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고속철도 CRH2
중국고속철도 CRH2(중국어: 和諧号CRH2型电力动车组)는 중화인민공화국 철도부의 제6차 재래선 증속 계획을 위해 일본의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구입한 고속 철도차량이다. 그리고 중국의 신칸센 또는 중국의 E2계 등으로 부르고 있다. 중국중차에서 제작된다. 중국철로고속의 운영한다. 일부 편성은 퇴역했다. 그리고 대부분이 운행 중이다. 대신 퇴역할 편성은 없다. 다만 E2 시리즈 차량이 퇴역한다. 그래서 중국 철도 차량이다. 중국의 변형 모델로 운행한다.
목차
[숨기기]개요[편집]
CRH2A, CRH2B, CRH2C, CRH2E, CRH2G, CRH2J 6가지 파생형이 존재한다. 각 철도국에 소속 한다.
원본 차량의 모습
상하이에서 촬영한 CRH2C형 CRH2C-2075
닝보역에서 촬영된 CRH2E-2126 당시 {{CRH2-126E}}
우한에서 촬영된 모습이다. 측면이 보인다. 그리고 CRH2B의 CRH2A 기반이다.
베이징에서 촬영한 모습이다.
CRH2G가 운행중인 사진이다.
동영상[편집]
- ※ 건널목에서 촬영된 영상이다.
설명[편집]
CRH2는 중국 철로국에서 보유하고 있다.
세부 모델 및 각종 차형[편집]
CRH2A[편집]
CRH2A형 전철(중국어: CRH2A型电力动车组)은 2004년에 중화인민공화국 철도부에서 주문했고 최초의 CRH2 모델이다. 60편성이 제작되었고 8량 1편성으로 구성되었다. 이 중 3편성[1] 은 일본(가와사키 중공업 현 가와사키 차량)에서 제작되어 2005년에 중화인민공화국에 수출했고 그리고 나서 칭다오항에 들어 와서 중국에 반입 되었다. 나머지 편성은 중화인민공화국의 CRRC 칭다오 쓰팡에서 제조되었다. 영업 최고 속도는 중국고속철도 CRH1와 같은 250km/h로 운행하고 있다. 2006년에 시운전을 진행 했으며 같은 해 4월부터 운행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일본 내수용 E2계와의 차이점으로는 일부 편성에 한해 전두부 승무원용 운전실 출입문이 측면 쪽창으로 대체되었다는 점이 있다. 이들 편성을 승무하는 기관사는 맨 앞 승객용 출입문을 통해 운전실로 들어간다.
현재 시속 200 또는 250km/h로 운행한다. 신칸센 E2계 전동차[2]는 시속 275km/h로 운행했다.
통형은 2011년에 중화인민공화국 철도부에 주문 되었고 2014년에 도입되었다. 편성이 CRH2-***A에서 CRH2A-****으로 변경 되었다. 또한 신형인 통형(중국어: 统型)도 편성 번호도 개조 되었고 CRH2A-****으로 제작 되었다. 그리고 종합 검사 열차인 CRH2A-2010이다. 영업 차량은 CRH2A-2010을 제외한 모든 차량이다. 그리고 CRH1보다 처음으로 도입했다. 그리고 4로 시작한 통형도 도입 되었다. 그리고 가와사키 중공업과 칭다오 쓰팡에서 제작한 열차이며 그리고 중국의 첫 도입된 유일한 열차이다. 그리고 CRH의 첫 도입되었다. 또한 통형을 제외한 CRH2A는 도입 당시에 CRH2-***A로 들어왔다. 이후에 CRH2A(001A~060A, 151A~211A)로 운행한 후 현재는 CRH2A-****로 개조 되었다. 그리고 통형은 CRH2-***A에서 CRH2A-****로 개조 되었다. 그리고 CRH2G 바탕 도색인 CRH2A-2460이 반입 되었으며 그리고 CRH2A-2828이 반입 되었다. 또한 4131까지 반입 되었다. 그리고 통형도 8량 1편성이다. 그리고 타이위안 철도부 소속이 신형이 4122~4131까지 순차적으로 도입되었다. 그리고 CRH2A-2010은 점검열차로 CRH2A의 검측 차량이다. 또한 CRH2A-4020은 구이광 고속철도에서 탈선 사고가 발생했다. 그리고 통형은 현재 노선은 난닝, 청두, 난창, 광저우 등이다. 이러한 편성이 많다.
청두 철도부 소속은 신형 차량이다.
- 2285는 2024년에 촬영된 모습이다.
2001~2211은 2024년 12월 31일에 퇴역했다. 또 다시 운행 재개해 버렸고 또 다시 2001~2204만 폐차했다. 2011~2211은 운행 중이다. 또 다시 2001만 운행하다가 결국 폐차했다. 또 재개했다. 폐차 예정 그리고 무산되어 전부 운행 중이나 일부는 폐차 및 개조했다. 나머지는 끝 없이 운행 중이다.
2282편성은 당시 CRH2-282A가 상하이에서 운행 된 적이 있고 그리고 4028편성이 광저우에서 운행 이력이 있다. 그리고 2478, 2479가 베이징에서 운용 된 적이 있었다. 그리고 4131까지 반입이 되었다. 그리고 2001~2003은 가와사키 열차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리고 중국의 최초 고속열차다.
검측 차량은 운행을 하지 않는 열차이다.[3] 그러나 統型은 신형 차량이다.
CRH2A형은 일본산 열차가 일부 차량에 있다.
2001~2060, 2151~2211은 기존 차량으로 통형과 구분하게 非統型이라고 불린다.
CRH2A형 중 2057, 2058은 당시 선양에서 촬영했다.
2001~2287까 지 제작 반입 당시에 CRH2-001A~287A였다.
CRH2A는 8량인데 일단 선양에 배속된 2편성였지만 일단 베이징으로 회송한 뒤에 상하이로 회송했다.
그리고 상하이와 우한 소속과 변경된 차량 중 우한 → 상하이 소속: 2013, 2034, 2045, 2050~2052, 2054, 2060, 2151, 2152, 2169, 2199, 2208 (총 13대).
상하이 → 우한 소속: 2020, 2026, 2030~2032, 2042, 2044, 2172, 2197, 2198 (총 10대). 이다.
신형 차량 중 광저우와 청두 소속과 변경된 차량은 청두 → 광저우 소속: 2323.
광저우 → 청두 소속: 2274. 이다.
타이위안에서 시안으로 이동한 차량은 타이위안 → 시안 소속: 4123, 4125, 4126, 4128, 4129. 이다.
그리고 CRH2A와 CRH2C랑 길이가 조금 다르며 CRH2C만 헤드라이트가 있으며 A는 헤드라이트가 없다. 그리고 가와사키는 2005년 중국중차는 2006년~2017년에 제작 되었다. 그리고 2039는 상하이에서 운행 되었다. 그리고 상하이/우한 소속은 한커우~우한역~허페이난~난징난~상하이훙차오~상하이난, 난퉁 구간을 운행하고 있다. 그리고 CRH2형은 상하이 소속인 전동차가 상하이훙차오역으로 자력 회송한다. 그리고 2460은 E2계 기반은 아니다. 그리고 2가 꽉 찬 관계로 4로 시작한 열차가 된다. 중국의 최고령 열차이다. 그리고 우한 소속은 한커우역으로 자력 회송한다. 4122부터 4131까지는 타이위안에 소속 되었다. 그리고 우한 소속은 이창 등에서 운행 한다. 통형(초기형과 중기형)은 기존 차량이며 통형(중기형과 후기형)은 신형 차량이다. 그리고 일등석은 7호차와 1호차(통형)에 있다. 배속은 우한, 상하이, 청두, 타이위안, 난닝, 난창, 쿤밍, 지난, 광저우에 소속 하고 있다. 베이징에서 운행 된 적이 있다.[4] 그리고 또한 CRH2A는 CRH2A-2***이 있다.
다만 CRH2A형은 기존 차량이 2001~2003은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칭다오 항에 도착한 영상이 있다.
통형 차량은 8량으로 정상 운행한다.
전 편성이 칭다오 쓰팡 기차 차량에서 제조했다.

- 2483과 2828과 병결 운행을 했었다.
이 차량은 기존 차량의 일등석은 7호차, 신형 차량은 1호차에 있다.
그리고 중차의 칭다오에서 제작 되었다. 그리고 신칸센 E2계 전동차를 기반으로 제작된 차량으로 "중국의 E2계"라는 전동차도 있었지만 현재 CRH2A로 불린다. 수출형 E2계는 이 차량에 해당한다.
그래서 CRH2가 중국에서 운영한다. 일단 CRH2계열 중 중국의 고속열차이다. 추후에 도입할지 모른다.
2001부터 2211까지는 운전실 문이 있지만 2212부터 4131까지는 운전실 문이 없다. 대신 선두칸(통형)에 출입문으로 사용된다.[5]
이런 차량은 상단에 헤드라이트[6]가 있다. 그리고 중국철로고속에 운영한다. 2025년 2월 23일에 촬영된 부분이 있었다.
그러나 CRH2A-2001~4131이 제조했던 차량 중 일부는 개조했으며 이 차량은 2005년~2017년에 도입했다.
CRH2A는 8량 1편성이며 2편성은 16량이 된다.
추가된 4114~4131이 각각 난닝과 타이위안에 소속 중에 있다.
8량 편성으로 E2계 N편성과 동일하다.
기존 차량은 상하이 소속 중 2001~2204 편성이 폐차했으며 우한 소속은 2192가 폐차했다. 계속 다시 운행 중에 있다.
다만 중국의 CRH2가 신칸센 기반으로 8량이며 2460은 다른 차량 기반이다.
배속[편집]
[펼치기]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을 누르세요! |
---|
- 통형은 난창, 청두, 광저우 등에 소속 중이다.
- CRH2C는 고속열차로 CRH2의 가장 빠른 열차이다.
구분[편집]
- 기존 (일본에서 제작한 열차도 포함) 2001~2060, 2151~2211
- 기존(통형) 2212~2287
- 신형(통형) 2288~2416, 2427~2460, 2473~2499, 2828, 4001~4071, 4082~4095, 4114~4131
분류
- 일반형 (기존): 2001~2060, 2151~2211
- 통형 (기존, 신형): 2212~2416, 2427~2460, 2473~2499, 2828, 4001~4071, 4082~4095, 4114~4131
- 동영상
기존 차량의 구동음의 모습이다. 내부도 상상하고 일본산 열차의 관람하는 모습이다. 일반형에 일본식 가와사키 열차 모습이다. 일반형이 통과하고 있는 모습이다. CRH2A 통형이 정차 모습이다. CRH2A의 통형의 통과하고 있다. CRH2A의 경주하는 모습으로 왼쪽이 기존 차량, 오른쪽이 신형 차량이다. 비슷한 점도 있다. 통형의 발달하게 운행 영상 룽옌역에서 신형 차량이 복합편성 연결 모습이다.
광저우남역으로 진입하는 신형 차량이다.
CRH2B[편집]
CRH2B형 전철(중국어: CRH2B型电力动车组)은 CRH2A와 동일한 유선형이다. 또한 2008년 4월부터 최초로 도입될 열차로 CRH2A과 달리 이 열차는 1편성 16량으로 구성되었다. 같은 해 8월에 허닝 철로에 투입되었다. 그리고 상하이 철도부 소속에만 전두부에 헤드라이트가 추가되어있다. 그리고 우한의 한커우에 도입되었다. 그리고 상하이 소속 차량도 CRH2-***B에서 CRH2B-****으로 변경 되었고. 우한은 CRH2B-****도 그대로 되었다.
CRH2B는 CRH2A와 같은 지닌 차량으로 상하단에 헤드라이트가 있다.
CRH2B는 CRH2A의 지닌 차량이다.
CRH2A는 8량인데 반해 CRH2B는 16량이다.
통형은 우한에 소속 되었다. 그리고 우한 소속을 제외한 나머지 10편성이 난징 또는 난징난에서 운행 이력이 있고 그리고 현재 난퉁에서 운행 중에 있다. 그리고 식당차도 포함 된다.
우한 소속은 상하이에서 운행한 적이 있다. 그리고 상하이 소속은 허페이와 난징간 고속선에 상업 운행 시작했다. 그리고 기존 차량은 옛날에 시운전을 했고 신형 차량도 시운전을 했다.
기존 차량은 상하이 철도부의 난퉁에서, 신형 차량은 우한 철도부의 한커우에서 운행중이다. 그리고 협창형 차량(1~3호차이다.)이다. 그리고 전두부에 헤드라이트는 기존 차량에만 있다. 신형 차량은 없다. 그리고 나머지는 광창형이다. 그리고 현재 상하이 소속은 난퉁~난징난 구간과 우한 소속은 한커우와 우한의 거처서 쑤저우에 오고 쿤산난을 거처 상하이에서 운행 하고 있고 이창 등에서 운행 한다. 배속은 상하이(기존), 우한(신형)에 소속 되었다.
그리고 비교하면 C형과 동일한 차량들은 기존 차량으로 도입 되었으며 A형과 동일한 차량은 신형 차량으로 도입 되었다.
기존 차량은 운행 당시는 그때 CRH2B-2111~2120이 CRH2A와 비슷한 느낌이다.
기존 차량이 상하단 헤드라이트가 있으며 신형 차량은 상단 헤드라이트가 있다. CRH2B는 대다수가 16량이다. 그는 신칸센 기술로 만들기도 했다.
[펼치기]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을 누르세요! |
---|
여담(CRH2C)[편집]
또한 이 차량은 전두부에 헤드라이트가 설치된 차량이다.
2150은 CRH380A를 기반으로 제작된 차량이며 검측 차량이다.
속도는 시속 350~380km/h이다.
그리고 식당차는 5호차에 있다.
그리고 1등 좌석은 7호차에 있다.
CRH2C-2150은 CRH380A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검측 차량이다.
- 1차 도입분은 2061~2090이다.
- 2차 도입분은 2091~2110, 2141~2150이다.
- 동영상
- CRH2C 2차분이다.
- CRH2C 1차분이다.
2차분이 정차 모습이다. 현재는 개번되어 이 차호는 볼 수 없게 되었다. 다른 차량과 이 차량을 봤다.
CRH2E[편집]
CRH2E-2122
CRH2E-2137
CRH2E-2137[10]
CRH2E-2140
CRH2E-2461
CRH2E-2463[11]
CRH2E-2465
CRH2E는 중국에 고속열차로 침대차이자 CRH2 차량이다. 베이징과 광저우와 연결하여 징광 고속선에 운행한다. 2007년에 발주하여 2008년에 제작되었고 차호는 CRH2-***E[12] 였지만 개정 후에 CRH2E-2***로 개정했다. 2461~2465는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제작되었고 2461, 2462는 1층열차이며 2463~2465는 2층열차이다. 과거에는 기존 차량이 난창, 상하이, 우한 소속이였다. 현재 차호는 각각 차량기지로 이동하여 그곳에서 운행 중이다. 지역 사회에서 운행 중이다. 현재 지역 소속이다. 기존 차량은 베이징에서 중국중차 기념식 사진을 보았다. 징강고속철도에도 운행이 가능하다. 현재 CRH2E는 16량이다. 현재는 CRH2E는 CRH2B의 개량형이다.
야간열차로 운행되며, 베이징~광저우간 CRH2E가 운행 중에 있다.
베이징에서 다른 곳으로 향하더 열차 중 소속이 변경하던 차량과 광저우에서 베이징 소속 차량은 베이징 → 광저우/난닝/청두/쿤밍 소속: 2122~2126, 2128, 2130~2135, 2137, 2138.
광저우 → 베이징 소속: 2462. 이다.
2014년 7월 1일에 기존 차량이 CRH2-121E~140E에서 CRH2E-2121~2140으로 변경했다.
CRH2E는 16량 1편성으로 침대열차이다.
[펼치기]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을 누르세요! |
---|
주하이에서 촬영된 모습으로 광저우 소속이다. 기존 차량이 3개는 선전베이역에서 촬영 모습이다. 신형 차량 탑승 영상 2층 침대로 상상해 본다.
CRH2G[편집]
CRH2G는 란저우와 우루무치 고속철도와 산시성 일대 고속열차로 투입하기 위해 도입했다. 현재 시안, 청두, 쿤밍에 재적하고 있다. 과거에는 란신 고속선에서 운행했다. 현재 시안 철도부 소속으로 란신고속철도로 이동한다. 현재 모티브가 외부를 기존보다 확실하게 다르다. 한편 CRH2G는 창문은 CRH2A의 신형 차량[15]과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차대는 동일하지만 외형은 완전히 달라진 스킨 체인지와 비슷한 과정을 거친 모델이 되었다. 신장 위구르 지역에 투입 할려고 도입했다.
시안, 청두, 쿤밍에 소속되어 있다.
[펼치기]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을 누르세요! |
---|
CRH2J[편집]
CRH2J는 원저우 고속열차 추락사고로 인해 조기에 폐차된 편성을 대체하기 위해 개조 후 CRH2J-0205로 활동하고 있다. 도색은 흰색+주황색이다.[16]
사고[편집]
- 2011년에 원저우 고속열차 추락 사고가 발생했다. D301열차가 D3115열차와 충돌했고 그리고 추락 사고가 발생했다. 그리고 CRH2E-2139 (옛 편성 번호는 CRH2-139E 였다.) 현재는 CRH2J-0205로 변경 되었다.
- 2022년에 구이양-광저우 여객선에서 탈선 사고가 발생했다. D2809열차가 탈선했다. 그리고 편성 번호는 CRH2A-4020이다.
여담[편집]
신칸센 차량 제작에는 제조사뿐만 아니라 발주사인 JR그룹도 큰 영향을 미치는데, 본래 중국에서는 신칸센 700계 전동차를 눈독들이고 있었지만 차량 제조에 참여한 JR 도카이가 기술 이전을 거절하여 700계 수출은 무산되었다. 중국에 대해 신칸센 기술을 이전하면 향후 세계 고속철도 시장의 강력한 경쟁자가 되리라 예상했기 때문이다.
CRH2 기술은 신칸센 E2계 전동차의 기술로 했다.
신칸센 E2계 전동차의 기술로 만들었다.
그래서 일본에서 제작된 것도 2001~2003편성까지 제작 되었다고 한다.
- 신칸센 E2계 전동차 기반으로 제작 되었다.
그리고 CRH380A도 신칸센 E2계 전동차 기반으로 이 모델 바탕으로 제작된 차량이다. 그리고 2004부터 4131까지는 중국에서 제작 되었다. 그리고 통형은 중국에서 제조 되었다. 또 CRH2G형은 E2계 기반은 아니다. 그리고 CRH2는 중국에서 운행 하며 베이징(CRH2E만 운행) 상하이 광저우 쿤밍 우한 항저우 톈진(CRH2E만 운행) 쯔보(CRH2E만 운행) 지난 칭다오(통형만 운행) 푸저우 샤먼 난창(통형만 운행) 룽옌(통형만 운행) 한커우 난징 난징난 시안북(CRH2G만 운행) 청두둥(CRH2G만 운행) 충칭시(통형만 운행) 충칭베이(통형만 운행) 난닝(통형만 운행) 타이위안(통형만 운행) 창저우 (허베이성)(CRH2E만 운행) 등에서 운용 하고 있다.
특히 CRH2는 중국의 최고 열차이며 처음 선양, 베이징, 난창, 상하이, 우한 곳곳에 운영했었다.
오직 CRH2계열의 하나이다.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 이동 ↑ CRH2A-2001~2003
- 이동 ↑ 일본에 있는 전동차이다. 또한 CRH2A는 신칸센 E2계 전동차보다. 조금 느리다.
- 이동 ↑ 검측 차량을 타지 않는 이유는 검측 장비, 그러나 여러 장치가 있어서 그렇다.
- 이동 ↑ 다만 CRH2A는 전부 배속하고 있지만 다 배속은 아니며 따로 배치하기 때문에 그렇다.
- 이동 ↑ 기존 차량은 운전실 문이 있고, 신형 차량은 운전실 없는채로 반입했다.
- 이동 ↑ 신칸센 E2계 전동차와 CRH2A 전조등은 비슷하지만 약간 차이가 있다.
- 이동 ↑ CRH2C는 고속철도로 제작했기 때문에 시속 350km/h이며 1차분과 2차분이 분류되어 있다.
- 이동 ↑ 노후화 문제로 인해 폐차했다.
- 이동 ↑ CRH2C형은 퇴역 날짜가 미정으로 계속 운행될 것으로 예상한다..
- 이동 ↑ 2024년 7월에 찍은 장면이다.
- 이동 ↑ 2024년 7월에 찍은 장면이다.
- 이동 ↑ 해당 편성은 2121~2140이다.
- 이동 ↑ 기존 차량 중 2122, 2124, 2126, 2128, 2134, 2135, 2138이 폐차했다. 그러나 연기로 인해 운행 중이다.
- 이동 ↑ 기존 차량은 퇴역 예정이 될 예정이다가 무산 되어 운행 중이다. 퇴역 예정이다가 퇴역했다. 그리고 폐차했다. 선전 차량기지 소속 중 기존 차량이 부활했다.
- 이동 ↑ 그러나 통형과 비슷하게 보이지만 CRH2계열 중 신형이다.
- 이동 ↑ 닥터옐로우의 도색이 노랗다.
참고자료[편집]
- 〈和谐号CRH2型电力动车组〉, 《维基百科》
- 〈[6]〉 《나무위키》
같이 보기[편집]
- 중국
- 고속철도
- 중국고속철도 CRH1 봄바디어 레지나 기반으로 중국에서 운행을 하고 있다.
- 중국고속철도 CRH3A
- 중국고속철도 CRH3 지멘스 벨라로의 차량 ICE3과 동일한 사양이다.
- 중국고속철도 CRH5
- 중국고속철도 CRH6
- 중국고속철도 CRH380A (같은 차량이지만 동일한 차량은 CRH2C 2150 이다.)
- 중국고속철도 CRH380B
- 중국고속철도 CRH380C
- 중국고속철도 CR300BF
- 중국고속철도 CR400AF
- 중국고속철도 CR400BF
- 신칸센 E2계 전동차 (CRH2A의 2460, CRH2C 2150, CRH2E의 2461~2465, CRH2G를 제외하지만 차대는 동일하고 그러한 같은 차량이지만 동일한 차량은 CRH2A 2001~2060, 2151~2416, 2427~2459, 2473~2499, 2828, 4001~4071, 4082~4095, 4114~4131, CRH2B, CRH2C 2061~2110, 2141~2149, CRH2E 2121~2140, CRH2J-0205 이다.)
- 타이완 고속철도 700T형 전동차
- 중국철로고속
- 신칸센 E5계 전동차
- 신칸센 E6계 전동차
- 신칸센 E7계 전동차
- 신칸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