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임 프랙티컬 비잔틴 장애 허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leejia1222 (토론 | 기여) |
leejia1222 (토론 | 기여) (→사용)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 사용 == | == 사용 == | ||
+ | * '''네오''' | ||
[[파일:네오 글자.png|썸네일|300픽셀|'''[[네오]]'''(NEO) - 위임 프랙티컬 비잔틴 장애 허용(dPBFT)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 | [[파일:네오 글자.png|썸네일|300픽셀|'''[[네오]]'''(NEO) - 위임 프랙티컬 비잔틴 장애 허용(dPBFT)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 | ||
− | |||
: 네오(NEO)가 사용하는 '''[[위임 프랙티컬 비잔틴 장애 허용]]'''(dPBFT; delegated 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 [[합의 알고리즘]]은 네오 코인 소유자들로부터 위임을 받은 대리인들이 [[투표]]를 통해 합의에 대규모로 참여할 수 있게 하는 [[메커니즘]]이다. 간략히 '''위임 비잔틴 장애 허용'''(DBFT; Delegated Byzantine Fault Tolerance)라고도 한다. [[노드]]를 운영하는 [[북키퍼]]<!--북 키퍼-->(Book Keeper)의 60% 이상이 동의할 경우에만 합의가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먼저 네오 코인 사용자들은 투표를 통해서 대표자인 북키퍼를 선출한다. 위임 프랙티컬 비잔틴 장애 허용(dPBFT) 방식을 통해 선출된 북키퍼들은 [[블록]]을 검증할 때마다 [[랜덤]]으로 그 중에서 다시 블록 생성자(BP)들이 결정되고, 이 중 3분의 2 이상의 북키퍼들이 검증에 동의하여 합의가 이루어지면, 새로운 블록이 생성된다. | : 네오(NEO)가 사용하는 '''[[위임 프랙티컬 비잔틴 장애 허용]]'''(dPBFT; delegated 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 [[합의 알고리즘]]은 네오 코인 소유자들로부터 위임을 받은 대리인들이 [[투표]]를 통해 합의에 대규모로 참여할 수 있게 하는 [[메커니즘]]이다. 간략히 '''위임 비잔틴 장애 허용'''(DBFT; Delegated Byzantine Fault Tolerance)라고도 한다. [[노드]]를 운영하는 [[북키퍼]]<!--북 키퍼-->(Book Keeper)의 60% 이상이 동의할 경우에만 합의가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먼저 네오 코인 사용자들은 투표를 통해서 대표자인 북키퍼를 선출한다. 위임 프랙티컬 비잔틴 장애 허용(dPBFT) 방식을 통해 선출된 북키퍼들은 [[블록]]을 검증할 때마다 [[랜덤]]으로 그 중에서 다시 블록 생성자(BP)들이 결정되고, 이 중 3분의 2 이상의 북키퍼들이 검증에 동의하여 합의가 이루어지면, 새로운 블록이 생성된다. | ||
2019년 4월 10일 (수) 10:40 판
위임 프랙티컬 비잔틴 장애 허용(dPBFT; delegated PBFT; delegated 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은 기존의 프랙티컬 비잔틴 장애 허용(PBFT) 알고리즘에 북키퍼(bookkeeper) 개념을 추가한 합의 알고리즘이다. 간략히 위임 비잔틴 장애 허용(DBFT; Delegated Byzantine Fault Tolerance)이라고 한다. 중국의 이더리움으로 불리는 네오(NEO)가 이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사용
- 네오
- 네오(NEO)가 사용하는 위임 프랙티컬 비잔틴 장애 허용(dPBFT; delegated 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 합의 알고리즘은 네오 코인 소유자들로부터 위임을 받은 대리인들이 투표를 통해 합의에 대규모로 참여할 수 있게 하는 메커니즘이다. 간략히 위임 비잔틴 장애 허용(DBFT; Delegated Byzantine Fault Tolerance)라고도 한다. 노드를 운영하는 북키퍼(Book Keeper)의 60% 이상이 동의할 경우에만 합의가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먼저 네오 코인 사용자들은 투표를 통해서 대표자인 북키퍼를 선출한다. 위임 프랙티컬 비잔틴 장애 허용(dPBFT) 방식을 통해 선출된 북키퍼들은 블록을 검증할 때마다 랜덤으로 그 중에서 다시 블록 생성자(BP)들이 결정되고, 이 중 3분의 2 이상의 북키퍼들이 검증에 동의하여 합의가 이루어지면, 새로운 블록이 생성된다.
- 위임 비잔틴 장애 허용(DBFT) 방식을 통해 네오는 높은 효율성과 빠른 속도라는 장점을 취할 수 있다. 투표는 특정한 시간에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실시간으로 계속 진행된다. 위임 비잔틴 장애 허용(DBFT) 알고리즘에서는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는 데 약 15~20초 정도가 소요되며, 트랜잭션 처리량은 1초에 최대 1,000건까지 가능하다. 적절한 최적화를 통해 앞으로 네오는 10,000 TPS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대규모 상업용 디앱을 지원하려고 한다.
- 위임 비잔틴 장애 허용(DBFT) 알고리즘은 디지털 아이디 기술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북키퍼는 개인 또는 기관의 실명으로 활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법적 결정으로 인한 동결, 취소, 상속, 회수 및 소유권 이전이 가능하다. 이것은 네오 네트워크에서 컴플라이언스 금융 자산의 등록을 용이하게 한다. 즉, 네오는 디지털 아이디 등 법 규제를 준수하게끔 만드는 컴플라이언스 솔루션을 갖추고 있어, 실물 자산을 블록체인에 등록하고 거래하기 적합하다.[1] 네오에 대해 자세히 보기
각주
- ↑ "NEO White Paper - A distributed network for the Smart Economy", NEO Documentation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