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로즈니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4번째 줄: 14번째 줄:
  
 
== 역사 ==
 
== 역사 ==
러시아어로 그로즈니는 공포를 뜻한다. 이렇게 살벌한 이름을 가지게 된 이유는 1818년, 이 지역을 평정하려던 러시아군 사령관 [[예르몰로프]]가 이곳에 요새를 건설하면서 공포 정치를 통해 산민들을 굴복시키려고 일부러 이렇게 지었던게 지금까지 내려온 것이라고 한다
+
러시아어로 그로즈니는 공포를 뜻한다.[1] 이렇게 살벌한 이름을 가지게 된 이유는 1818년, 이 지역을 평정하려던 러시아군 사령관 예르몰로프가 이곳에 요새를 건설하면서 공포 정치를 통해 산민들을 굴복시키려고 일부러 이렇게 지었던게 지금까지 내려온 것이라고 한다
  
1850년대에 석유가 발견되고 1893년 철도가 놓이면서 크게 발전했다. 영국 기업들은 1893년부터 석유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영국 엔지니어 알프레드 스튜어트(Alfred Stuart)는 1893년 바쿠 지역 외곽 코카서스 지역에서 가장 큰 유전을 시추하여 그로즈니 최초의 유정을 완성했다. 1900년 이전에는 11개 회사가 116개의 유정을 시추했다. 이는 산업 및 석유화학 생산의 급속한 발전을 촉진했다. 도시 자체에서 석유를 시추하는 것 외에도 이 도시는 러시아 유전 네트워크의 지리적 중심지가 되었다. 1914년 초 당시 최대 석유 회사인 Royal Dutch Shell이 ​​도시에 설립되어 그로즈니를 코카서스 최대 산업 중심지 중 하나로 만들었다. [[러시아 제국]] 시대에 이 도시는 테렉 주의 그로즈넨스키 오크 루그 의 행정 수도였다 .
+
1850년대에 석유가 발견되고 1893년 철도가 놓이면서 크게 발전했다. 영국 기업들은 1893년부터 석유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영국 엔지니어 알프레드 스튜어트(Alfred Stuart)는 1893년 바쿠 지역 외곽 코카서스 지역에서 가장 큰 유전을 시추하여 그로즈니 최초의 유정을 완성했습니다 . [22] 1900년 이전에는 11개 회사가 116개의 유정을 시추했습니다. 이는 산업 및 석유화학 생산 의 급속한 발전을 촉진했습니다 . 도시 자체에서 석유를 시추하는 것 외에도 이 도시는 러시아 유전 네트워크의 지리적 중심지가 되었습니다. 1914년 초 당시 최대 석유 회사인 Royal Dutch Shell이 ​​도시에 설립되어 그로즈니를 코카서스 최대 산업 중심지 중 하나로 만들었습니다. . [23] 러시아 제국 시대에 이 도시는 테렉 주의 그로즈넨스키 오크 루그 의 행정 수도였습니다 .
  
[[러시아 혁명]] 후 소비에트 산악공화국이 세워졌다가 1922년 체첸 자치주의 주도가 되었는데, 이 무렵까진 주민 다수가 카자크계 러시아인이었다. 1934년 이웃 [[인구시]] 자치주와 합쳐져 [[체첸-인구시 자치주]]로 편제되었고, 2년 뒤 [[체첸-인구시 자치공화국]]으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나치에 대한 부역 혐의로 1944년 모든 체첸인이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되었고, 러시아인이 인구의 대부분인 그로즈니 주가 되었다. 1957년에야 체첸인의 복귀가 허가되고 자치공화국도 복구되었다.
+
러시아 혁명 후 소비에트 산악공화국이 세워졌다가 1922년 체첸 자치주의 주도가 되었는데, 이 무렵까진 주민 다수가 카자크계 러시아인이었다. 1934년 이웃 인구시 자치주와 합쳐져 체첸-인구시 자치주로 편제되었고, 2년 뒤 체첸-인구시 자치공화국으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나치에 대한 부역 혐의로 1944년 모든 체첸인이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되었고, 러시아인이 인구의 대부분인 그로즈니 주가 되었다. 1957년에야 체첸인의 복귀가 허가되고 자치공화국도 복구되었다.
  
소련 이 붕괴된 후 그로즈니는 [[조하르 두다예프]] (Dzhokhar Dudayev) 가 이끄는 분리주의 정부 의 소재지가 되었다 . 일부에 따르면 남아 있는 러시아인과 체첸인이 아닌 주민 중 다수가 도망치거나 무장세력 에 의해 추방 되었으며, 이는 새로운 당국으로부터 괴롭힘과 차별을 가중시켰다고 한다 .
+
소련 이 붕괴된 후 그로즈니는 조하르 두다예프 (Dzhokhar Dudayev) 가 이끄는 분리주의 정부 의 소재지가 되었습니다 . 일부에 따르면 남아 있는 러시아인과 체첸인이 아닌 주민 중 다수가 도망치거나 무장세력 에 의해 추방 되었으며, 이는 새로운 당국으로부터 괴롭힘 과 차별을 가중시켰다고 합니다 .
  
[[제1차 체첸 전쟁]] 동안 러시아군은 체첸의 수도 그로즈니를 포위한 뒤 1주일 간 폭격을 쏟아붓기 시작했다. 1994년 12월 31일 시도된 러시아군의 그로즈니 진입은 체첸 반군의 격렬한 반항으로 실패하였고 러시아 측은 1천명 이상의 사망자를 내며 사기가 크게 저하되었다. 계속되는 공습과 시가전으로 양측은 궤멸적인 피해를 냈으며, 러시아군은 언론에서 체첸이 민간인을 인간 방패로 사용하고 있다고 비난하였다. 1월 19일 결국 러시아군은 체첸 대통령궁을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 체첸 게릴라 부대는 1996년 3월 그로즈니 공격과 같은 게릴라 전술과 습격을 통해 러시아군을 괴롭히고 사기를 저하시켰으며, 이는 러시아군 철수에 대한 정치적, 대중적 압력을 가중시켰습니다. 전투는 최종 휴전 으로 끝났고 그로즈니는 다시 한번 체첸 분리주의자들의 손에 넘어갔습니다. 전쟁으로 체첸의 수도 그로즈니(Grozny)가 폐허가 된 것은 물론 수많은 군인과 민간인들이 사망했으며, 여기에 반군 측의 테러가 이어지면서 러시아도 많은 피해를 입었다. 이 같은 양상은 1995년 4월 말 [[두다예프]] 대통령이 러시아군 미사일에 폭사하고 [[젤렘한 얀다르비예프]] 대통령 체제가 들어서면서 반전의 계기를 맞았다. 특히 당시 알렉산데르 레베드 전 국가안보위 서기가 수차례 그로즈니를 방문, 어려운 평화협상의 물꼬를 텄다. 무엇보다 체첸의 독립 의지를 꺾지 못한 러시아는 결국 1996년 8월 평화협상을 맺게 되지만, 체첸의 분리독립 문제는 해결하지 못한 채 체첸의 국가적 지위에 대한 논의를 향후 5년간 동결했다.  
+
제1차 체첸 전쟁 동안 러시아군은 체첸의 수도 그로즈니를 포위한 뒤 1주일 간 "유럽에서 일어난 것 중 드레스덴 폭격" 이후 가장 격렬한 것으로 묘사된 폭격을 쏟아붓기 시작했다. 1994년 12월 31일 시도된 러시아군의 그로즈니 진입은 체첸 반군의 격렬한 반항으로 실패하였고 러시아 측은 1천명 이상의 사망자를 내며 사기가 크게 저하되었다. 계속되는 공습과 시가전으로 양측은 궤멸적인 피해를 냈으며, 러시아군은 언론에서 체첸이 민간인을 인간 방패로 사용하고 있다고 비난하였다. 1월 19일 결국 러시아군은 체첸 대통령궁을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 체첸 게릴라 부대는 1996년 3월 그로즈니 공격과 같은 게릴라 전술과 습격을 통해 러시아군을 괴롭히고 사기를 저하시켰으며, 이는 러시아군 철수에 대한 정치적, 대중적 압력을 가중시켰습니다. 전투는 최종 휴전 으로 끝났고 그로즈니는 다시 한번 체첸 분리주의자들의 손에 넘어갔습니다. 전쟁으로 체첸의 수도 그로즈니(Grozny)가 폐허가 된 것은 물론 수많은 군인과 민간인들이 사망했으며, 여기에 반군 측의 테러가 이어지면서 러시아도 많은 피해를 입었다. 이 같은 양상은 1995년 4월 말 두다예프 대통령이 러시아군 미사일에 폭사하고 젤렘한 얀다르비예프 대통령 체제가 들어서면서 반전의 계기를 맞았다.
  
평화 조약 이후 새롭게 구성된 체첸 정부는 구심점을 찾지 못하고 분열되어 있었다. 이 와중에 1999년 8월 7일, 샤밀 바사예프가 이끄는 와하비즘 이슬람교 원리주의 무장세력 1,000명을 이끌고 [[다게스탄 공화국]] 국경을 침범해 일부 마을을 점령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또 동시에 모스크바 아파트가 폭파되는 테러사건이 발생해 백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되었다. 9월 23일 러시아 정부는 체첸에 대한 전면 공습을 개시해 1차 체첸 전쟁의 종식 이후 최초로 체첸의 수도인 그로즈니의 TV 송신센터, 공항, 병원, 정유시설을 파괴하였다. 러시아군은 다게스탄 내 반군 소멸에 주력하던 중 모스크바 아파트 연쇄 폭탄 테러로 300여 명이 사망하면서 테러 배후로 체첸 반군을 지목하여 전면적인 공습 결정을 내리면서 평화조약은 무효로 돌아가게 되었다. [[러시아]]는 체첸 반군이 민족주의적인 세력과 이슬람 원리주의적인 세력으로 나뉘었음을 알고, 민족주의 세력을 앞세워 친러시아계 정부를 수립하였다. 이에 따라 체첸 반군 조직 또한 두 파로 분할되었다. 러시아군은 친러 성향의 체첸군의 도움을 받아 산악 지대를 점령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 [[2차 체첸 전쟁]]은 러시아군의 승리로 끝났다.
+
특히 당시 알렉산데르 레베드 전 국가안보위 서기가 수차례 그로즈니를 방문, 어려운 평화협상의 물꼬를 텄다. 무엇보다 체첸의 독립 의지를 꺾지 못한 러시아는 결국 1996년 8월 평화협상을 맺게 되지만, 체첸의 분리독립 문제는 해결하지 못한 채 체첸의 국가적 지위에 대한 논의를 향후 5년간 동결했다.  
  
전쟁후 체첸의 연방 정부 대표는 그로즈니에 기반을 두고 2003년부터 도시는 처음부터 다시 재건되었습니다. 2005년에 철도 연결이 복원되었고, 그로즈니 공항은 2007년에 다시 문을 열었으며 2009년 그로즈니 시는 전쟁으로 상처받은 도시를 변화시키고 수천 명에게 새로운 집을 제공한 공로로 UN 인간 정착 프로그램 의 영예를 얻었다.
+
평화 조약 이후 새롭게 구성된 체첸 정부는 구심점을 찾지 못하고 분열되어 있었다. 이 와중에 1999년 8월 7일, 샤밀 바사예프가 이끄는 와하비즘 이슬람교 원리주의 무장세력 1,000명을 이끌고 다게스탄 공화국 국경을 침범해 일부 마을을 점령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또 동시에 모스크바 아파트가 폭파되는 테러사건이 발생해 백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되었다. 9월 23일 러시아 정부는 체첸에 대한 전면 공습을 개시해 1차 체첸 전쟁의 종식 이후 최초로 체첸의 수도인 그로즈니의 TV 송신센터, 공항, 병원, 정유시설을 파괴하였다. 러시아군은 다게스탄 내 반군 소멸에 주력하던 중 모스크바 아파트 연쇄 폭탄 테러로 300여 명이 사망하면서 테러 배후로 체첸 반군을 지목하여 전면적인 공습 결정을 내리면서 평화조약은 무효로 돌아가게 되었다. 러시아는 체첸 반군이 민족주의적인 세력과 이슬람 원리주의적인 세력으로 나뉘었음을 알고, 민족주의 세력을 앞세워 친러시아계 정부를 수립하였다. 이에 따라 체첸 반군 조직 또한 두 파로 분할되었다. 러시아군은 친러 성향의 체첸군의 도움을 받아 산악 지대를 점령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 2차 체첸 전쟁은 러시아군의 승리로 끝났다.
 +
 
 +
전쟁후 체첸의 연방 정부 대표는 그로즈니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2003년부터 도시는 처음부터 다시 재건되었습니다. 2005년에 철도 연결이 복원되었고, 그로즈니 공항은 2007년에 다시 문을 열었으며 2009년 그로즈니 시는 전쟁으로 상처받은 도시를 변화시키고 수천 명에게 새로운 집을 제공한 공로로 UN 인간 정착 프로그램 의 영예를 얻었습니다.
 
   
 
   
 
== 지리 ==
 
== 지리 ==
32번째 줄: 34번째 줄:
  
 
그로즈니는 여름이 덥고 겨울이 추운 습한 대륙성 기후 ( Köppen Dfa )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로즈니는 여름이 덥고 겨울이 추운 습한 대륙성 기후 ( Köppen Dfa )를 가지고 있습니다
 +
 +
 +
===도시 구조===
 +
포드고리차의 건축양식은 복잡한 역사를 반영하듯 여러 양식이 혼재된 모습을 보인다. 포드고리차의 시가는 구시가와 신시가로 나뉘는데, 모라차강을 기준으로 남북으로 나뉜다. 북쪽이 신시가지이고, 남쪽이 구시가지이며, 구시가지가 포드고리차 도시의 중앙에 위치한다. 특히 구시가지의 일부분인 스타라 바로쉬(Stara Varos)와 드라치(Drac)가 전형적인 튀르키예식 형태를 띠고 있어 한 때 이 도시가 오스만 제국의 일부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곳엔 두 개의 모스크와 튀르키예식 시계탑이 있으며, 시가지의 길은 좁고 구불구불하다.
 +
 +
[[제2차 세계대전]] 중 폭격으로 인해 망가져버린 도시가 해방 후 재건되기 시작했는데, 이때 동부의 사회주의 국가들이 갖고 있는 전형적인 블록형 대규모 주거형태가 만들어졌다. 주요 도로도 이때 만들어졌으며, 도시 전체가 남서쪽으로 확장되면서 현재의 위치로 발전할 수 있었다.
 +
 +
포드고리차 건축은 1990년대 후반에 주요 발전을 시작했다. 포드고리차는 과거 사회주의 국가로서의 공간적 특성 갖는 반면, 독립 후 10년간 민주국가로서의 현대적 도시 공간으로 빠르게 재구성하려 했기 때문에 두 모습이 충돌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래서 몬테네그로는 단시간에 더 매력적인 도시 정체성 구축을 위해 대담한 전략을 해왔다. 특히 서구 국가를 모델로 도시 중앙 공간을 변화하는 방식을 택하면서 쇼핑몰과 서양식 대규모 복합 상점이 많이 지어지는 소위 ‘몰 붐(mall boom)’ 현상을 겪게 된다. 이로 인해 쇼핑몰 주변으로 새로운 주거지역이 생겼고, 상업, 주거, 엔터테이먼트가 집중되면서, 이곳 모라차강 서쪽으로 도시 중심이 이동하였다.
 +
 +
현대에는 트렌디한 현대적 수도를 건설하기 위해 주거시설과 비즈니스 건물이 빠른 속도로 지어지고 있으며, 도시 곳곳의 공공장소에도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아파트 형태의 높은 주거공간과 대형 쇼핑몰이 들어섰으며, 체티네의 성 피터 대로(St. Peter of Cetinje Boulevard)를 중심으로 도시의 모습이 점점 더 현대적으로 갖춰지고 있다. 도시의 랜드마크로는 신시가지 북쪽에 위치한 [[그리스도 부활 교회]](Saborni Hram Hristovog Vaskrsenja)와 모라차강의 밀레니엄다리가 있다. 그밖에 신시가지 서쪽의 로마 광장(Rimski trg), 모라차강에 위치한 블라조 요바노비치 다리(Blazo Jovanovic Bridge) 등이 유명하다.
  
 
== 경제 ==
 
== 경제 ==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