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싼먼샤시(중국어: 三门峡市 sān mén xiá shì)는 중국 허난성 서쪽에 위치해 있는 지급시이다. [1][2]
개요
싼먼샤시의 면적은 10,496㎢이며 인구는 2,034,872명(2021년)이다. 동쪽으로 뤄양시(洛阳市, 낙양시), 남쪽으로 난양시(南阳市, 남양시), 서쪽으로 산시성 웨이난시(渭南市, 위남시)에 접하고 있으며 북쪽으로 황하(黄河)를 사이에 두고 산시성(陕西省, 섬서성)의 원청시(运城市, 운성시)과 마주하고 있다.
시 인민 정부는 후빈구(湖滨区, 호빈구)에 소재하며 행정구획은 후빈구(湖滨区, 호빈구)의 1개 시할구(市辖区)와 이마시(义马市, 의마시), 링바오시(灵宝市, 영보시)의 2개 현급시, 몐츠현(渑池县, 민지현), 산현(陕县, 섬현), 루스현(卢氏县, 노씨현)의 3개 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뤄양에서 서쪽으로 100km, 시안에서 동쪽으로 200km 떨어져 있으며, 섬서성과 산서성의 경계를 이루며 남하해 온 황허가 화산을 만나 ㄴ 자로 꺾어진 후 만나는 첫 대도시이다. 시가지를 지난 황허는 동쪽 낙양 방면으로 나아가는데, 10여 km 쯤 나아갔을 때에 싼먼샤 댐(三门峡大坝)을 지난다. 그 일대에 위치한 세 협곡들에서 '싼먼샤(삼문협)' 란 지명이 유래되었다.
황하 최대의 싼먼샤 댐이 있다.[3][4]
자연환경
싼먼샤시는 진령산맥의 동쪽 연장선과 복우산, 웅이산, 효산이 교차하는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평균 해발 고도는 300에서 1500미터 사이다. 지형은 주로 산지, 구릉, 황토원이 특징으로, 산지 면적은 5750제곱킬로미터, 구릉 면적은 3777제곱킬로미터, 평원 면적은 969제곱킬로미터로, 각각 총 면적의 54.8%, 36%, 9.2%를 차지하고 있다. 삼문협시는 다양한 지형을 가지고 있으며, "다섯 산, 네 구릉, 한 평원"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해발 2413.8미터의 소진령 노압차뇌봉은 하남성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이며, 이 산악 지대는 소진령 국가급 자연 보호구로 지정되어 있다.
싼먼샤 시내는 황하 남쪽 기슭에 자리잡고 있으며, 세 면이 물로 둘러싸여 있어 반도와 같은 형태를 띠고 있어 "사면이 산으로 둘러싸이고 삼면이 물로 둘러싸인" 도시로 불린다. 삼문협시는 온난한 온대 대륙성 계절풍의 반건조 기후에 속하며, 기후가 온화하고 사계절이 뚜렷하다. 연평균 기온은 14.2°C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400mm에서 700mm 사이, 무상기간은 215일이다. 연간 일조 시간은 약 2051.6시간이다.
싼먼샤시에는 크고 작은 하천과 계곡이 많아, 시 전체에 3107개의 하천이 있다. 이들은 주로 황하와 장강 두 대수계에 속한다. 황하 유역 면적은 9376제곱킬로미터로, 시 전체 면적의 89.3%를 차지한다. 황하는 산시성 통관현 동쪽에서 링바오시 경내로 흘러들어, 링바오, 섬주, 호빈, 면지 등 4개의 현(시, 구)의 16개 읍을 통과하며, 총 길이는 225킬로미터에 달한다. 역사적으로 가장 큰 홍수 유량은 초당 3.6만 입방미터에 이르렀다(1843년). 장강 수계는 주로 루스현 남부와 동남부의 노관하, 기하 및 그 지류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역 면적은 1120제곱킬로미터로, 전체 면적의 10.7%를 차지한다. 황하 외에도 경내에는 유역 면적이 100제곱킬로미터 이상인 하천이 33개 있으며, 그 중 링바오시에는 11개, 섬주구에는 5개, 면지현에는 3개, 루스현에는 14개가 있다.
싼먼샤시 전 지역에는 144과에 속하는 관다발 식물 780여 속, 2100여 종이 분포하고 있다. 희귀 수종으로는 영춘목, 망춘화, 철삼, 연향수, 난목, 홍두삼, 찹쌀보리수, 용수목, 물푸레나무 등이 있다. 약용으로 사용 가능한 식물은 약 600여 속, 1300여 종에 달한다. 섬유 식물의 주요 종류로는 칡덩굴, 야누마, 작대기풀, 굴참나무, 벚나무, 로브나무, 등나무, 명아주나무, 왕후박나무, 용수초, 산양, 나도밤나무, 느릅나무, 흰풀, 창포, 사시나무껍질 등 다양한 종이 포함된다. 전분용 식물 자원은 풍부하며, 주로 도토리, 촌채근, 삼엽목통, 수리취, 아카시아 잎, 귀등등이 있다.
싼먼샤시 관할 구역 내에서는 가축을 제외한 야생 육상 척추동물이 140여 종에 이른다. 이 중 파충류는 20종, 조류는 70여 종, 포유류는 42종, 양서류는 8종이다. 대표적으로 화서대두꺼비, 흑반개구리, 자라, 무족벽호, 화적연사, 복사, 홍복금계, 석계, 화반구, 장이부엉이, 홍순, 녹쪼기, 청양, 사향노루, 멧돼지, 늑대, 승냥이, 너구리, 족제비, 날다람쥐, 풀토끼, 북동구멍쥐 등이 있다. 수문령은 국가 1급 보호 동물이며, 큰도롱뇽, 백조, 쇠기러기, 환목꿩, 원앙, 수달은 국가 2급 보호 동물로 지정되어 있다.[5]
역사
기원전 21세기부터 기원전 11세기경까지 하나라, 은나라 영토의 중심지역이었고, 시대가 흘러 주나라의 괵(虢)에 속했다. 춘추시대 전반에는 괵, 후반에는 진에 속했고, 그 후 한, 진, 위의 삼국으로 분할 지배되었다. 진이 중국을 통일하면서 삼천군이 설치되었다. 전한 때는 하남부(河南府)로 고쳐졌고 한 무제 때 홍농군이 설치되었다. 북위 때부터 명청에 이르기까지 섬주(陝州)가 설치되어 있었다. 1957년 3월 국무원은 성할시로서 싼먼샤 시의 성립을 인정했지만, 1962년에 지할현급시로 바뀌었다. 1986년 1월, 국무원은 지급시로의 승격을 인정했다.
교통
쉬란고속철도가 관내 싼먼샤시역을 지나간다.
관광
황하
황하(黃河, Yellow river) 또는 황하강(黃河江)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강이다. 칭하이성 쿤룬 산맥에서 발원하여 쓰촨성, 간쑤성, 닝샤 후이족 자치구, 내몽골 자치구, 산시성, 허난성을 지나 최종적으로 산둥성 둥잉시에서 발해만으로 유입되며 전장은 5,464km, 유역 면적은 75만 2,443km²에 이른다. 강의 길이에 비하면 수량이 적은 편이고 유역 면적이 상당히 좁은 편이다. 수량은 심각할 정도로 적은 편인데, 건기에는 아예 건천이 될 때도 있을 정도이다. 현지 발음을 살려 황허라고도 한다.
중국 대륙에서는 장강 다음으로 길고 지구에서 5번째로 긴 강이다. 중요한 지류로는 시안 근처를 지나가는 위수(渭水)가 있다. 황하는 황해의 바닷물을 누렇게 만드는 원인이며 황해를 잠수함의 지옥으로 만드는 주범이기도 하다.
황하는 황하 문명의 젖줄이고 중국의 상징이다. 중국의 정치적·문화적 중심지인 중원은 본디 황하 유역을 의미했다. 河라는 단어가 원래 황하의 본명이었다가 큰 강을 지칭하는 대명사가 될 정도로 중국에서는 중요한 의미가 있는 강이다. 때문에 CCTV에서 틀어주는 국가 영상(의용군 진행곡)의 첫머리에는 황하의 흙탕물이 힘차게 흐르는 장면이 거의 반드시 들어간다.
황하 주변은 고대부터 북송 시절까지 중국의 중심지역으로 발달하게 되었다. 중국에서 황하의 황색은 황제의 색으로 지정할 정도로 숭상받았으며, 또한 황하를 통해 하류로 대량으로 공급되는 황토고원의 고운 흙은 질 좋은 벽돌과 기와를 만들기 적합하여 황하 유역 근처의 중국 전통건축은 다양하고 화려한 벽돌과 기와를 사용하는 건축기법이 크게 발달하였다.
다만 요즘에는 황하유역에는 문명의 발상지 치고는 큰 도시는 잘 없는데, 유로가 수십 년마다 한 번씩 바뀌다 보니 도시가 발달할 틈을 안 주고 홍수로 쓸어버리거나 강이 사라져버리는 일이 잦았기 때문에 현재도 황하 유역에서는 주로 농사를 짓는다.[6]
지도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
각주
참고자료
같이 보기
동아시아 같이 보기
- 동아시아 국가
|
- 동아시아 도시
|
- 동아시아 지리
|
- 동아시아 바다
|
- 동아시아 섬
|
- 동아시아 강
|
- 동아시아 주변 지역
|
이 싼먼샤시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지역 : 지역, 지형, 기후, 날씨,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의 강, 세계의 바다, 세계의 섬, 국가, 도시, 아시아 도시, 유럽 도시, 북아메리카 도시, 세계의 도시, 신도시, 한국 행정구역, 북한 행정구역, 중국 행정구역 □■⊕, 일본 행정구역, 인도네시아 행정구역, 동남아시아 행정구역, 아시아 행정구역, 유럽 행정구역, 러시아 행정구역, 북아메리카 행정구역, 남아메리카 행정구역, 세계 행정구역, 한국 지역, 아시아 지역, 유럽 지역, 북아메리카 지역, 남아메리카 지역, 아프리카 지역, 세계 지역
|
|
베이징시
|
다싱구 • 둥청구 • 먼터우거우구 • 미윈구 • 순이구 • 스징산구 • 시청구(서청구) • 옌칭구 • 차오양구 • 창핑구 • 퉁저우구 • 팡산구 • 펑타이구 • 핑구구 • 하이뎬구 • 화이러우구
|
|
톈진시
|
난카이구 • 닝허구 • 둥리구 • 바오디구 • 베이천구 • 빈하이신구 • 시칭구 • 우칭구 • 지저우구 • 진난구 • 징하이구 • 허둥구 • 허베이구 • 허시구 • 허핑구 • 훙차오구
|
|
허베이성
|
딩저우시 • 랑팡시 • 바오딩시 • 스자좡시 • 신지시 • 싱타이시 • 장자커우시 • 창저우시 • 청더시 • 친황다오시 • 탕산시 • 한단시 • 형수이시
|
|
산시성 (산서성)
|
다퉁시 • 뤼량시 • 린펀시 • 쉬저우시 • 신저우시 • 양취안시 • 윈청시 • 진중시 • 진청시 • 창즈시 • 타이위안시
|
|
네이멍구자치구
|
바옌나오얼시 • 바오터우시 • 시린궈러맹 • 싱안맹 • 아라산맹 • 어얼둬쓰시(오르도스시) • 우란차부시 • 우하이시 • 츠펑시 • 퉁랴오시 • 후룬베이얼시 • 후허하오터시
|
|
상하이시
|
민항구 • 바오산구 • 쉬후이구 • 쑹장구 • 양푸구 • 자딩구 • 자베이구 • 진산구 • 징안구 • 창닝구 • 충밍구 • 칭푸구 • 펑셴구 • 푸둥신구 • 푸퉈구 • 황푸구 • 훙커우구
|
|
산둥성
|
더저우시 • 둥잉시 • 라오청시 • 르자오시 • 린이시 • 빈저우시 • 옌타이시 • 웨이팡시 • 웨이하이시 • 지난시 • 지닝시 • 짜오장시 • 쯔보시 • 칭다오시 • 타이안시 • 허쩌시
|
|
장쑤성
|
난징시 • 난통시 • 롄윈강시 • 쉬저우시 • 쑤저우시 (장쑤성) • 쑤첸시 • 양저우시 • 옌청시 • 우시시 • 전장시 • 창저우시 • 타이저우시 • 화이안시
|
|
저장성
|
닝보시 • 리수이시 • 사오싱시 • 원저우시 • 자싱시 • 저우산시 • 진화시 • 취저우시 • 타이저우시 • 항저우시 • 후저우시
|
|
푸젠성
|
난핑시 • 닝더시 • 룽옌시 • 샤먼시 • 싼밍시 • 장저우시 • 취안저우시 • 푸저우시 • 푸톈시
|
|
안후이성
|
루안시 • 마안산시 • 벙부시 • 보저우시 • 쉬안청시 • 쑤저우시 (안후이성) • 안칭시 • 우후시 • 추저우시 • 츠저우시 • 퉁링시 • 푸양시 • 허페이시 • 화이난시 • 화이베이시 • 황산시
|
|
장시성
|
간저우시 • 난창시 • 상라오시 • 신위시 • 이춘시 • 잉탄시 • 주장시 • 지안시 • 징더전시 • 푸저우시 • 핑샹시
|
|
허난성
|
난양시 • 뤄양시 • 뤄허시 • 상추시 • 쉬창시 • 신샹시 • 신양시 • 싼먼샤시 • 안양시 • 자오쭤시 • 저우커우시 • 정저우시 • 주마뎬시 • 지위안시 • 카이펑시 • 푸양시 • 핑딩산시 • 허비시
|
|
후베이성
|
샤오간시 • 샹양시 • 선눙자 • 셴닝시 • 셴타오시 • 스옌시 • 쑤이저우시 • 어저우시 • 언스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 우한시 • 이창시 • 징먼시 • 징저우시 • 첸장시 • 톈먼시 • 황강시 • 황스시
|
|
후난성
|
뤄디시 • 사오양시 • 샹시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 샹탄시 • 웨양시 • 융저우시 • 이양시 • 장자제시 • 주저우시 • 창더시 • 창사시 • 천저우시 • 헝양시 • 화이화시
|
|
광둥성
|
광저우시 • 둥관시(동관시) • 마오밍시 • 메이저우시 • 사오관시 • 산웨이시 • 산터우시 • 선전시 • 양장시 • 윈푸시 • 자오칭시 • 잔장시 • 장먼시 • 제양시 • 주하이시 • 중산시 • 차오저우시 • 칭위안시 • 포산시 • 허위안시 • 후이저우시
|
|
광시좡족자치구
|
구이강시 • 구이린시 • 난닝시 • 라이빈시 • 류저우시 • 바이써시 • 베이하이시 • 우저우시 • 위린시 (광시좡족자치구) • 충쭤시 • 친저우시 • 팡청강시 • 허저우시 • 허츠시
|
|
하이난성
|
단저우시 • 둥팡시 • 딩안현 • 러둥 리족 자치현 • 린가오현 • 링수이 리족 자치현 • 바오팅 리족 먀오족 자치현 • 바이사 리족 자치현 • 싼사시 • 싼야시 • 완닝시 • 우즈산시 • 원창시 • 창장 리족 자치현 • 청마이현 • 충중 리족 먀오족 자치현 • 충하이시 • 툰창현 • 하이커우시
|
|
홍콩
|
가우룽싱구 • 군통구 • 남구 • 다이보구 • 동구 • 레이도구 • 박구 • 사이궁구 • 사틴구 • 삼서이보구 • 야우짐웡구 • 완자이구 • 웡다이신구 • 윈롱구 • 중사이구 • 췬완구 • 콰이칭구 • 튄문구
|
|
마카오
|
대당구 • 성로렌수당구 • 성안토니우당구 • 왕더당구 • 코타이 • 콜로아느섬 • 타이파섬 • 화지마당구
|
|
랴오닝성
|
다롄시 • 단둥시 • 랴오양시 • 번시시 • 선양시 • 안산시 • 잉커우시 • 진저우시 • 차오양시 • 톄링시 • 판진시 • 푸순시 • 푸신시 • 후루다오시
|
|
지린성
|
라오위안시 • 바이산시 • 바이청시 • 쑹위안시 • 쓰핑시 • 옌볜조선족자치주 • 지린시 • 창춘시 • 퉁화시
|
|
헤이룽장성
|
다싱안링지구 • 다칭시 • 무단장시 • 솽야산시 • 쑤이화시 • 이춘시 • 자무쓰시 • 지시시 • 치치하얼시 • 치타이허시 • 하얼빈시 • 허강시 • 헤이허시
|
|
산시성 (섬서성)
|
바오지시 • 상뤄시 • 셴양시 • 시안시 • 안캉시 • 옌안시 • 웨이난시 • 위린시 (산시성) • 퉁촨시 • 한중시
|
|
닝샤후이족자치구
|
구위안시 • 스쭈이산시 • 우중시 • 인촨시 • 중웨이시
|
|
간쑤성
|
간난 티베트족 자치주 • 딩시시 • 란저우시 • 룽난시 • 린샤 후이족 자치주 • 바이인시 • 우웨이시 • 자위관시 • 장예시 • 주취안시 • 진창시 • 칭양시 • 톈수이시 • 핑량시
|
|
칭하이성
|
궈뤄 티베트족 자치주 • 시닝시 • 위수 티베트족 자치주 • 하이난 티베트족 자치주 • 하이둥시 • 하이베이 티베트족 자치주 • 하이시 몽골족 티베트족 자치주 • 황난 티베트족 자치주
|
|
신장위구르자치구
|
바인골린몽골자치주 • 보얼타라몽골자치주 • 아라얼시 • 아러타이지구 • 아크수지구 • 우루무치시 • 이리카자흐자치주 • 창지후이족자치주 • 카라마이시 • 카슈가르지구 • 키질수키르기스자치주 • 타르바가타이지구 • 투르판시 • 투무수커시 • 하미시 • 호탄지구
|
|
충칭시
|
난안구 • 난촨구 • 다두커우구 • 다쭈구 • 뎬장현 • 량핑구 • 룽창구 • 바난구 • 베이베이구 • 비산구 • 사핑바구 • 슈산 투자족 먀오족 자치현 • 스주 투자족 자치현 • 완저우구 • 우룽구 • 우산현 • 우시현 • 위베이구 • 위중구 • 윈양현 • 유양 투자족 먀오족 자치현 • 융촨구 • 장베이구 • 장진구 • 주룽포구 • 중심지구 • 중현 • 창서우구 • 청커우현 • 첸장구 • 치장구 • 카이저우구 • 퉁난구 • 퉁량구 • 펑두현 • 펑수이 먀오족 투자족 자치현 • 펑제현 • 푸링구 • 허촨구
|
|
구이저우성
|
구이양시 • 류판수이시 • 비제시 • 안순시 • 쭌이시 •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 첸둥난 먀오족 둥족 자치주 • 첸시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 퉁런시
|
|
쓰촨성
|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 • 광안시 • 광위안시 • 난충시 • 네이장시 • 다저우시 • 더양시 • 량산 이족 자치주 • 러산시 • 루저우시 • 메이산시 • 몐양시 • 바중시 • 쑤이닝시 •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 • 야안시 • 이빈시 • 쯔궁시 • 쯔양시 • 청두시 • 판즈화시
|
|
윈난성
|
누장 리수족 자치주 • 다리바 이족 자치주 •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 • 리장시 • 린창시 • 바오산시 •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 •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 • 위시시 • 자오퉁시 • 추슝 이족 자치주 • 취징시 • 쿤밍시 • 푸얼시 •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
|
티베트자치구
|
나취시 • 라싸시 • 르카쩌시 • 린즈시 • 산난시 • 아리지구 • 창두시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