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토치(PyTorch)는 페이스북 AI 연구소(FAIR)에서 개발한 오픈소스 딥러닝 프레임워크이다. 주로 머신러닝과 딥러닝 모델을 설계하고 훈련하는 데 사용된다. 파이썬(Python) 언어를 기반으로 하며, 직관적인 코드 스타일과 유연성 덕분에 딥러닝 연구와 개발에서 널리 채택되고 있다. 파이토치는 특히 연구자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었고, 텐서플로(TensorFlow)와 함께 현대 딥러닝의 대표적인 두 프레임워크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배경
파이토치는 2016년에 출시되었으며, 기존의 토치(Torch)라는 딥러닝 라이브러리에서 파생된 것이다. 토치는 루아(Lua)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했지만, 파이토치는 보다 널리 사용되는 파이썬을 기반으로 하여 접근성을 높였다. 딥러닝 연구의 빠른 발전 속도에 맞춰 파이토치는 매우 빠르게 업데이트되었고, 그 과정에서 여러 주요 기능이 추가되었다. 특히 파이토치의 동적 계산 그래프와 파이썬스러운(Pythonic) 코드 스타일은 연구와 개발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참고자료
- 〈PyTorch〉, 《나무위키》
- 수박, 〈(머신러닝 - 01) 파이토치(Pytorch), 그리고 텐서플로우와 차이〉, 《네이버 블로그》, 2019-05-01
- 정원국, 〈PyTorch 기초 정리〉, 《벨로그》, 2022-05-21
- 해리누나, 〈파이토치(PyTorch) 기초 한 번에 part1〉, 《티스토리》, 2023-06-03
같이 보기
이 파이토치 문서는 인공지능 기술에 관한 글로서 내용 추가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접기]인공지능 : 인공지능 서비스, 인공지능 모델, 인공지능 데이터, 인공지능 기술 □■⊕, 인공지능 로봇, 인공지능 기업, 인공지능 인물, 인공지능 역사
|
|
인공지능 기술
|
AGI • ANI • ASI • AI 워싱 • XAI • 감각 • 감성 • 강인공지능 • 개성 • 데이터마이닝 • 동작 • 디지털 휴먼 • 로봇공학 • 로봇기술 • 마음 • 메타인지 • 무의식 • 미각 • 생각 • 설명 • 성격 • 시각 • 약인공지능 • 에이전트 • 의도 • 의식 • 의지 • 이해 • 인성 • 자동추론 • 자아 • 자의식 • 정체성 • 제어 • 제어이론 • 지각 • 지능 • 지성 • 지식 • 지혜 • 청각 • 초인공지능 • 촉각 • 추론 • 추천 • 추천 알고리즘 • 킬 스위치 • 태도 • 튜링 테스트 • 프롬프트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 해석 • 행동 • 행위 • 활동 • 후각
|
|
문자인식과 음성인식
|
ICR • MRC(기계독해) • OCR • OMR • URL • 감정 • 감정분석 • 개념 • 글자 • 기호 • 단어 • 답변 • 대화 • 동영상 • 디자인 • 말투 • 맥락 • 문단 • 문서 • 문자 • 문자인식 • 문자채팅 • 문장 • 발음 • 번역 • 부호 • 분류 • 사투리 • 상담 • 소스코드 • 스토리 • 억양 • 언어 • 영어 • 요청 • 음성 • 음성인식(STT) • 음성채팅 • 음성합성(TTS) • 응답 • 의미 • 이모지 • 이모티콘 • 이미지 • 인공어 • 인공지능 음성 • 인식 • 인지 • 인지과학 • 일본어 • 자막 • 자연어 • 자연어 이해 • 자연어 처리 • 중국어 • 질문 • 질의 • 질의응답 • 채팅 • 출처 • 코드 • 코딩 • 텍스트 • 통번역 • 통역 • 파일 • 패턴인식 • 폴더 • 표준어 • 한국어 • 화상채팅 • 화자인식
|
|
이미지 인식
|
딥페이크 • 바운딩박스 • 배경 • 배경인식 • 사물 • 사물인식 • 앵커박스 • 얼굴 • 얼굴인식 • 욜로(YOLO) • 이미지 보정 • 이미지 복원 • 이미지 분할 • 지문 • 지문인식 • 컴퓨터 비전 • 표정 • 표정인식 • 홍채 • 홍채인식
|
|
계산복잡도
|
NP • NP-완전 • 계산복잡도 • 공간복잡도 • 시간복잡도 • 여 NP • 여 NP-완전
|
|
인공지능 장비
|
AI 가속기 • AI칩 • GPU • 그래픽카드 • 레니게이드 • 마이아100 • 반도체 • 블랙웰 • 엔비디아 • 엔비디아 A100 • 엔비디아 H100 • 엔비디아 H200 • 엔비디아 H800 • 워보이 • 집적회로(칩) • 코발트100
|
|
인공지능 특징
|
결정이론 • 계산상의 합리성 • 논리학 • 논리주의자 • 분산성 • 불확실성 • 삼단논법 • 선호도 • 예측곤란성 • 완벽한 합리성 • 유계 합리성 • 이유 불충분의 원리 • 자율성 • 최대기대효용 • 할루시네이션 • 효용이론
|
|
인공지능 법적 지위
|
권리주체성 • 소버린 AI • 전자대리인 • 전자적 인간 • 책임법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