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호아빈성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베트남 위치

호아빈성(베트남어: Tỉnh Hòa Bình)은 베트남 서북부에 위치해 있는 성이다.[1][2][3][4]

개요[편집]

호아빈성의 면적은 4,590.3㎢이며 인구는 896,500명(2024)이다. 성도는 호아빈시이다. 북서쪽으로는 푸토성, 북동쪽으로는 선라성, 동쪽으로는 하노이, 남동쪽으로는 닌빈성, 남쪽으로는 타인호아성과 접한다.

호아빈성에는 베트남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40개 이상의 소수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 각 민족은 고유의 언어, 전통, 문화를 보유하고 있다. 주요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므엉족(Mường) 64.28%, 킨족(베트남인) 25.69%, 타이족(Thái) 4.03%, 떠이족(Tày) 3.92%, 자오족(Dao) 2.02%, 기타 민족이 나머지 0.96%를 차지한다.

자연환경[편집]

호아빈은 산악성이며, 홍강 삼각주의 서쪽 끝에 접하고 있다. 지형은 중산지대(中山地帶)로 복잡하게 단절되어 있으며, 경사가 크고 방향은 대체로 북서-남동으로 뻗어 있다. 지형은 크게 두 지역으로 나뉜다. 고산지대는 서북부에 위치하며 평균 고도는 600~700m, 험준한 지형, 면적은 약 212,740ha로 전체 면적의 44.8%를 차지하며 저산지대는 동남부에 위치하며 평균 고도는 100~200m이다. 성 내에는 상당히 고르게 분포한 하천 시스템이 있다. 주요 하천으로는 다강(Sông Đà), 마강(Sông Mã), 브어이강(Sông Bưởi), 랑강(Sông Lạng), 부이강(Sông Bùi) 등이 있다.

호아빈성은 습윤 아열대 기후를 띠며, 겨울에는 건조하고 서늘, 여름에는 덥고 비가 많다. 연평균 기온은 약 23℃ 이상이다. 7월 평균 기온 27~29℃, 1월: 평균기온 15.5~16.5℃이다.

역사[편집]

호아빈성은 1886년 6월 22일 베트남 북부의 성도령에 의해 "무엉성"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으며, 이는 흥화성, 손타이성, 닌빙성의 일부 지역에 거주하는 무엉족 사람들이 포함된 지역을 분리하여 만든 것이다. 성도는 처음에 시장인 ‘쯔어보’(Chợ Bờ) 마을에 설정되었고, 이곳은 다벡(Đà Bắc) 지역에 속해 있어 '쯔어보성'이라고도 불렸다. 1886년 11월 29일, 중북성 총독은 성도를 프엉람(Phương Lâm)으로 이전할 것을 결정했다. 1888년 12월 27일, 성도는 다시 쯔어보로 돌아가게 되었다. 당시에는 장기간 프랑스의 부공사가 이끌었고, 1888년 7월에는 무엉족이 거주하는 지역을 흥화성과 연결하고, 1888년 10월에는 태선(Tây Sơn)과 연립의 지역이 흥화성에 합병되었다. 1891년 1월 29일, 도구군의 군인들이 쯔어보를 급습하면서 제2차 프랑스 침략전쟁이 일어나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제르미에를 대체한 부공사인 루제리가 쯔어보에서 총격으로 죽게 되었다. 프랑스 총독들은 1891년 3월 18일, 호아빈성을 '호아빈'이라는 이름으로 명명하고 성도를 프엉람 지역에서 인근의 평지로 변경했다. 1896년 9월 5일, 호아빈성은 공식적으로 호아빈사회로 설정되었고, 아킬리 아모이티가 공사로 임명되었다.

1908년 10월 24일, 리그니에가 공사로 임명되면서 마이성 지역이 호아빈성을 분리하여 하남성에 포함시켰다. 1924년 12월 1일, 마이성과 지역의 일부가 닌빙성으로 이전되었다. 1945년에는 복합적인 상황으로 마이성과 다벡군이 호아빈성에 포함되어 새로운 관리구역으로 개편되었다. 전투에서 주요 전환점들이 생기면서 이 지역은 중요한 군사 거점으로 활동했다. 1956년 9월 21일, 마이성과 다벡은 두 지역으로 나뉘어져 각각 마이 성과 다벡군이 되었고, 1957년에는 중군이 두 개로 나누어졌다.

산업[편집]

2020년 기준으로 호아빈성의 1인당 GDP는 약 2,625달러(6,050만 베트남 동에 해당)로 추산되었다. 호아빈성은 다양한 산업과 농업 활동을 기반으로 한 경제를 자랑하며, 특히 관광업과 수력발전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호아빈성은 다양한 농업 특화 지역이 발달하였다. 락쑤이 군 소이 마을의 석재 공예는 유명한 석재 제품인 돌 의자, 세면대, 조각상 등을 만드는 전통이 있다. 이 지역은 풍부한 석재 자원과 숙련된 장인들이 모여, 고품질의 석재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소이 마을은 또한 푸탕 산업단지와 연결되어 있으며, 지역 경제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호아빈성 므엉족 비쯔쭈(Bích Trụ) 마을은 호아빈 수력발전소 건설 당시 수몰지구에 위치하여 거의 모든 경작지를 잃고 호수 바닥 마을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주민들은 어려움을 기회로 바꾸어 양식업과 어업을 발전시키는 한편, 자연 경관을 보호하고 전통 문화를 보존하여 관광 및 휴양 산업을 개발하고 있다. 현재 마을 내 53가구가 167개의 어류 사육장을 운영 중이며, 이 중 4가구는 양식업과 지역 커뮤니티 관광을 병행하여 발전시키고 있다.

사회[편집]

베트남의 공식 언어는 베트남어이며 로마자로 적는다. 베트남어는 단철어(單綴語)로 성조에 6성이 있다. 중국의 영향으로 한자가 사용되고 있었으나, 19세기부터 프랑스의 식민통치를 받으면서 베트남어의 로마자 표기가 추진되어 현재 한자는 별로 쓰이지 않는다. 꾸옥 응으(베트남어: quốc ngữ / 國語)로 불리는 이 로마자 표기는 16세기부터 로마 가톨릭 선교사들이 현지어를 로마자로 옮겨 적으려는 작업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예수회의 알렉상드르 드 로드는 포르투갈어 철자법을 바탕으로 최초의 안남어 사전을 만들어냈다. 베트남어는 민난어처럼 동아시아의 언어들 중에서 중국어와 유사한 문자 체계에서 로마자로 변경한 흔치 않은 언어 중 하나이다. 이 로마자 표기법은 현지인들의 교육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1945년 이후 베트남이 독립한 뒤 공식 표기법이 되었다. 서방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과 최근 베트남 행정부의 개혁으로 영어는 제2 언어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영어 학습은 이제 대부분의 학교에서 프랑스어와 함께 또는 프랑스어를 대신하여 의무화되었다. 일본어, 한국어, 중국어의 인기도 베트남과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의 관계가 강화됨에 따라 높아졌다.[5][6]

문화[편집]

중국 남부 지방과의 오랜 교류로 인하여, 베트남 문화를 특징짓는 한 가지 요소는 재정적 책임이다. 베트남에서 교육과 자수성가는 높은 가치를 부여받는다. 역사적으로, 중국의 과거 시험을 통과하는 것만이 베트남 사람이 사회적 지위를 높이는 유일한 것이었다. 베트남이 오늘날의 영역으로 통합된 것은 근대의 일로, 그 전에는 유교 및 한(漢)문화의 영향을 받은 북부와 베트남의 주 종족인 킨 족외에 인종적으로 말레이계에 속하는 참파인의 국가였던 참파가 있었던 중부문화권, 그리고 크메르 제국의 영역에 속했던 남부 등으로 나뉘어 있으며, 이 북부, 중부, 남부의 차이는 언어 및 풍속, 문화 등 모든 영역에 걸쳐 존재한다. 중국의 유교 영향을 많이 받았음에도, 베트남에서는 윗사람과 아랫사람이라는 상하 개념은 없고, 서로 스스럼없이 대한다.

베트남은 기본적으로 연장자 존중, 효도, 체면 등의 문화가 남아있지만 동시에 한국식 나이 서열의 원인을 제공한 일제 통치의 영향이 없어서 의도적으로 나이와 관련된 서열 문화를 무시하려는 경향도 공존한다. 다만 중국의 한나라에 대응하던 무기를 들고 싸운 쯩 자매나 서양인들도 17 ~ 19세기에 베트남은 여성이 경제 활동을 남성보다 잘하는 것 같다는 기록을 할 정도로 여성 경제 활동 참여, 국방에 대한 참여는 다른 유교 문화권과 달리 오히려 권장되거나 다른 문화를 주민 반발 때문에 받아들이지 못했다. 강인한 생활력을 갖춘 여성상이 선호되는 것이다. 심지어 여성이 아이와 총을 동시에 드는 프로파간다 포스터도 제작된다.

공산주의 시대에 베트남의 문화적 삶은 정부가 통제하는 미디어와 공산주의적 프로그램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수십 년 동안 외국 문화의 영향은 차단되고 소련, 중화인민공화국, 북한 등 공산주의 국가의 문화를 음미하고 공유하는 것이 강조되었었다. 1990년대 이래로, 베트남은 일본, 유럽, 미국의 문화와 미디어에 대폭적으로 노출되기 시작하였다. 베트남에는 1945년 9월 2일에 하노이에서 설립된 국영방송국인 베트남의 소리가 있다.

베트남의 민속 의상 중 가장 대중적인 것은 여성들이 입는 아오자이이다. 아오자이는 현재에는 명절이나 결혼 등 행사, 일상의상 등으로 입는다. 흰색 아오자이는 베트남 전역에서 여학생의 교복으로 지정된 경우가 많고 학생 이외에는 다양한 색상의 원단으로 아오 자이를 만들어 입는다. 예전에는 성별 구분 없이 아오자이를 입었으나 현재에는 여성용 의복으로 한정된다. 단, 전통 문화 행사에서는 남성이 입는 경우도 있다.

교통[편집]

  • 국도 6: 이 도로는 룽손, 호아빈시, 카오퐁, 탄락, 마이차우 등 여러 군을 거쳐 하노이 수도와 북서부 지역을 연결한다. 호아빈에서 하노이와 가장 가까운 지점은 룽손군에 있으며, 약 40km 거리에 위치한다.
  • 국도 15A: 마이차우군에서 출발하여 국도 6과 연결되며, 이 도로는 빈푹성과 탄호아성 고산지방을 연결한다.
  • 국도 12B: 마인덕(탄락)에서 국도 6과 연결되어 탄락, 락손, 옌쑤이 군을 지나 닌빈성을 거쳐 동해로 이어지는 가장 짧은 도로이다.
  • 국도 21A: 국도 32와 교차하는 곳에서 시작하여 썬타이 시의 입구를 지나, 시장 습롱, 푸리, 락쑤이, 룽손 군을 거쳐 하노이와 연결되는 주요 도로이다.
  • 국도 21C: 하노이와 매이손 지역에서 연결되는 도로로, 락쑤이군을 거쳐 닌빈성의 마이손, 여원까지 이어진다.
  • 국도 37C: 락쑤이 군의 흥티에서 출발하여, 닌빈성의 저관, 장비언 등을 거쳐 남딘성에 도달하는 도로이다.
  • 호치민 도로: 이 도로는 국도 21과 평행하게 지나며, 국도 12B와 12A와 교차하고, 락쑤이군과 옌수이군에서 연계된다.
  • 하노이-호아빈-쏜라-디엔비엔 고속도로: 호아빈시, 다벡, 마이차우 등 여러 군을 통과하는 고속도로이다.

관광[편집]

호아빈은 문화적으로도 잘 알려져 있으며, 베트남 고대 문화의 발상지로 여겨진다. 이 지역에는 므엉, 타이, 몽, 떠이, 자오족 등 다섯 주요 소수민족이 거주하고 있다. 또한 이 지역에는 184개의 역사적 유적지와 다양한 자연 경관이 존재하여 관광 명소로 손꼽힌다.

  • 마이쩌우(Mai Châu): 마이쩌우현 중심 읍으로, 전통 소수민족 문화, 논밭 계단식 밭, 푸르른 산악 풍경으로 유명하다. 하노이 수도에서 140~150km 떨어져 있으며, 오토바이, 버스, 또는 자가용으로 여행할 수 있다.
  • 뚱나이(Thung Nai): 까오퐁현에 속한 산악 지역 코뮌(자치 단위)으로, '육상의 하롱베이(Ha Long Bay on land)'로 불린다. 산, 언덕, 호수, 경이로운 풍경이 어우러진 아름다움을 자랑한다. 까오퐁 지역은 또한 비옥한 토지로 잘 알려져 있으며, 풍성한 오렌지 과수원으로 유명하다.
  • 김보이 온천(Kim Bôi hotspring): 김보이현에 위치하며, 호아빈 시에서 불과 30km 떨어진 곳이다. 천연 광천수가 섭씨 36도의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며, 음용 및 목욕에 사용되어 건강에 좋다.
  • 호아빈 댐(Hòa Bình Dam): 다강(Da River)에 위치하며, 1979년 건설 당시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수력 발전소로 알려졌다. 이곳은 베트남의 역사적이며 중요한 수력 발전소로 방문할 가치가 있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호아빈성〉, 《위키백과》
  2. 호아빈성〉, 《나무위키》
  3. "Hòa Bình", Wikipedia
  4. "Hòa Bình province", Wikipedia
  5. 베트남〉, 《나무위키》
  6. 베트남〉, 《위키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남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남아시아 국가
동남아시아 도시
동남아시아 지리
동남아시아 바다
동남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호아빈성 문서는 베트남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