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칸센 E2계 전동차
신칸센 E2계 전동차(일본어: 新幹線E2系電車)는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의 신칸센(1000번대는 신칸센 직행 특급(미니 신칸센), 단, 모리오카 - 하치노헤 구간은 0번대가 우스이 고개의 급구배(현재 E7계와 W7계가 운행중이다.)에 대응하기 때문에 0번대도 호환이 가능하다.) 차량으로 E4계 차량과 마찬가지로 400계, E3계 차량과 중련 운행이 가능하다. 현재는 1000번대로 도쿄~센다이까지 운행 한다.
개요[편집]
1997년 3월 22일에 도호쿠 신칸센에서 '코마치'와 병결하는 야마비코로 영업을 시작했다. 2023년 9월 현재 도호쿠 신칸센에서 도쿄 - 센다이를 오가는 야마비코와 나스노에 투입된다. 과거에는 도호쿠 신칸센의 하야테, 나스노 등급, 조에츠 신칸센에서 토키, 타니가와 등급, 호쿠리쿠 신칸센(당시 나가노 신칸센)의 아사마 등급으로 운행한 바 있다.
호쿠리쿠 신칸센에서는 E7계에 밀려나 완전히 도태되었고, 도호쿠 신칸센에서는 최속 320km/h의 E5계에 밀려나고 있으나, 조에츠 신칸센에서는 200계가 절멸하고 E4계도 빠른 속도로 줄어드는 입장이라 E7계 추가 신조 전까지의 공백을 메꾸기 위하여 투입물량을 계속 늘리고 있었다. 그러나 2023년 3월 18일 다이어 개정 이후에는 조에츠 신칸센에서의 운용이 종료되었다.
운용[편집]
2024년 3월 16일 다이어 개정으로 E2계와 E3계가 병결하여 운행되는 정규 열차운행이 종료되었다. 하지만 E3계의 폭설 활주사고를 막기 위해, 도호쿠 신칸센 내 츠바사 단독운행차량에 공차로 연결시킨다.
수출[편집]
- 중국고속철도 CRH2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중국으로 수출된 CRH2는 가와사키 차량에서 제작된 차량이다.
번대 구분[편집]
0번대[편집]
협창형 차량이다.
- N편성
신칸센 E2계 0번대 전동차(일본어: 新幹線E2系電車0番台)는 1997년 10월 나가노 신칸센의 개통으로 아사마 등급으로 운행하기 위해 도입한 열차로 1997년 3월부터 9월까지 2편성이 도입되었다. 최고 영업 속도는 260km/h로 J1편성의 경우 2002년에 나가노 신칸센 차량 센터로 이관되면서 N21편성으로 변경되었다. 2013년에 차량 노후화로 인해 리뉴얼 작업을 실시했다. 2015년 12월에 호쿠리쿠 신칸센 정규 노선 운행을 종료했다. 2016년에 다이야 개정과 함께 차내 판매를 종료하였다. 2017년 다이야 개정으로 감사해요, E2계 아사마(일본어: ありがとうE2系あさま) 운행을 끝으로 임시 운행 종료와 동시 전량 퇴역 후 폐차되었다.
- J 편성
신칸센 E2계 0번대 전동차 J 편성(일본어: 新幹線E2系電車0番台J編成)은 1997년 3월 아키타 신칸센 개통과 동시에 도입된 차량으로 E3계 0번대와 중련 운행을 시작했다. 야마비코, 고마치 중련 운행을 했으며 1998년 10월부터 11월까지 추가로 인도되었다. 같은 해 12월부터 조에츠 신칸센 노선에 운행을 시작했다. 2002년 9월에 도호쿠 신칸센 모리오카 ~ 하치노헤 구간 개통 및 하야테 등급 열차 운행을 위해 10량 편성으로 증결했다. 2013년부터 2편성 폐차를 시작으로 2019년까지 전량 퇴역 후 폐차되었다.
1000번대[편집]
광창형 차량이다.
- J 편성
신칸센 E2계 1000번대 전동차(일본어: 新幹線E2系電車1000番台)는 2001년부터 2005년까지 도입된 열차로 기존에 운행하고 있던 200계 차량 교체와 운행 증편을 위해 도입했다. 2000년 11월에 8량 편성이 제작되면서 신칸센 종합 차량 센터로 인도 했으며 2001년 11월부터 운행에 들어갔다. 기존 E2계 모델과 달리 E4계와 마찬가지로 창문이 넓어졌다. 2002년 12월 1일에 도호쿠 신칸센 모리오카 ~ 하치노헤 구간 개통 및 하야테 등급 열차 운행을 위해 10량 편성으로 증결과 동시에 운행에 들어갔다. 2010년에 6편성이 추가로 도입했다. 그리고 J66편성은 신칸센 200계 전동차 도색(200계 칼라로 불렀다.)으로 운행 했고 J69편성은 디즈니 리조트 랩핑열차로 운행했다. 현재 도쿄~센다이 구간만 운행하며 5월 한정으로 모리오카까지 운행한다.
현황[편집]
1995년부터 2010년까지 총 53편성이 도입되었다.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현재 N편성과 J편성 0번대의 경우 전 차량이 폐차되었다.
N 편성[편집]
전 차량이 폐차 되었다. 일부 편성은 1량만 보존 되었다.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 중단 시기 | 비고 |
---|---|---|---|
N1호 | 1995년 | 2014년 | 도입 초기 S6호로 도입했다. |
N2호 | 1997년 | ||
N3호 | |||
N4호 | |||
N5호 | 2017년 | ||
N6호 | 2014년 | ||
N7호 | 2016년 | ||
N8호 | 2014년 | ||
N9호 | |||
N10호 | 2016년 | ||
N11호 | 2014년 | ||
N12호 | |||
N13호 | 2017년 | ||
N21호 | 1995년 | 2015년 | 2002년에 J1편성에서 변경되었다. |
J 편성[편집]
전 편성이 퇴역할 예정이다.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 중단 시기 | 비고 |
---|---|---|---|
J1호 | 1995년 | 2002년 | 도입 초기 S7호로 도입되었고 2002년에 N21편성으로 변경되었다. |
J2호 | 1996년 | 2013년 | |
J3호 | 1997년 | ||
J4호 | 2016년 | ||
J5호 | 2014년 | ||
J6호 | |||
J7호 | 1998년 | 2017년 | |
J8호 | 2018년 | ||
J9호 | 2016년 | ||
J10호 | 2017년 | ||
J11호 | 1999년 | 2019년 | |
J12호 | |||
J13호 | 2018년 | ||
J14호 | |||
J15호 | 2019년 | ||
J51호 | 2001년 | 10량 상태로 도입되었다. | |
J52호 | 2002년 | 2022년 | |
J53호 | |||
J54호 | 2003년 | 2023년 | |
J55호 | 2002년 | 2022년 | |
J56호 | 2022년 | 10량 상태로 도입되었다. 또한 2003년 4월, 조에쓰 신칸센 구간 중 우라사 ~ 니가타 구간에 최고 영업 속도 362km/h를 기록했다. | |
J57호 | 2003년 | 2023년 | 10량 상태로 도입되었다. 그리고 J66은 신칸센 200계 전동차 도색으로 운행되었다. |
J58호 | |||
J59호 | |||
J60호 | 2024년 예정 | ||
J61호 | 2004년 | ||
J62호 | |||
J63호 | 2003년 | 2023년 | |
J64호 | |||
J65호 | 2004년 | ||
J66호 | 2005년 | 2024년 | |
J67호 | |||
J68호 | |||
J69호 | 2004년 니가타현 조에쓰 지진으로 인하여 탈선 사고로 폐차된 K25편성의 대차분으로 도입했다. 그리고 디즈니 리조트 열차로 운행했다. | ||
J70호 | 2010년 | 2024년 예정 | 2017년부터 2023년까지 니가타 신칸센 차량 센터로 이관되면서 조에츠 신칸센 노선만 운용한 적이 있다. |
J71호 | |||
J72호 | |||
J73호 | |||
J74호 | |||
J75호 |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같이 보기[편집]
- 신칸센
- 중국고속철도 CRH2 (수출형)
- 신칸센 E3계 전동차
- 신칸센 E4계 전동차
- 신칸센 E5・H5계 전동차 (후계 차량)
- 신칸센 E6계 전동차
- 신칸센 0계 전동차
- 신칸센 200계 전동차
- 신칸센 300계 전동차
- 신칸센 400계 전동차
- 신칸센 500계 전동차
- 신칸센 700계 전동차
- 신칸센 800계 전동차
- 신칸센 N700계 전동차
- 신칸센 N700S계 전동차
- 신칸센 E8계 전동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