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공유기'''란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여, 그 위치에 대한 최적의 경로를 지정하며, 이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로 전향시키는...)
 
(기능과 역할)
5번째 줄: 5번째 줄:
  
 
== 기능과 역할 ==
 
== 기능과 역할 ==
인터넷 공유기는 정확히 말하면 ‘인터넷 IP 주소 공유기’이다. 즉, 하나의 IP 주소를 여러 대의 컴퓨터가 공유해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각 컴퓨터가 고유의 IP 주소를 갖고 있어야 한다). 원칙적으로는 인터넷에 연결하려는 컴퓨터 수만큼 인터넷 서비스 업체(KT, SKT, LGU+ 등)로부터 IP 주소를 추가 발급(비용 발생) 받아야 한다. 이 때문에 이들 업체 입장에서 보면 공유기 때문에IP 주소 판매 수익이 줄어드니 달가울 게 없지만, ‘1가구 2PC 시대’, ‘4,000만 스마트폰 사용자 시대’로 접어들면서 공유기는 이미 대세가 된 상태다. 앞서 언급했듯이 공유기는 하나의 인터넷 라인, 즉 하나의 IP 주소로 여러 대의 컴퓨터를 인터넷에 연결하도록 한다. 전기 멀티 탭을 떠올리면 이해가 쉽다. 다시 말해, 인터넷 서비스 업체로부터 할당된 IP 주소(공인 IP 주소)를 공유기에 설정하고 그 공유기에 각 컴퓨터를 연결하면, 각각의 컴퓨터에 고유한 IP 주소(가상 IP 주소 혹은 사설 IP주소)가 자동 할당됨으로써 각 컴퓨터가 동시에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공유기는 공인 IP 주소를 가상 IP 주소(인터넷→공유기→컴퓨터)로, 또는 그 반대로(컴퓨터→공유기→인터넷) 변환해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네트워크 용어로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네트워크 주소 변환)’라 한다. 네트워크 IP 주소를 상황에 따라 공인, 가상 형태로 변환한다는 의미다. 그래서 공유기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각 컴퓨터의 IP 주소를 확인해 보면, 대부분 192.168.xxx.xxx와 같은 가상IP 주소 형식이 적용된다. 이 가상 IP 주소는 공유기가 설치된 그 환경에서만 통용되는 주소다. 예를 들어 A 공유기에 연결한 컴퓨터의 IP 주소가 192.168.0.10이라면, B 공유기의 컴퓨터에도 동일한 주소가 존재할 수 있다.<ref name="지식백과"></ref>
+
인터넷 공유기는 정확히 말하면 ‘인터넷 IP 주소 공유기’이다. 즉, 하나의 IP 주소를 여러 대의 컴퓨터가 공유해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각 컴퓨터가 고유의 IP 주소를 갖고 있어야 한다. 원칙적으로는 인터넷에 연결하려는 컴퓨터 수만큼 인터넷 서비스 업체(KT, SKT, LGU+ 등)로부터 IP 주소를 비용을 지불하여 추가 발급을 받아야 한다. 이 때문에 이들 업체 입장에서 보면 공유기 때문에IP 주소 판매 수익이 줄어드니 달가울 게 없지만, '1가구 2PC 시대’, ‘4,000만 스마트폰 사용자 시대’로 접어들면서 공유기는 이미 대세가 된 상태다. 앞서 언급했듯이 공유기는 하나의 인터넷 라인, 즉 하나의 IP 주소로 여러 대의 컴퓨터를 인터넷에 연결하도록 한다. 전기 멀티 탭을 떠올리면 이해가 쉽다. 다시 말해, 인터넷 서비스 업체로부터 할당된 IP 주소(공인 IP 주소)를 공유기에 설정하고 그 공유기에 각 컴퓨터를 연결하면, 각각의 컴퓨터에 고유한 IP 주소(가상 IP 주소 혹은 사설 IP주소)가 자동 할당됨으로써 각 컴퓨터가 동시에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공유기는 공인 IP 주소를 가상 IP 주소(인터넷→공유기→컴퓨터)로, 또는 그 반대로(컴퓨터→공유기→인터넷) 변환해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네트워크 용어로 ‘네트워크 주소 변환(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이라 한다. 네트워크 IP 주소를 상황에 따라 공인, 가상 형태로 변환한다는 의미다. 그래서 공유기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각 컴퓨터의 IP 주소를 확인해 보면, 대부분 192.168.xxx.xxx와 같은 가상IP 주소 형식이 적용된다. 이 가상 IP 주소는 공유기가 설치된 그 환경에서만 통용되는 주소다. 예를 들어 A 공유기에 연결한 컴퓨터의 IP 주소가 192.168.0.10이라면, B 공유기의 컴퓨터에도 동일한 주소가 존재할 수 있다. 공유기는 또한, 위와 같은 NAT 기능 이외에 네트워크 라인을 분배해주는 허브나 스위치와 같은 분배기 역할도 담당한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유무선 공유기의 경우 무선 랜(와이파이)까지 사용할 수 있어 노트북이나 스마트폰 활용 시 매우 편리하다. 이에 요즘은 유무선 공유기가 대부분이라 유선만 지원하는 공유기는 거의 없다. 무선 랜은 유선 랜과 비교해 케이블이 필요 없다는 것과 전송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다는 차이가 있다.<ref name="지식백과"></ref>

2021년 8월 17일 (화) 17:06 판

공유기란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여, 그 위치에 대한 최적의 경로를 지정하며, 이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로 전향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이때 최적의 경로는 일반적으로는 가장 빠르게 통신이 가능한 경로이므로, 이것이 최단 거리 일수도 있지만, 돌아가는 경로라도 고속의 전송로를 통하여 전달이 되는 경로가 될 수 있다. 간단히 말해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중계 역할을 해준다는 것이다.[1]

개요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가 4,000만 명을 넘어서며 무선 인터넷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했다. 또한, 스마트폰/태블릿PC로 인해 한동안 주춤했던 노트북 판매도 다시 살아나기 시작하면서 사무실은 물론 일반 가정에서도 무선 인터넷이 반드시 필요한 때가 됐다.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이러한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기가 바로 ‘유무선 인터넷공유기(이하 공유기)’다. 또는 AP라 부르기도 하는데, ‘Access Point’의 약자로, 공유기가 무선 랜 연결(access)을 위한 거점(point) 역할도 같이 하기 때문이다. 공유기는 사무실 또는 집으로 들어오는 인터넷 라인에 연결하여 무선 신호로 송출하면서, 여러 대의 컴퓨터가 하나의 인터넷 라인을 공유해 동시에 인터넷 접근이 가능케 하는 네트워크 기기다.[2]

기능과 역할

인터넷 공유기는 정확히 말하면 ‘인터넷 IP 주소 공유기’이다. 즉, 하나의 IP 주소를 여러 대의 컴퓨터가 공유해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각 컴퓨터가 고유의 IP 주소를 갖고 있어야 한다. 원칙적으로는 인터넷에 연결하려는 컴퓨터 수만큼 인터넷 서비스 업체(KT, SKT, LGU+ 등)로부터 IP 주소를 비용을 지불하여 추가 발급을 받아야 한다. 이 때문에 이들 업체 입장에서 보면 공유기 때문에IP 주소 판매 수익이 줄어드니 달가울 게 없지만, '1가구 2PC 시대’, ‘4,000만 스마트폰 사용자 시대’로 접어들면서 공유기는 이미 대세가 된 상태다. 앞서 언급했듯이 공유기는 하나의 인터넷 라인, 즉 하나의 IP 주소로 여러 대의 컴퓨터를 인터넷에 연결하도록 한다. 전기 멀티 탭을 떠올리면 이해가 쉽다. 다시 말해, 인터넷 서비스 업체로부터 할당된 IP 주소(공인 IP 주소)를 공유기에 설정하고 그 공유기에 각 컴퓨터를 연결하면, 각각의 컴퓨터에 고유한 IP 주소(가상 IP 주소 혹은 사설 IP주소)가 자동 할당됨으로써 각 컴퓨터가 동시에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공유기는 공인 IP 주소를 가상 IP 주소(인터넷→공유기→컴퓨터)로, 또는 그 반대로(컴퓨터→공유기→인터넷) 변환해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네트워크 용어로 ‘네트워크 주소 변환(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이라 한다. 네트워크 IP 주소를 상황에 따라 공인, 가상 형태로 변환한다는 의미다. 그래서 공유기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각 컴퓨터의 IP 주소를 확인해 보면, 대부분 192.168.xxx.xxx와 같은 가상IP 주소 형식이 적용된다. 이 가상 IP 주소는 공유기가 설치된 그 환경에서만 통용되는 주소다. 예를 들어 A 공유기에 연결한 컴퓨터의 IP 주소가 192.168.0.10이라면, B 공유기의 컴퓨터에도 동일한 주소가 존재할 수 있다. 공유기는 또한, 위와 같은 NAT 기능 이외에 네트워크 라인을 분배해주는 허브나 스위치와 같은 분배기 역할도 담당한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유무선 공유기의 경우 무선 랜(와이파이)까지 사용할 수 있어 노트북이나 스마트폰 활용 시 매우 편리하다. 이에 요즘은 유무선 공유기가 대부분이라 유선만 지원하는 공유기는 거의 없다. 무선 랜은 유선 랜과 비교해 케이블이 필요 없다는 것과 전송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다는 차이가 있다.[2]
  1. 라우터〉, 《위키백과》
  2. 2.0 2.1 유무선공유기〉, 《네이버 지식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