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17"의 두 판 사이의 차이
leejia1222 (토론 | 기여) |
leejia1222 (토론 | 기여)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X17'''은 [[X11]] 기반의 [[채굴]] [[알고리즘]]이다. X11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에이식]](ASIC) [[채굴자]]들의 [[암호화폐]] 채굴에 대한 내성을 높이기 위해 17개의 서로 다른 [[해시 함수]]들로 구성되어 | + | '''X17'''은 [[X11]] 기반의 [[채굴]] [[알고리즘]]이다. X11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에이식]](ASIC) [[채굴자]]들의 [[암호화폐]] 채굴에 대한 내성을 높이기 위해 17개의 서로 다른 [[해시 함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CPU]] 및 [[GPU]] 채굴이 모두 가능하다. |
== 개요 == | == 개요 == | ||
− | 2014년, [[대시]](Dash)의 [[에반 더필드]](Evan Duffield)는 에이식 채굴자들의 사용을 막기 위해 11가지의 해시 알고리즘을 하나로 묶어서 X11이라는 [[SHA-256]]보다 훨씬 복잡한 알고리즘을 만들었다. 하지만 에이식과 [[FPGA]] 모두 | + | 2014년, [[대시]](Dash)의 [[에반 더필드]](Evan Duffield)는 에이식 채굴자들의 사용을 막기 위해 11가지의 해시 알고리즘을 하나로 묶어서 X11이라는 [[SHA-256]]보다 훨씬 복잡한 알고리즘을 만들었다. 하지만 에이식과 [[FPGA]] 모두 [[X11]]을 채굴할 수 있게 하게 되었고, 이를 막기 위해 [[X13]], [[X14]] 및 [[X15]]가 나오게 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에이식은 이러한 모든 알고리즘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현재 에이식에 저항을 가지고 있는 유일한 알고리즘은 X17이다. X17 알고리즘을 적용한 코인으로는 [[버지]](Verge), [[실드코인]](ShiledCoin) 등이 있다. |
== 구성 == | == 구성 == | ||
− | |||
X17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은 17가지의 해시 알고리즘으로 구성되어있다 : | X17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은 17가지의 해시 알고리즘으로 구성되어있다 : | ||
19번째 줄: | 18번째 줄: | ||
# [[SIMD]] : 머클-담골(Merkle-Damgård)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해시 함수이다. | # [[SIMD]] : 머클-담골(Merkle-Damgård)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해시 함수이다. | ||
# [[에코]](ECHO) : [[오렌지랩스]](Orange Labs)에 의해 개발된 해시 함수이다. | # [[에코]](ECHO) : [[오렌지랩스]](Orange Labs)에 의해 개발된 해시 함수이다. | ||
− | # [[함시]](Hamsi) : | + | # [[함시]](Hamsi) : [[그뢴달 알고리즘]](grindahl algorithm)과 [[서펜트 알고리즘]](serpent algorithm)을 기반으로 하는 암호화 해시 함수이다. |
# [[퓨가]](Fugue) : Grindahl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해시 함수로 서로 다른 출력 길이에 대해 Fugue-256, Fugue-384, Fugue-512가 있다. | # [[퓨가]](Fugue) : Grindahl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해시 함수로 서로 다른 출력 길이에 대해 Fugue-256, Fugue-384, Fugue-512가 있다. | ||
− | # [[샤발]](Shabal) : 프랑스가 투자 한 연구 프로젝트인 | + | # [[샤발]](Shabal) : 프랑스가 투자 한 연구 프로젝트인 사피르(Saphir)에서 미국 ㅔㅔ표준기술연구소[[(NIST) 국제 경쟁에 제출한 암호화 해시 함수이다. |
− | # [[와일풀]](Whirlpool) : 2000년에 빈센트 리즈먼(Vincent Rijmen)과 파울로 S.L.M. 바레토(Paulo S.L.M. Barreto)가 설계한 암호 해시 함수이다. | + | # [[와일풀]](Whirlpool) : 2000년에 [[빈센트 리즈먼]](Vincent Rijmen)과 [[파울로 S.L.M. 바레토]](Paulo S.L.M. Barreto)가 설계한 암호 해시 함수이다. |
# [[Loselose]] : 극도의 단순함을 장점으로 가지고 있는 해시 함수이다. | # [[Loselose]] : 극도의 단순함을 장점으로 가지고 있는 해시 함수이다. | ||
# [[Djb2]] : 수년 전 [[다니엘 J. 번스타인]](Daniel J. Bernstein)에 의해 comp.lang.c에서 처음 보고된 알고리즘이다. | # [[Djb2]] : 수년 전 [[다니엘 J. 번스타인]](Daniel J. Bernstein)에 의해 comp.lang.c에서 처음 보고된 알고리즘이다. | ||
+ | |||
+ | == X계열 알고리즘 비교 == | ||
+ | |||
+ | {| class="wikitable" width=750 style="color:balck; 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F8F9FA;" | ||
+ | |||
+ | |- | ||
+ | !| [[X11]] | ||
+ | !| [[X12]] | ||
+ | !| [[X13]] | ||
+ | !| [[X14]] | ||
+ | !| [[X15]] | ||
+ | !| [[X17]] | ||
+ | |- | ||
+ | |blake | ||
+ | |blake | ||
+ | |blake | ||
+ | |blake | ||
+ | |blake | ||
+ | |blake | ||
+ | |- | ||
+ | |bmw | ||
+ | |bmw | ||
+ | |bmw | ||
+ | |bmw | ||
+ | |bmw | ||
+ | |bmw | ||
+ | |- | ||
+ | |groestl | ||
+ | |groestl | ||
+ | |groestl | ||
+ | |groestl | ||
+ | |groestl | ||
+ | |groestl | ||
+ | |- | ||
+ | |jh | ||
+ | |jh | ||
+ | |jh | ||
+ | |jh | ||
+ | |jh | ||
+ | |jh | ||
+ | |- | ||
+ | |keccak | ||
+ | |keccak | ||
+ | |keccak | ||
+ | |keccak | ||
+ | |keccak | ||
+ | |keccak | ||
+ | |- | ||
+ | |skein | ||
+ | |skein | ||
+ | |skein | ||
+ | |skein | ||
+ | |skein | ||
+ | |skein | ||
+ | |- | ||
+ | |luffa | ||
+ | |luffa | ||
+ | |luffa | ||
+ | |luffa | ||
+ | |luffa | ||
+ | |luffa | ||
+ | |- | ||
+ | |cubehash | ||
+ | |cubehash | ||
+ | |cubehash | ||
+ | |cubehash | ||
+ | |cubehash | ||
+ | |cubehash | ||
+ | |- | ||
+ | |shavite | ||
+ | |shavite | ||
+ | |shavite | ||
+ | |shavite | ||
+ | |shavite | ||
+ | |shavite | ||
+ | |- | ||
+ | |simd | ||
+ | |simd | ||
+ | |simd | ||
+ | |simd | ||
+ | |simd | ||
+ | |simd | ||
+ | |- | ||
+ | |echo | ||
+ | |echo | ||
+ | |echo | ||
+ | |echo | ||
+ | |echo | ||
+ | |echo | ||
+ | |- | ||
+ | | | ||
+ | | ocean? | ||
+ | |hamsi | ||
+ | |hamsi | ||
+ | |hamsi | ||
+ | |hamsi | ||
+ | |- | ||
+ | | | ||
+ | | | ||
+ | |fugue | ||
+ | |fugue | ||
+ | |fugue | ||
+ | |fugue | ||
+ | |- | ||
+ | | | ||
+ | | | ||
+ | | | ||
+ | |shabal | ||
+ | |shabal | ||
+ | |shaba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whirlpool | ||
+ | |whirlpoo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oselos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djb2<ref> GFI코리아,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oftmate1&logNo=220297048489&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스크립트 채굴과 비트코인 채굴: 채굴자를 위한 완전정복]〉, 《네이버 블로그》, 2015-03-11</ref> | ||
+ | |- | ||
+ | |} | ||
== 활용 == | == 활용 == | ||
− | |||
=== 버지 === | === 버지 === | ||
+ | [[버지]](Verge)는 완전한 [[익명성]]을 보장하는 [[프라이버시 코인]] 계열의 [[암호화폐]]이다. 버지는 멀티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다양한 채굴 장비를 보유한 사람들이 코인 채굴에 동등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스크립트]](Scrypt), X17, [[그로스톨]](Grøstl), [[블레이크]](blake2s), [[lyra2rev2]] 5개의 멀티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다양한 [[마이닝풀]]에서 채굴을 진행하고 있다. 알고리즘과 마이닝풀이 다양해져서 [[노드]]의 협의 과정이 복잡해질수록 [[해킹]]은 더욱 어려워지기 때문에 한 곳에서 채굴하지 않고 [[분산화]]한 것은 보안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멀티 알고리즘을 지원하여 보안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채굴자들에게 동등한 분배를 추구한다. {{자세히|버지}} | ||
− | [[ | + | === 실드코인 === |
+ | [[실드코인]](ShieldCoin)은 [[보안성]], [[익명성]], [[확장성]]에 초점을 둔 디지털 화폐를 목표로 개발되고 있는 코인으로, 2017년 10월 3일에 런칭되었다. 스크립트, X17, 그로스톨, 블레이크, lyra2rev2 해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여 첫 해에는 [[작업증명]](PoW) 방식으로 채굴되다가 그 이후 [[지분증명]](PoS)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시가 총액은 2017년 12월 2일 기준 49억원으로, 364위에 랭크되어 있다. 총 발행량은 6억 6천만 개 중에 현재 약 4억 6,381만개가 유통되었다. | ||
− | === | + | == 채굴 해시값 == |
+ | {| class="wikitable" width=750 style="color:balck; 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F8F9FA;" | ||
− | [[ | + | |- |
+ | !| [[그래픽카드]] | ||
+ | !| 채굴 버전 | ||
+ | !| [[해시레이트]] | ||
+ | !| [[운영체제]] | ||
+ | |- | ||
+ | |TITAN V | ||
+ | | ccminer/2.2.4 | ||
+ | | 22.29 MH | ||
+ | | win64 | ||
+ | |- | ||
+ | |MSI GTX 1080Ti Gaming X | ||
+ | | ccminer/alexis-1.1_palginmod | ||
+ | | 19.986 MH | ||
+ | | win64 | ||
+ | |- | ||
+ | |Zotac GTX 1080Ti Extreme | ||
+ | | ccminer/alexis-1.0 | ||
+ | | 19.891 MH | ||
+ | | win64 | ||
+ | |- | ||
+ | |Colorful GTX 1080Ti | ||
+ | | ccminer/alexis-1.0 | ||
+ | | 19.678 MH | ||
+ | |win64 | ||
+ | |- | ||
+ | |EVGA GTX 1080Ti SC2 Hybrid | ||
+ | | ccminer/alexis-1.0 | ||
+ | | 19.376 MH | ||
+ | | win64 | ||
+ | |- | ||
+ | |EVGA GTX 1080Ti FTW3 | ||
+ | | ccminer/alexis-1.0 | ||
+ | | 19.373 MH | ||
+ | | win64 | ||
+ | |- | ||
+ | |ASUS GTX 1080Ti | ||
+ | | ccminer/alexis-1.1_palginmod | ||
+ | | 19.351 MH | ||
+ | | win64 | ||
+ | |- | ||
+ | |MSI GTX 1080Ti | ||
+ | | ccminer/alexis-1.0 | ||
+ | | 19.326 MH | ||
+ | | win64 | ||
+ | |- | ||
+ | |MSI GTX 1080Ti Gaming X | ||
+ | | ccminer/alexis-1.0 | ||
+ | | 19.03 MH | ||
+ | | win64 | ||
+ | |- | ||
+ | |Gigabyte GTX 1080Ti Aorus | ||
+ | |ccminer/alexis-1.0 | ||
+ | | 18.67 MH | ||
+ | | win64<ref> 〈[https://en.bitcoinwiki.org/wiki/X17 X17]〉, 《비트코인위키》 </ref> | ||
+ | |- | ||
+ | |} | ||
+ | *2018년 10월 12일 기준 | ||
+ | {{각주}} | ||
== 참고자료 == | == 참고자료 == | ||
* 비트코인위키 - https://en.bitcoinwiki.org/wiki/X17 | * 비트코인위키 - https://en.bitcoinwiki.org/wiki/X17 | ||
+ | *GFI코리아,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oftmate1&logNo=220297048489&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스크립트 채굴과 비트코인 채굴: 채굴자를 위한 완전정복]〉, 《네이버 블로그》, 2015-03-11 | ||
+ | == 같이보기 == | ||
+ | * [[X11]] | ||
+ | * [[X13]] | ||
+ | * [[X14]] | ||
+ | * [[X15]] | ||
+ | * [[X16R]] | ||
{{알고리즘|검토 필요}} | {{알고리즘|검토 필요}} |
2019년 8월 13일 (화) 09:58 기준 최신판
X17은 X11 기반의 채굴 알고리즘이다. X11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에이식(ASIC) 채굴자들의 암호화폐 채굴에 대한 내성을 높이기 위해 17개의 서로 다른 해시 함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CPU 및 GPU 채굴이 모두 가능하다.
개요[편집]
2014년, 대시(Dash)의 에반 더필드(Evan Duffield)는 에이식 채굴자들의 사용을 막기 위해 11가지의 해시 알고리즘을 하나로 묶어서 X11이라는 SHA-256보다 훨씬 복잡한 알고리즘을 만들었다. 하지만 에이식과 FPGA 모두 X11을 채굴할 수 있게 하게 되었고, 이를 막기 위해 X13, X14 및 X15가 나오게 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에이식은 이러한 모든 알고리즘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현재 에이식에 저항을 가지고 있는 유일한 알고리즘은 X17이다. X17 알고리즘을 적용한 코인으로는 버지(Verge), 실드코인(ShiledCoin) 등이 있다.
구성[편집]
X17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은 17가지의 해시 알고리즘으로 구성되어있다 :
- 블레이크(Blake) : 다니엘 J. 번스타인(Daniel J. Bernstein)의 스크립트 차차(scrypt-chacha) 스트림 암호를 기반으로하는 암호화 해시 함수이다.
- 블루 미드나이트 위시(Blue Midnight Wish) : 16라운드의 블록 암호를 사용하는 압축 함수이다.
- 그로스톨(Groestl) : AES 알고리즘을 일부 차용한 해시 함수이다.
- JH : 우홍준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JH-224, JH-256, JH-384, JH-512의 4가지 해시 알고리즘을 가지고 있다.
- 키캑(Keccak) : NIST 공모를 통해 SHA-3 해시 알고리즘으로 최종 선정된 해시 알고리즘이다.
- 스케인(Skein) : 256, 512, 1024비트의 내부 상태 크기와 임의 출력 크기를 지원하는 암호화 해시 함수이다.
- 루파(Luffa) : 스펀지 함수의 변형으로, 메인 프레임의 무작위성을 기반으로 한 알고리즘이다.
- 큐브 해시(cube hash) : ARX를 기반으로 한 암호화 해시 함수이다.
- SHAvite-3 : HAIFA 구축 및 AES 빌딩 블록을 기반으로 한 해시 함수이다.
- SIMD : 머클-담골(Merkle-Damgård)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해시 함수이다.
- 에코(ECHO) : 오렌지랩스(Orange Labs)에 의해 개발된 해시 함수이다.
- 함시(Hamsi) : 그뢴달 알고리즘(grindahl algorithm)과 서펜트 알고리즘(serpent algorithm)을 기반으로 하는 암호화 해시 함수이다.
- 퓨가(Fugue) : Grindahl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해시 함수로 서로 다른 출력 길이에 대해 Fugue-256, Fugue-384, Fugue-512가 있다.
- 샤발(Shabal) : 프랑스가 투자 한 연구 프로젝트인 사피르(Saphir)에서 미국 ㅔㅔ표준기술연구소[[(NIST) 국제 경쟁에 제출한 암호화 해시 함수이다.
- 와일풀(Whirlpool) : 2000년에 빈센트 리즈먼(Vincent Rijmen)과 파울로 S.L.M. 바레토(Paulo S.L.M. Barreto)가 설계한 암호 해시 함수이다.
- Loselose : 극도의 단순함을 장점으로 가지고 있는 해시 함수이다.
- Djb2 : 수년 전 다니엘 J. 번스타인(Daniel J. Bernstein)에 의해 comp.lang.c에서 처음 보고된 알고리즘이다.
X계열 알고리즘 비교[편집]
X11 | X12 | X13 | X14 | X15 | X17 |
---|---|---|---|---|---|
blake | blake | blake | blake | blake | blake |
bmw | bmw | bmw | bmw | bmw | bmw |
groestl | groestl | groestl | groestl | groestl | groestl |
jh | jh | jh | jh | jh | jh |
keccak | keccak | keccak | keccak | keccak | keccak |
skein | skein | skein | skein | skein | skein |
luffa | luffa | luffa | luffa | luffa | luffa |
cubehash | cubehash | cubehash | cubehash | cubehash | cubehash |
shavite | shavite | shavite | shavite | shavite | shavite |
simd | simd | simd | simd | simd | simd |
echo | echo | echo | echo | echo | echo |
ocean? | hamsi | hamsi | hamsi | hamsi | |
fugue | fugue | fugue | fugue | ||
shabal | shabal | shabal | |||
whirlpool | whirlpool | ||||
loselose | |||||
djb2[1] |
활용[편집]
버지[편집]
버지(Verge)는 완전한 익명성을 보장하는 프라이버시 코인 계열의 암호화폐이다. 버지는 멀티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다양한 채굴 장비를 보유한 사람들이 코인 채굴에 동등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스크립트(Scrypt), X17, 그로스톨(Grøstl), 블레이크(blake2s), lyra2rev2 5개의 멀티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다양한 마이닝풀에서 채굴을 진행하고 있다. 알고리즘과 마이닝풀이 다양해져서 노드의 협의 과정이 복잡해질수록 해킹은 더욱 어려워지기 때문에 한 곳에서 채굴하지 않고 분산화한 것은 보안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멀티 알고리즘을 지원하여 보안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채굴자들에게 동등한 분배를 추구한다. 버지에 대해 자세히 보기
실드코인[편집]
실드코인(ShieldCoin)은 보안성, 익명성, 확장성에 초점을 둔 디지털 화폐를 목표로 개발되고 있는 코인으로, 2017년 10월 3일에 런칭되었다. 스크립트, X17, 그로스톨, 블레이크, lyra2rev2 해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여 첫 해에는 작업증명(PoW) 방식으로 채굴되다가 그 이후 지분증명(PoS)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시가 총액은 2017년 12월 2일 기준 49억원으로, 364위에 랭크되어 있다. 총 발행량은 6억 6천만 개 중에 현재 약 4억 6,381만개가 유통되었다.
채굴 해시값[편집]
그래픽카드 | 채굴 버전 | 해시레이트 | 운영체제 |
---|---|---|---|
TITAN V | ccminer/2.2.4 | 22.29 MH | win64 |
MSI GTX 1080Ti Gaming X | ccminer/alexis-1.1_palginmod | 19.986 MH | win64 |
Zotac GTX 1080Ti Extreme | ccminer/alexis-1.0 | 19.891 MH | win64 |
Colorful GTX 1080Ti | ccminer/alexis-1.0 | 19.678 MH | win64 |
EVGA GTX 1080Ti SC2 Hybrid | ccminer/alexis-1.0 | 19.376 MH | win64 |
EVGA GTX 1080Ti FTW3 | ccminer/alexis-1.0 | 19.373 MH | win64 |
ASUS GTX 1080Ti | ccminer/alexis-1.1_palginmod | 19.351 MH | win64 |
MSI GTX 1080Ti | ccminer/alexis-1.0 | 19.326 MH | win64 |
MSI GTX 1080Ti Gaming X | ccminer/alexis-1.0 | 19.03 MH | win64 |
Gigabyte GTX 1080Ti Aorus | ccminer/alexis-1.0 | 18.67 MH | win64[2] |
- 2018년 10월 12일 기준
각주[편집]
- ↑ GFI코리아, 〈스크립트 채굴과 비트코인 채굴: 채굴자를 위한 완전정복〉, 《네이버 블로그》, 2015-03-11
- ↑ 〈X17〉, 《비트코인위키》
참고자료[편집]
- 비트코인위키 - https://en.bitcoinwiki.org/wiki/X17
- GFI코리아, 〈스크립트 채굴과 비트코인 채굴: 채굴자를 위한 완전정복〉, 《네이버 블로그》, 2015-03-11
같이보기[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