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블릭 블록체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블록체인#퍼블릭 블록체인 문서로 넘겨주기)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이란 누구든지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말한다. '''공공 블록체인''' 또는 '''개방형 블록체인'''이라고 한다. 권위 있는 조직의 승인이 없이 누구든지 인터넷에 연결된 PC, 노트북, 스마트폰, 서버컴퓨터, [[채굴기]] 등 다양한 컴퓨터 장비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다. | |
+ | |||
+ | == 특징 == | ||
+ | |||
+ |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개별 컴퓨터를 [[노드]](node)라고 부르는데, 각 노드들은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를 복사하여 저장하고, 해시 연산을 통해 새로운 블록의 생성에 참여할 수 있다. 또한 각 노드들은 언제든지 자신의 컴퓨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하지 않고 접속을 차단함으로써 자유롭게 탈퇴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 또는 탈퇴하는 것은 권위 있는 조직의 승인이 필요 없이, 전적으로 해당 노드 참여자의 자유로운 의사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 ||
+ | |||
+ | == 보상 == | ||
+ | |||
+ | 퍼블릭 블록체인의 경우 참여자들의 컴퓨터 사용에 따른 전기료 등 운영 비용을 감당할 수 있도록, [[암호화폐]]를 발행하여 보상한다. 퍼블릭 블록체인 참여자들은 새로운 블록이 생성될 때마다 발행되는 암호화폐를 지급 받음으로써, 컴퓨터 감가상각비, 전기료, 공간사용료, 인건비 등 각종 비용을 보상 받을 수 있다. 퍼블릭 블록체인 운영에 참가한 사람들은 지급받은 암호화폐를 실생활에서 사용하거나 혹은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판매함으로써 참여 비용을 회수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퍼블릭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는 서로 분리할 수 없는 일체형 구조로 되어 있다. 만약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암호화폐를 지급하지 않는다면,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받을 수 있는 경제적 보상이 없기 때문에 소수의 헌신적인 기여자들을 제외하고는 참여자가 없게 되어, 최악의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붕괴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암호화폐를 발행하는 것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유지하기 위한 필수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모네로]] 등 대부분의 암호화폐는 퍼블릭 블록체인 방식으로 운영된다. | ||
+ | |||
+ | == 문제점 == | ||
+ | |||
+ | 중국 최초의 [[암호화폐]]인 [[네오]](NEO)를 창시한 [[다 홍페이]](Da Hongfei)는 퍼블릭 블록체인이 당면한 문제점을 8대 과제로 정리했다.<ref>방은주 기자,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721151549 네오 CEO "블록체인은 인터넷 이상 기술"]〉, 《지디넷코리아》, 2018-07-21</ref> | ||
+ | |||
+ | * '''확장성 제한'''(limited scalability) : | ||
+ | * '''제한된 프라이버시'''(limited privacy) : | ||
+ | * '''계약 검증 취약'''(lack of formal contract verification) : | ||
+ | * '''저장 제약'''(storage constrains) : | ||
+ | * '''지속적이지 않은 합의 메커니즘'''(unsustainable consensus mechanism) : | ||
+ | * '''거버넌스 및 표준 취약'''(lack of government and standard) : | ||
+ | * '''부적절한 툴'''(inadequable tooling) : | ||
+ | * '''퀀텀 컴퓨팅 위협'''(quantum computing threat) : | ||
+ | |||
+ | {{각주}} | ||
+ | |||
+ | == 참고자료 == | ||
+ | * 방은주 기자,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721151549 네오 CEO "블록체인은 인터넷 이상 기술"]〉, 《지디넷코리아》, 2018-07-21 | ||
+ | |||
+ | == 같이 보기 == | ||
+ | * [[블록체인]] | ||
+ | * [[프라이빗 블록체인]] | ||
+ | |||
+ | [[분류:블록체인]] |
2018년 7월 23일 (월) 11:46 판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이란 누구든지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말한다. 공공 블록체인 또는 개방형 블록체인이라고 한다. 권위 있는 조직의 승인이 없이 누구든지 인터넷에 연결된 PC, 노트북, 스마트폰, 서버컴퓨터, 채굴기 등 다양한 컴퓨터 장비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다.
특징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개별 컴퓨터를 노드(node)라고 부르는데, 각 노드들은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를 복사하여 저장하고, 해시 연산을 통해 새로운 블록의 생성에 참여할 수 있다. 또한 각 노드들은 언제든지 자신의 컴퓨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하지 않고 접속을 차단함으로써 자유롭게 탈퇴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 또는 탈퇴하는 것은 권위 있는 조직의 승인이 필요 없이, 전적으로 해당 노드 참여자의 자유로운 의사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보상
퍼블릭 블록체인의 경우 참여자들의 컴퓨터 사용에 따른 전기료 등 운영 비용을 감당할 수 있도록, 암호화폐를 발행하여 보상한다. 퍼블릭 블록체인 참여자들은 새로운 블록이 생성될 때마다 발행되는 암호화폐를 지급 받음으로써, 컴퓨터 감가상각비, 전기료, 공간사용료, 인건비 등 각종 비용을 보상 받을 수 있다. 퍼블릭 블록체인 운영에 참가한 사람들은 지급받은 암호화폐를 실생활에서 사용하거나 혹은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판매함으로써 참여 비용을 회수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퍼블릭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는 서로 분리할 수 없는 일체형 구조로 되어 있다. 만약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암호화폐를 지급하지 않는다면,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받을 수 있는 경제적 보상이 없기 때문에 소수의 헌신적인 기여자들을 제외하고는 참여자가 없게 되어, 최악의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붕괴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암호화폐를 발행하는 것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유지하기 위한 필수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모네로 등 대부분의 암호화폐는 퍼블릭 블록체인 방식으로 운영된다.
문제점
중국 최초의 암호화폐인 네오(NEO)를 창시한 다 홍페이(Da Hongfei)는 퍼블릭 블록체인이 당면한 문제점을 8대 과제로 정리했다.[1]
- 확장성 제한(limited scalability) :
- 제한된 프라이버시(limited privacy) :
- 계약 검증 취약(lack of formal contract verification) :
- 저장 제약(storage constrains) :
- 지속적이지 않은 합의 메커니즘(unsustainable consensus mechanism) :
- 거버넌스 및 표준 취약(lack of government and standard) :
- 부적절한 툴(inadequable tooling) :
- 퀀텀 컴퓨팅 위협(quantum computing threat) :
각주
- ↑ 방은주 기자, 〈네오 CEO "블록체인은 인터넷 이상 기술"〉, 《지디넷코리아》, 2018-07-21
참고자료
- 방은주 기자, 〈네오 CEO "블록체인은 인터넷 이상 기술"〉, 《지디넷코리아》, 2018-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