1호, 제3호 사석제 끝막이 완공
- 1998년 12월 30일 : 제1호 방조제 공사 준공
- 1999년 05월 ~ 2000년 06월 : 정부의 친환경적 순차개발 계획 확정
- 2001년 55월 25일 : 정부방침에 대한 세부실천계획 확정
- 2001년 08월 06일 : 신시배수갑문 기전공사 착공
- 2002년 03월 13일 : 가력배수갑문 기전공사 준공
- 2003년 12월 30일 : 방조제 33 km 최종연결공사 성공
- 2006년 04년 21일 : 끝막이 이후 방조제 단면 보강공사
- 2006년 04월 : 방조제 물막이 완료 후 사면녹화 및 도로포장 진행 중. 방조제 담수호측을 성토하여 친환경 다기능부지(509 ha) 조성
- 2006년 05월 : 주요공정 - 방조제 도로높임 및 성토공사
- 2007년 : 가력, 신시 저층수배제시설 설치
- 2008년 02월 : 내부간척지 지형도제작 시행
- 2008년 05월 : 내부개발지 문화재지표조사 시행
- 2008년 12월 : 내부개발 기본계획 수립
- 2009년 10월 : 내부토지개발 착공을 위한 기본설계 중
- 2010년 04월 27일 : 준공(완공)
- 2011년 03월 16일 : 새만금 종합개발계획(Master Plan) 확정
- 2011년 07월 22일 : 제1호 방조제 도로높임 공사완료 후 새만금 방조제 도로개통
- 2011년 12월 30일 : 새만금 신항만 방파제 1, 2 공구 축조공사 착공
- 2012년 06월 14일 : 새만금 신항만 기공식
- 2013년 09월 12일 : 새만금개발청 개청
- 2013년 10월 21일 : OCISE 열병합 발전소 기공식
- 2014년 09월 25일 : 제14차 새만금위원회 개최(새만금 기본계획 변경방안 및 한・중 경협단지조성 추진현황 등 논의)
- 2015년 03월 19일 : 새만금 규제특례지역 조성방안 발표(제1차 무역투자진흥회의
- 2015년 06월 19일 : 동서도로 공사 착공
- 2015년 07월 28일 : 동서 통합도로 건설공사 기공식
- 2015년 10월 26일 : 새만금 1,2호 방조제 행정구역 결정(행정자치부 중앙분쟁조정위원회) - 1호 방조제(4.7㎞) 부안군, 2호 방조제(9.9㎞) 김제시
- 2016년 07월 07일 : 광동성 혜주시와 상호협력 MOU 체결
- 2016년 10월 22일 : 제18차 새만금위원회 개최(새만금 공유수면 점・사용허가 제도개선 등 논의)
- 2016년 11월 17일 : 새만금사업법 개정안 국회통과(국내기업 최장 100년 국공유지 임대허용)
- 2016년 12월 02일 : 새만금사업추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일부개정 공포(법률 제14341호, ’17.6.3 시행)
- 2017년 05월 31일 : 문재인 대통령은 신시도에서 개최된 제22회 바다의날 행사에 참석하여 '새만금 매립지중 필요한 부분은 공공매립으로 전환하고 신항만, 국제공항, 도로, 철도 등 기본 인프라 구축을 앞당길 것'임을 밝힘
- 2017년 07월 26일 : 새만금 남북도로 건설공사 착공
- 2017년 12월 28일 : 고군산군도 연결도로 전면 개통
- 2018년 04월 06일 : 새만금·군산경제자유구역 지정 해제(28.4㎢)
- 2018년 09월 27일 : 새만금 남북도로 2단계 착공
- 2019년 01월 29일 : 새만금 국제공항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예타 면제)
- 2019년 10월 15일 : 새만금박물관 건립 개발실시계획 수립 및 고시
- 2021년 02월 24일 : 새만금 기본계획 재정비(제24차 새만금위원회 의결)
- 2021년 04월 07일 : 「새만금 그린+디지털 뉴딜 종합 추진방안」 발표
- 2022년 02월 09일 : 새만금 재생에너지사업 제3기 민관정책협의회 발족
- 2022년 02월 22일 : 대한교통학회와 업무협약 체결(새만금 지역 교통 환경 개선 목적)
- 본격적인 개발 착수
계획을 세우던 당시에는 농지가 상당부분을 차지했었으나 20여 년이 흘러 시대가 변하고 갈수록 쌀 소비가 줄어들면서 계획이 계속 수정되며 새만금이 한동안 갈피를 잡지 못하고 사업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지 못하다가 2015년부터 사업 진행에 가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특히, 새만금특별법 개정안의 통과로 인해 기업의 자유로운 투자가 쉬워지고 국가적인 새만금 개발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새만금신항과 새만금포항고속도로의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정치권에서 새만금국제공항도 진지하게 논의되고 있다. 또한 중국과 한중경협단지를 조성하자는 말도 나오고 있다.
현재 네덜란드의 델프트 공과대학교와 함께 항공우주공학 분야 비파괴 연구소 설립을 위한 MOU를 체결한 상태이다. 전라북도청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새만금을 항공우주산업 클러스터로 육성하고자 하는 계획을 수립한 상태이다.
2022년에는 하이퍼튜브 시험시설 유치에 성공했다. 부지가 100% 국유농경지여서 토지 수용에 문제가 없고, 사는 사람이 적어 민원 가능성도 희박하다는 장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