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빈성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타이빈성(베트남어: Tỉnh Thái Bình)은 베트남 북부 홍강 삼각주에 위치해 있는 성이다.[1][2][3]
개요[편집]
타이빈성의 면적은 1,584.61㎢이며 인구는 1,900,000명(2024년)이다. 성도는 타이빈이다. 북쪽은 하이즈엉성과 접하며 북서쪽은 흥옌성과 접하고 동북쪽은 하이퐁시와 접하며 서쪽은 하남성 (베트남)과 접하며 서쪽과 남서쪽으로 남딘성과 접한다.
타이빈이라는 이름은 한자 '太平(태평)'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큰 평화'를 의미한다.
타이빈성은 베트남 북부의 중심적인 평야 지역에 위치하며, 해안선을 포함한 해양 자원과 내륙 수로망을 고르게 보유한 지역이다. 이는 농업뿐 아니라 해양경제, 운송, 무역 등 다양한 분야의 경제 활동을 전개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타이빈성은 홍강 삼각주의 중심에 위치해 있지만, 과거에는 세 개의 큰 강으로 둘러싸인 섬처럼 여겨졌으며, 합병되거나 분리된 적이 없는 유일한 성이다. 이러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타이빈 사람들은 독특한 문화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타이빈성은 하쩌오(hát chèo) 전통극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동흥현 풍쭈(Phong Châu)사 쿠옥(Khuốc) 마을에서 유래했다. 또한 수상 인형극(水上人形劇, water puppetry)의 고향으로, 이는 동흥현 응우옌사(Nguyên Xá) 사에서 시작되었다. 타이빈 사람들은 실용적이고 영리한 성격으로 잘 알려져 있다.
자연환경[편집]
타이빈성은 비교적 평탄하며 해수면 위 평균 높이는 약 1.5m에서 2m이다. 지형은 완만한 경사와 함께 북서쪽에서 동남쪽으로 점차 낮아진다. 타이빈성은 하천, 운하, 호수, 저수지가 조화를 이루는 풍부한 수자원을 지닌 지역이다. 지형은 주요 하천(홍강, 루옥강, 트라리강, 호앙롱강 등)의 침식 및 퇴적 작용에 의해 형성된 전형적인 충적 평야 지형이다. 이로 인해 전반적으로 땅이 평탄하며, 경작에 매우 적합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타이빈성은 4개의 강이 흐르고 있다. 북쪽과 북동쪽에는 길이 35km의 호아강(Hoa river)이 있고, 북서쪽은 53km 길이의 홍강의 지류인 루옥강(Luộc River)이 있다. 서쪽과 남쪽은 홍강의 하류로 길이 67km이다. 짤리강(Tra Ly, 홍강의 1단계 지류)은 길이 65km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타이빈성을 흐른다. 이 강들은 지엠디엔(타이빈성), 발랏, 짤리, 란을 포함한 4개의 큰 하구를 만든다. 바다와 가까워서 조수의 영향을 받고, 여름에는 큰 파도와 높은 침전물 함량으로 수위가 급격히 상승하며, 겨울에는 유량이 크게 감소하고 침전물이 미미하여 염수가 된다. 내륙으로 침투하는 거리는 15~20km에 이른다.
타이빈성은 북부 열대 몬순 기후에 속하며, 사계절이 뚜렷하다. 연평균 기온은 약 23~24°C이며, 여름철(5월~9월)은 고온다습하고, 겨울철(11월~3월)은 비교적 건조하고 쌀쌀하다. 연간 강수량은 평균 1,700mm에서 2,200mm 사이이며, 대부분의 강수는 5월에서 10월 사이에 집중된다. 이 시기는 태풍, 폭우 등 기상 재해가 자주 발생하기도 하며, 수리시설의 철저한 관리와 대비가 요구된다.
역사[편집]
현재의 타이빈성 지역은 10세기 이전 북사(北屬) 시기에는 교지군(郡)의 다끄엉향(Đa Cương, 루옥강에서 바다까지 이르는 지역)에 속했다. 12사군 시대에는 이 지역이 장람(Trần Lãm) 장군의 근거지였다. 후 레 왕조 시기, 레 타인통(黎聖宗) 이후에는 현재의 타이빈 지역은 선남(山南) 진에 속했다. 1527년부터 막 왕조 말기 및 후기 레 중흥 말까지, 막 왕조는 하이즈엉(海陽) 진을 하이즈엉 도(道)로 변경했다. 1529년(민득 3년), 막 태조(막당중, Mạc Đăng Dung)는 왕위를 아들 막당도안(Mạc Đăng Doanh)에게 물려주고 자신은 태상황으로 고짜이(Cổ Trai)로 돌아가 응이즈엉(Nghi Dương)을 양경(陽京)으로 삼았다. 이어 푸투언안(Thuận An, 킨박), 꽈이쩌우(Khoái Châu), 떤흥(Tân Hưng), 끼엔즈엉(Kiến Xương), 타이빈(Thái Bình)을 선남에서 떼어내어 양경에 속하게 했다. 이는 오늘날 타이빈성과 남딘성 대부분 지역을 포함한다.
후기 레 중흥 말기에서 응우옌 왕조 초기에 이 지역은 선남하(山南下) 진에 속했다. 1832년, 응우옌 왕조의 민망(明命) 황제는 타이빈, 끼엔즈엉 두 부를 남딘성에, 띠엔흥 부를 흥옌성에 편입시켰다.
1890년 3월 21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총독은 타이빈성을 설립하는 칙령을 발표했다. 이 성은 남딘성에서 타이빈, 끼엔즈엉 두 부를, 흥옌성에서 트언케(Thần Khê) 현을 떼어내어 구성되었으며, 트언케는 이후 타이닌(Thái Ninh) 부로 개명되었다. 초대 성 감찰관은 위베르 드 고이(Hubert de Goy)였다. 성청은 끼엔즈엉 부의 행정 중심지, 짜리 강 남쪽 기슭에 두었다. 이곳은 하이퐁 – 남딘 간 도로상에 위치하며 남딘과 17km밖에 떨어지지 않아 주민들은 탠데(Tân Đệ) 나루(후에 다리로 전환됨)를 통해 남딘에 왕래하며 생필품을 구입하곤 했다. 1894년 11월 28일, 총독은 흥옌성 띠엔흥 부에 속했던 흥인(Hưng Nhân), 즈옌하(Duyên Hà) 두 현을 타이빈성에 편입시켰고, 루옥 강을 두 성의 경계로 삼았다. 이로써 타이빈성은 다음과 같은 3개 부, 12개 현으로 구성되었다.
1924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시기에는 부 단계를 폐지하고, 각 현은 이전의 부 이름을 따서 개칭되었다. 1890년 성 설립 당시 성청은 민망 시대부터 부티엔현의 현청이었던 끼보(Kỳ Bố) 사에 설치되었다. 이후 성청은 확장되어 여러 인근 현으로 확대되어 타이빈 시를 이루었고, 후에 타이빈시로 승격되었다.
1945년 이후 부 단계를 폐지하고 현 단위로 통일되었다. 타이빈성은 타이빈 시와 12개 현으로 구성되었다. 1955년 12월 2일, 동꽌, 푸즈억, 쿠인코이, 타이닌, 수이안, 띠엔흥, 띠엔하이 등 일부 현의 경계를 조정했다. 1958년 2월 28일, 푸즈억, 쿠인코이, 수이안 등 3개 현의 경계를 추가 조정했다. 1969년 6월 17일, 대규모 행정구역 통폐합이 이루어졌다.
2004년 4월 29일, 타이빈 시를 타이빈시(Thành phố Thái Bình)로 승격했다. 타이빈성은 현재와 같이 1개 시, 7개 현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2013년 12월 12일, 베트남 총리는 2418/QĐ-TTg 결정을 통해 타이빈시를 2급 도시로 공인했다.
산업[편집]
- 해안경제구역 설립: 띠엔하이, 타이수이 두 현 포함 30,580ha (자연 면적 21,583ha, 연안 침수지 9,000ha).
- 교통 인프라 개발: 해안 고속도로 및 닌빈 – 하이퐁 고속도로가 타이빈 경유 예정.
- 타이빈 전력센터: 타이수이현 미록사, 총투자 21억 달러, 부지 254ha, 출력 1,800MW.
- 암모니아 질산염 공장: 연간 생산량 20만 톤
- 타이빈성에는 띠엔하이 자연보호구역(Tiền Hải Nature Reserve)이 위치해 있으며, 이는 홍강 삼각주 생물권 보전지역(Red River Delta Biosphere Reserve)의 일부이다. 현재 이 지역은 개발 대상으로 고려되고 있다.
사회[편집]
베트남의 공식 언어는 베트남어이며 로마자로 적는다. 베트남어는 단철어(單綴語)로 성조에 6성이 있다. 중국의 영향으로 한자가 사용되고 있었으나, 19세기부터 프랑스의 식민통치를 받으면서 베트남어의 로마자 표기가 추진되어 현재 한자는 별로 쓰이지 않는다. 꾸옥 응으(베트남어: quốc ngữ / 國語)로 불리는 이 로마자 표기는 16세기부터 로마 가톨릭 선교사들이 현지어를 로마자로 옮겨 적으려는 작업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예수회의 알렉상드르 드 로드는 포르투갈어 철자법을 바탕으로 최초의 안남어 사전을 만들어냈다. 베트남어는 민난어처럼 동아시아의 언어들 중에서 중국어와 유사한 문자 체계에서 로마자로 변경한 흔치 않은 언어 중 하나이다. 이 로마자 표기법은 현지인들의 교육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1945년 이후 베트남이 독립한 뒤 공식 표기법이 되었다. 서방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과 최근 베트남 행정부의 개혁으로 영어는 제2 언어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영어 학습은 이제 대부분의 학교에서 프랑스어와 함께 또는 프랑스어를 대신하여 의무화되었다. 일본어, 한국어, 중국어의 인기도 베트남과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의 관계가 강화됨에 따라 높아졌다.[4][5]
문화[편집]
중국 남부 지방과의 오랜 교류로 인하여, 베트남 문화를 특징짓는 한 가지 요소는 재정적 책임이다. 베트남에서 교육과 자수성가는 높은 가치를 부여받는다. 역사적으로, 중국의 과거 시험을 통과하는 것만이 베트남 사람이 사회적 지위를 높이는 유일한 것이었다. 베트남이 오늘날의 영역으로 통합된 것은 근대의 일로, 그 전에는 유교 및 한(漢)문화의 영향을 받은 북부와 베트남의 주 종족인 킨 족외에 인종적으로 말레이계에 속하는 참파인의 국가였던 참파가 있었던 중부문화권, 그리고 크메르 제국의 영역에 속했던 남부 등으로 나뉘어 있으며, 이 북부, 중부, 남부의 차이는 언어 및 풍속, 문화 등 모든 영역에 걸쳐 존재한다. 중국의 유교 영향을 많이 받았음에도, 베트남에서는 윗사람과 아랫사람이라는 상하 개념은 없고, 서로 스스럼없이 대한다.
베트남은 기본적으로 연장자 존중, 효도, 체면 등의 문화가 남아있지만 동시에 한국식 나이 서열의 원인을 제공한 일제 통치의 영향이 없어서 의도적으로 나이와 관련된 서열 문화를 무시하려는 경향도 공존한다. 다만 중국의 한나라에 대응하던 무기를 들고 싸운 쯩 자매나 서양인들도 17 ~ 19세기에 베트남은 여성이 경제 활동을 남성보다 잘하는 것 같다는 기록을 할 정도로 여성 경제 활동 참여, 국방에 대한 참여는 다른 유교 문화권과 달리 오히려 권장되거나 다른 문화를 주민 반발 때문에 받아들이지 못했다. 강인한 생활력을 갖춘 여성상이 선호되는 것이다. 심지어 여성이 아이와 총을 동시에 드는 프로파간다 포스터도 제작된다.
출신 인물[편집]
- 중세 베트남에서 가장 다작이자 유명한 학자 레꾸이돈(Lê Quý Đôn)의 고향이다.
- 쩐투도(Trần Thủ Độ), 쩐 왕조의 창건자도 흥하현 출신이다.
- 하이퐁시를 개척한 개혁가 부이비엔(Bùi Viện)도 이 지역 출신으로, 미국을 방문한 첫 번째 베트남인이며, 응우옌 왕조 시절 미국 대사를 역임하기도 했다.
- 우주로 간 최초의 베트남인 우주비행사 팜투언(Phạm Tuân) 역시 타이빈 출신이다.
- 타이빈 출신 인물 중에는 베트남의 두 전쟁을 종결지은 인물도 있다. 따꾸억루엇(Tạ Quốc Luật)은 디엔비엔푸 전투(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프랑스군 지휘관 크리스티앙 드 카스트리(Christian de Castries)를 생포하고 승리 깃발을 꽂았다.
- 부이꽝떤(Bùi Quang Thận)은 북베트남 탱크 부대를 이끌고 남베트남 정부 청사에 진입해 즈엉반민(Dương Văn Minh) 대통령의 무조건 항복을 받아낸 인물이다(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 타이빈 출신의 초대 베트남 인민군 총참모장 황반타이(Hoàng Văn Thái) 역시 주목할 만하다. 정부 비판 활동가와 인권 운동가들도 타이빈 출신이 많다.
- 틱꽝도(Thích Quảng Độ)는 저명한 불교 지도자이자 정부 비판가로, 2006년에는 라프토 인권상(Thorolf Rafto Memorial Prize)을 수상했으며 노벨 평화상 후보로도 지명되었다.
- 즈엉투흐엉(Dương Thu Hương)은 전후 베트남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로, 그녀의 소설 눈먼 낙원(Paradise of the Blind, Những thiên đường mù, 1988)은 미국에서 영어로 출판된 최초의 베트남 소설이다.
- 응우옌흐우당(Nguyễn Hữu Đang)은 키엔즈엉현 출신으로, 1950년대 지식인 자유화 운동인 인민문학사건(Nhân Văn – Giai Phẩm 사건)의 대표 인물이며, 이 사건은 현대 베트남 역사상 가장 비극적인 사건 중 하나로 꼽힌다.
- 타이빈 출신 중에는 베트남 부호들도 있다. 예를 들어, 비텍스코(Bitexco) 그룹 창립자이자 호찌민시 비텍스코 파이낸셜 타워, 하노이 더 매너(The Manor) 고급 주거 단지를 개발한 부꾸앙회(Vũ Quang Hội), 하노이 최대 민간기업인 Geleximco 및 AB 은행을 세운 부반띠엔(Vũ Văn Tiến) 등이 있다. 또한 동흥 출신의 꽈쯔언응옥(Quách Tuấn Ngọc)은 하노이 공대의 컴퓨터 공학 교수로서, 1980년대 베트남 최초 상업용 소프트웨어인 BKED(Bach khoa Editor), 즉 베트남어 텍스트 처리 프로그램을 개발한 인물이기도 하다.
지도[편집]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 〈타이빈성〉, 《위키백과》
- "Thái Bình", Wikipedia'’
- "Thái Bình province", Wikipedia
- 〈베트남〉, 《나무위키》
- 〈베트남〉, 《위키백과》
같이 보기[편집]
동남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