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슴
사슴(영어: Deer, 학명: Cervidae)은 우제목 사슴과에 속하는 중대형의 초식동물이다. 일반적으로 숲에 살며 겁이 많은 동물로 묘사된다. 다리가 길며 체형이 가느다랗고 마른 느낌이 있으며 눈망울이 매우 맑은 것이 특징이다. 한반도에는 백두산사슴 (와파티사슴의 만주아종), 대륙사슴 (꽃사슴, 일본사슴), 노루, 고라니 등 4종이 서식한다.[1]
개요
사슴은 소목(偶蹄目) 사슴과에 속하는 동물의 총칭이다. 꽃사슴, 고라니, 노루, 순록, 아기사슴, 붉은사슴, 와피티사슴 등 다양한 종이 있다. 몸길이 30∼310㎝, 어깨높이 20∼235㎝로, 소형종에서 대형종에 이르기까지 크기가 다양하다. 암컷은 수컷보다 몸집이 약간 작고, 뿔이 없다. 뿔은 중실(中實)로서 골질의 가지뿔과 가지의 수는 나이나 장소에 따라 다르다. 즉, 충분히 성장한 개체에서는 보통 가지의 끝이 4개 있는 3차(叉) 4첨(尖)으로 가지를 친다. 위턱에 앞니가 없고 사향노루, 고라니, 키용 등에서는 위턱 송곳니가 엄니로 발달한다. 아래턱 송곳니는 앞니 모양을 하고 있다. 뿔의 크기와 송곳니의 발달과는 서로 연관이 있어 보인다. 장대한 엄니를 가진 사향노루, 고라니 등은 뿔이 없고, 키용류는 뿔이 작다. 뿔은 매년 4∼5월에 밑부분의 뿔자리( 부분에서 떨어져 나간다. 그후 곧 뿔자리에서 새로운 대각(袋角)이 자라기 시작한다. 대각은 벨벳 모양의 부드러운 털이 나 있는 피부로 덮여 있는데, 그 속에는 혈관과 신경이 가득 차 있어 감각이 매우 예민하며, 안에는 석회질도 달라붙어 있다. 내부의 화골(化骨)이 완성되면 겉면의 피부가 탄력을 잃고 말라 떨어져 나각(裸角)이 된다. 비경(鼻鏡)은 크고, 몸의 털은 짧다. 첫째발가락은 없고 셋째발가락과 넷째발가락의 발가락뼈가 서로 붙었으며, 둘째발가락과 다섯째발가락은 퇴화하여 땅에 닿지 않고, 발굽은 작다. 대부분이 눈의 아래쪽에 눈밑샘이 있고, 발가락(발굽) 사이에 제간샘(蹄間腺), 얼굴과 다리에 냄새샘이 있다. 이들 샘에서 나오는 분비물을 풀에 문질러서 그 냄새로 동종을 인식한다. 번식기에는 수컷의 목에 긴 갈기가 생긴다.[2]
외모
몸의 크기는 몸길이 약 30cm, 어깨높이 약 20cm의 소형종에서부터, 몸길이 3.1m, 어깨높이 2.35m의 대형종까지 여러 가지이다(붉은사슴 몸 250cm, 어깨 150cm, 무게 250kg). 다리는 길고 가늘며, 걸음이 빠르고 보폭도 넓어 잘 달린다. 발은 두 개의 가운데 발가락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덮개로 덮여 있다. 또 퇴화한 또 다른 발가락이 두 개 있는데 발굽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달릴 때는 전혀 쓰이지 않는다. 사슴은 소보다 머리가 좁고, 코와 입이 다소 작다. 입술은 쉽게 움직일 수 있어 입술로 먹이를 문다. 사슴은 대부분 앞니가 아래에만 있고, 위에는 거친 피부로 된 두꺼운 판이 있어 앞니를 대신한다. 잎이나 가지를 뜯을 때 아랫니가 이 두꺼운 판을 누르게 된다. 위아래의 어금니는 끝이 날카롭게 많이 갈라져서 먹이를 씹기에 좋다.
시각은 좀 떨어지지만 청각과 후각이 예민하여 위험을 잘 포착한다. 귀는 크고 곧게 서 있어 어떤 방향에서 오는 소리도 들을 수 있고, 소리 나는 방향을 알아낼 수 있다. 사슴은 먹이를 먹을 때나 쉴 때 항상 바람이 부는 쪽을 향하는데, 이는 바람에 실려 오는 포식자의 소리를 듣고 냄새를 맡기 위해서이다. 가지가 많은 수컷의 뿔은 사슴류의 큰 특징의 하나이며, 소의 뿔과는 크게 다르다. 사슴의 뿔은 매년 4~5월 무렵 기부의 뿔자리로부터 떨어져 나가고, 그 자리에서 새로운 대각이 돋아난다. 대각은 벨벳모양의 짧은 털로 덮인 피부에 싸여 있으며, 속에는 수많은 혈관이 분포해 있다. 뿔이 발육하여 각질화가 끝나면 나무 등에 문질러 피부를 벗겨낸다. 뿔의 크기와 엄니의 발달과는 연관이 있는 듯하다. 장대한 엄니를 갖는 고라니는 뿔을 갖지 않으며, 어떤 종은 뿔이 있어도 짧다. 다만 남아메리카에 분포하는 몇몇 종은 뿔이 작은데도 엄니의 발달이 나쁜 것도 있다.
특징
사슴은 감정표현이 상당히 활발하다. 기분이 좋거나 행복할 때는 꼬리를 흔들면서 머리를 땅아래로 흔든다. 화가 날때나 발정이 나서 흥분할때는, 윗 입술을 위로 올려 소리를 지른다. 발정이 온 사슴이나 사람들에 의해 장난을 받는 새끼 사슴들에서 쉽게 볼 수 있다. 또한 화가 났을때나 위협을 느낄땐 상당히 무서운 태도를 보이는데, 이 부분도 마찬가지로 윗 입술을 올리며 소리를 지른다. 다만 앞다리를 땅에 일정한 박자로 콩콩 찍어내리며 콧구멍으로 소리를 지른다. 새끼를 지키려는 어미의 신경질적 행동에서도 나온다.
수사슴들끼리는 서로 뿔을 맞대고 결투를 벌이는 경우가 있는데, 대체로 번식기에 암컷을 두고 벌어지게 된다. 이 뿔의 위력이 생각보다 무시무시해서 가끔은 상대 사슴이 부러져서 날카롭게 된 뿔에 찔려 죽기도 하고, 때로는 이미 죽은 상대 사슴의 뿔이 이긴 사슴의 뿔에 뒤엉켜서 졸지에 시체를 질질 끌고 다니다가 그 사슴도 죽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사슴뿔은 봄이 되기 전에 떨어지고 다시 자란다. 새로 자란 뿔은 얇은 가죽에 덮여져있는데 발정기가 되면 이 뿔을 부딪치면서 가죽을 벗기고 각질화된 뿔을 무기로 사용한다고 한다.
사슴은 실제로는 잡아먹히기 직전에 이르렀을 때 육식동물들과 죽기살기로 싸우는 경우도 적지 않으며 육식동물들도 사슴의 뿔질이나 앞발질에 피해를 입고 사냥을 포기하는 경우도 많다.
습성 문단에 나오듯 소리치고 콩콩 땅을 차 화도 낸다. 게다가 뿔이 난 수사슴이 사람을 공격을 목적으로 들이받으면 갈비뼈가 박살나고 재수가 없으면 뿔에 폐가 뚫려버릴 수도 있으며 최악의 경우 사망할 수도 있다. 실제로 덩치 큰 수사슴의 뿔은 사람 몸은 물론 차의 표면에도 흠집을 내는 경우가 있다. 사슴의 뿔은 장식용이 아니라 무기이기도 하며, 뿔 때문에 사슴들끼리도 죽기까지 한다. 사슴 뿔을 직접 만져보면 생각보다 더 흉악하다. 크기가 비슷한 뼈보다도 묵직한데다 서로 부딪히면 탁탁이 아닌 깡깡 소리가 날 정도로 경도가 높고, 끝도 뾰족하다. 고대인들이 무기로 사용했음이 납득될 정도다. 사실 인간과 몸집이 비슷한 동물들 중 사람이 맨손으로 싸워 이길 만한 짐승은 몇 없다. 특히 말코손바닥사슴이나 와피티사슴 같이 2~3m 가까이 되는 거대한 사슴들은 매우 위험하다.
생태
서식지는 삼림, 습지, 초원, 툰드라 등으로 다양하고, 부드러운 풀, 나무껍질, 작은 나뭇가지, 어린싹 등을 먹는다. 먹이는 충분히 씹지 않고 삼킨다. 사슴의 위는 네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음식을 저장할 수 있어 많은 양의 먹이를 빨리 먹을 수 있다. 그리고 안전한 장소로 옮긴 후 저장한 먹이를 공처럼 덩어리로 꺼내 다시 씹은 후 먹이를 삼켜서 위의 다른 방으로 보낸다. 사슴은 예민한 감각과 자신의 행동역에 대한 사전지식, 그리고 재빠른 행동으로 포식자를 피한다. 건강한 사슴은 큰곰, 호랑이, 표범, 스라소니, 캐나다스라소니, 퓨마, 재규어, 아시아사자, 유럽사자, 늑대, 승냥이 등의 천적보다 빠르다. 또한 놀라지 않는 한 사슴은 움직이지 않고 서서 포식자가 지나가기를 기다린다. 사슴은 자신의 모습이 눈에 잘 띄지 않는 숲 주위에서 새벽녘과 땅거미가 질 무렵에만 먹이를 찾아나선다. 대개는 무리를 지어 살며 아침, 저녁으로 먹이를 취하고 낮에는 전망이 좋은 곳에서 휴식한다. 위험이 닥칠 때는 궁둥이의 흰 털을 세워 다른 수컷에게 신호를 보내어 경고한다. 번식기에는 수컷끼리 뿔을 맞대고 격렬한 싸움을 벌이는데, 이 싸움에서 이긴 수컷은 수십 마리의 암컷을 거느리고 하렘을 형성한다. 종에 따라 6-9개월의 임신기간을 거쳐 한배에 한두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암컷은 새끼를 낳기 위해 다른 사슴 무리와 떨어진 곳에 은신처를 정한다. 새끼 사슴은 걸어서 어미를 따라다닐 수 있을 때까지 그 곳에 숨어서 지낸다. 새끼는 생후 1년 동안 어미와 함께 생활한 뒤 독립한다. 주로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아시아, 유럽 전역에 분포한다.
종류
사슴과의 동물은 분포가 대단히 넓어서 구세계에 있어서는 북극으로부터 시작하여 남쪽으로는 아프리카 북서부까지, 신세계에 있어서는 남북대륙 어디서나 살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사슴과는 2아과로 나뉘며, 사향사슴과는 1속 4아종으로, 사슴아과는 14속 184종·아종이나 된다.
몸의 크기는 대·중·소로 여러 가지가 있으며, 제일 큰 것은 말만큼이나 큰 종류(대륙사슴)도 있고, 제일 작은 것은 큰 개만한 고라니 따위도 있다. 뿔은 일반적으로 수컷만이 가지고 있기도 하고 암수 다 갖고 있지 않기도 하다.
한국에 살고 있는 사슴과 동물은 다음과 같다.
- 사향노루:다리와 발굽이 작고 몸 뒷부분은 암갈색이며 뺨, 눈, 귀 사이에 흰무늬가 있다. 귓속은 순백색, 귀 밖은 흑백색이며 끝은 흑색이다. 눈에서 목까지 흰줄이 있으며 수컷은 송곳니가 있다. 높고 험한 산악지대에서 살며 단독생활을 한다. 수컷은 세 살이 되면 복부의 사향선이 발달하여 특수한 냄새를 낸다. 11, 12월에 교미하며 임신기간은 5, 6개월이고 1, 2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바위 이끼, 연한 풀, 나무의 어린싹 등을 즐겨 먹는다.
- 고라니:고대형 노루의 일종이며 암수 모두 뿔이 없고, 송곳니는 길어서 나무뿌리를 캐먹는다. 털은 거칠고 굵으며 목과 허리의 털은 길고 등쪽은 담적갈색이다. 배는 백색이며 어깨·다리·꼬리는 담갈색이다. 젖꼭지는 4개이다. 산림과 야산에 서식하며 저지대에 분포한다. 1월에 교미하며 임신기간은 180일이고 1, 2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칡, 풀잎, 농작물 등을 주로 먹는다.
- 대륙사슴:하모는 연한 분홍밤색이고 등면과 옆구리에는 붉은 황색의 반점이 있다. 동모는 한 가지 색채로 암갈색이다. 생태에 관한 것은 전혀 조사가 되어 있지 않다.
- 백두산사슴:우리 나라에 서식하는 사슴 종류 가운데 제일 큰 종류이다. 뿔의 제1지는 일반적으로 길고 가장 짧은 제2지의 3배나 된다. 3년이 되면 첨각(尖角)이 생긴다. 각신은 규칙적으로 구부러져 있다.[3]
천적
오세아니아를 제외한 북아프리카, 아메리카 전역, 유럽 전역, 아시아 전역에 분포하는 만큼 천적도 그만큼 많은 편인데, 천적으로는 호랑이, 표범, 곰, 스라소니, 늑대, 승냥이, 검독수리, 울버린, 재규어, 퓨마, 악어, 초대형 뱀이 있지만 인도 한정으로 아시아사자나 아시아치타, 인도네시아 한정으로 코모도왕도마뱀에게도 위협을 받는다.
새끼나 소형종은 상술한 포식자들 외에도 황금자칼이나 삵, 코요테, 여우, 맹금류한테도 잡아먹힌다.
늑대, 승냥이는 특유의 지구력으로 사냥하며 고양이과 동물의 경우 기습을 선호하고, 대형 뱀은 나무 위에서 기어와 몸을 휘감아 사냥하며, 코모도왕도마뱀은 날카로운 이빨로 다리와 복보를 베어서, 울버린은 잠복을 하고 있다가 기습을 해서, 검독수리는 추격한 후 발톱으로 움켜쥐고 날개를 펴서 공기 저항을 높여 사슴의 속도를 늦추고 쓰러뜨린다. 또 악어의 경우는 물을 마실 때나 강을 건널때 사냥을 시도하는 편이다.
이용
옛날부터 사람들은 사슴을 잡아 고기는 먹고, 털가죽으로는 옷을 해 입었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에 들어 20종이 넘는 사슴이 멸종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콜롬비아의 흰꼬리사슴, 키사슴, 늪사슴과 우리나라의 사슴을 포함한 아시아의 사슴들이 그렇다. 따라서 많은 나라에서 사슴 사냥을 금지했고, 사냥 금지구역을 정했다. 그러나 사슴이 사는 많은 지역이 농지나 집터로 개발되고 있어 오늘날에는 사슴의 자연 서식처를 파괴하는 것이 사슴 집단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이다. 사슴고기는 담백하고 연하며, 별다른 냄새도 나지 않으므로 예로부터 식용으로 애용되어 왔다. 고기맛은 가을부터 초겨울에 걸쳐 맛이 최고이고 주로 불고기, 로스구이, 전골요리를 해서 먹는다. 사슴의 뿔, 특히 대각은 녹용(鹿茸)이라 하는데 피를 돕고, 심장을 강하게 한다고 하여 한방에서는 강장제로 귀중하게 쓰인다.
멸종 위기
과 단위에서 사슴은 멸종 위기에 처하지 않았지만 종 단위로는 지역별로 멸종 위기에 속한 종이 꽤 있다. 한국에서 고라니는 흔하지만 전세계적으로는 멸종위기종이며, 북한과 중국에서는 멸종 직전까지 갔다.
제주도의 한라산 정상의 백록담(白鹿潭)은 '하얀 사슴이 물 마시러 드나들던 못'이라는 뜻이다. 실제로 옛날 한라산에는 흰사슴이 많이 서식하여 기록에도 등장하나, 일제강점기 시대 무분별한 노획과 사냥으로 1921년 이후 멸종했다고 한다. 현재 한라산에는 노루를 제외한 토종사슴은 존재하지 않으나, 농가에서 꽃사슴이나 붉은사슴, 와피티사슴이 탈출해 야생화 상태로 일부 지역에서 우점 서식을 한다. 이 개체들은 유전자가 기존에 서식했던 종과는 달라서 그냥 외래종 취급 당한다. 한라산의 명물인 노루도 1970년대까진 거의 멸종상태였으나 80년대부터 실시한 복원사업 덕택에 겨우 위기를 넘긴 것이다. 그 외에도 백두산의 녹명봉(鹿鳴峰)도 '사슴이 우는 봉우리'라는 뜻이다.
태국 남서부에 살던 숌부르그사슴은 종 자체가 멸종한 사슴으로, 무분별한 사냥으로 1936년 이후 아예 멸종했다.[4]
상징
주기적으로 떨어지고 다시 솟아나는 수사슴의 뿔은 "생명의 나무"와 같다. 그것은 자연의 법칙을 반영하여 재탄생, 장수, 성욕, 빛과 태양 등을 뜻하는 보편적인 상징이다. 핀란드의 민족서사시 〈칼레발라〉부터 켈트족, 불교, 중국, 독일, 스칸디나비아, 스키타이 전설, 그리스 신화와 로마 신화에 이르기까지 수사슴은 여러 문화의 신화에 등장하는 강력한 상징이다.
동영상
각주
참고자료
- 〈사슴〉, 《위키백과》
- 〈사슴〉, 《나무위키》
- 〈사슴(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 〈사슴(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