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다듬기) |
(→동영상) |
||
(사용자 7명의 중간 판 5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스테이블코인'''<!--스테이블 코인-->( | + | '''스테이블코인'''<!--스테이블 코인-->(stablecoin)은 [[법정화폐]]로 표시한 코인의 가격이 거의 변동하지 않고 안정된 [[암호화폐]]를 말한다. '''가치안정화폐'''<!--가치 안정 화폐-->라고도 한다. 암호화폐의 가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법정화폐 또는 다른 암호화폐를 담보로 잡거나, 정교한 알고리즘에 의해 공급량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스테이블코인을 구현할 수 있다. 스테이블코인의 사례로 [[테더]](Tether), [[제미니달러]](Gemini Dollar), [[스팀달러]](Steem Dollars), [[다이]](DAI), [[베이시스]](Basis), [[테라]](Terra), [[스낵]](Snack), [[트루USD]](True USD), [[유에스디코인]](USDcoin), [[팍소스스탠다드]](Paxos Standard), [[앵커토큰]](Anchor Token) 등이 있다. 2019년 페이스북이 공개한 리브라 백서에 따르면, [[리브라]](Libra)는 가격 변동이 거의 없는 스테이블코인에 속한다. |
== 개념 == | == 개념 == | ||
− | + | [[암호화폐]]는 일반적으로 가격 변동성이 크다. 심지어 1~2시간 사이에 몇 배를 오르고 내리는 코인도 있다.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적은 [[비트코인]]도 심한 경우 하루에 10% 내외의 변동이 발생되기도 한다. 암호화폐에 투자하는 경우, 예측 불가능한 가격 변동에 많은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이러한 가격 변동은 암호화폐에서 아직 풀지 못한 문제 중의 하나이다. 국내 거래에서도 암호화폐의 가격 안정성이 필요한 경우가 있지만, 특히 수출·송금 등 해외 거래에서는 급격한 변동성 및 수수료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암호화폐가 안정적 가치만 보장된다면, 널리 사용될 수 있다. 기간에 따른 환율 차이 등의 변동성이 없다면, 거래 당사자들은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다. 이런 필요에 의해 가격이 안정된 스테이블코인이 등장하게 되었다. 스테이블코인의 개념은 오래 되었는데, [[테더]](Tether), [[트루USD]](TrueUSD) 등 달러 [[페깅]](pegging) 토큰은 이미 여러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다.<ref>kornfrost, 〈[https://kornfrost.wordpress.com/2018/03/25/%ED%8E%98%EA%B9%85%EC%BD%94%EC%9D%B8-%EB%B6%88%EA%B0%80%EB%8A%A5%EC%84%B1-%EC%82%BC%EA%B0%81%EC%A0%95%EB%A6%AC-%EC%8A%A4%ED%8C%80%EA%B3%BC-%ED%85%8C%EB%8D%94/ 페깅코인, 불가능성 삼각정리, 스팀과 테더]〉, 《워드프레스 블로그》, 2018-03-25</ref> [[페깅]](pegging)이란 "못을 박아서 고정시키기"라는 뜻으로서, [[암호화폐]]의 가격이 마치 못을 박아놓은 듯이 [[법정화폐]]에 가치에 고정되어 있다는 뜻이다. | |
− | [[암호화폐]]는 일반적으로 가격 변동성이 크다. 심지어 1~2시간 사이에 몇 배를 오르고 내리는 코인도 있다.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적은 [[비트코인]]도 심한 경우 하루에 10% 내외의 변동이 발생되기도 한다. 암호화폐에 투자하는 경우, 예측 불가능한 가격 변동에 많은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이러한 가격 변동은 암호화폐에서 아직 풀지 못한 문제 중의 하나이다. 국내 거래에서도 암호화폐의 가격 안정성이 필요한 경우가 있지만, 특히 수출·송금 등 해외 거래에서는 급격한 변동성 및 수수료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암호화폐가 안정적 가치만 보장된다면, 널리 사용될 수 있다. 기간에 따른 환율 차이 등의 변동성이 없다면, 거래 당사자들은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다. 이런 필요에 의해 가격이 안정된 스테이블코인이 등장하게 되었다. 스테이블코인의 개념은 오래 되었는데, [[테더]](Tether), [[트루USD]](TrueUSD) 등 달러 [[페깅]]( | ||
== 종류 == | == 종류 == | ||
9번째 줄: | 8번째 줄: | ||
=== 법정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 === | === 법정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 === | ||
− | 법정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fiat-collateraliteralized stablecoins)은 [[법정화폐]]와 일대일 관계로 유지되는 [[암호화폐]]이다. 가장 대표적인 스테이블코인으로 꼽히는 [[테더]](Tether)는 테더 토큰 1개의 가치를 미국 달러 1달러로 고정하여 코인을 발행하고 있다. 이렇게 법정화폐를 담보로 법정화폐의 가치에 암호화폐의 가치를 연동하면 가격은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지만, 다른 비용이 든다. 즉, 테더 공급량([[통화량]])을 감당할 수 있을 만큼 많은 달러를 별도로 비축해 두고 있어야 한다. 이로 인해 네트워크를 운영하는데 규모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테더 공급량에 대응해 그 금액에 해당하는 달러를 실제로 비축해 놓은 것이 맞는지 외부 감사를 해야 하는 등 추가로 밟아야 할 절차도 늘어난다. 그럼에도 전통적인 화폐와 마찬가지로 변동 통화 방식으로 기능하는 법정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은 이용자들에게 기존 법정화폐 대비 편리성을 주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 + | [[파일:테더 로고.png|썸네일|200픽셀|'''[[테더]]'''(Tether) - 달러 담보 스테이블코인]] |
+ | |||
+ | 법정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fiat-collateraliteralized stablecoins)은 [[법정화폐]]와 일대일 관계로 유지되는 [[암호화폐]]이다. 가장 대표적인 스테이블코인으로 꼽히는 '''[[테더]]'''(Tether)는 테더 토큰 1개의 가치를 미국 달러 1달러로 고정하여 코인을 발행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뉴욕주 재정분과위원회의 정식 승인을 얻은 [[팍소스스탠다드]](Paxos Standard) 토큰 역시 1 Pax가 1 USD의 가치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미션내셔널뱅크와 업무 제휴를 맺은 [[글루와코인]] 역시 1 USD-G가 1 USD의 가치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렇게 법정화폐를 담보로 법정화폐의 가치에 암호화폐의 가치를 연동하면 가격은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지만, 다른 비용이 든다. 즉, 테더 공급량([[통화량]])을 감당할 수 있을 만큼 많은 달러를 별도로 비축해 두고 있어야 한다. 이로 인해 네트워크를 운영하는데 규모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테더 공급량에 대응해 그 금액에 해당하는 달러를 실제로 비축해 놓은 것이 맞는지 외부 감사를 해야 하는 등 추가로 밟아야 할 절차도 늘어난다. 그럼에도 전통적인 화폐와 마찬가지로 변동 통화 방식으로 기능하는 법정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은 이용자들에게 기존 법정화폐 대비 편리성을 주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 ||
=== 암호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 | === 암호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 | ||
− | 암호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crypto-collateralized stablecoins)은 법정화폐에 그 가치를 연동하는 대신, 일정량의 암호화폐를 담보로 맡긴 뒤 고정된 비율에 따라 담보물에 해당하는 스테이블코인을 빌려 쓰는 것이다. 실제로 이 절차를 운영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시스템마다 다르다. [[ | + | [[파일:다이 로고.png|썸네일|200픽셀|'''[[다이]]'''(DAI) - 이더리움 담보 스테이블코인]] |
+ | |||
+ | 암호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crypto-collateralized stablecoins)은 법정화폐에 그 가치를 연동하는 대신, 일정량의 암호화폐를 담보로 맡긴 뒤 고정된 비율에 따라 담보물에 해당하는 스테이블코인을 빌려 쓰는 것이다. 실제로 이 절차를 운영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시스템마다 다르다. [[메이커다오]](MakerDAO)라는 탈중앙화 조직이 운영·관리하는 '''[[다이]]'''(Dai) 코인이 하나의 예가 될 수 있다. [[리저브]](Reserve)라는 이름의 프로젝트도 암호화폐를 담보로 운영하는 스테이블코인에 속한다. 암호화폐 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브라]](ABRA)에서는 총 23개 암호화폐와 50개 법정화폐를 담보로 취급하며, 그에 따라 [[비트코인]]이나 [[라이트코인]] 등을 빌려준다. | ||
암호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의 가장 큰 문제는 여전히 전체 암호화폐 시장의 변화에 따라 담보로 받은 물건의 가치가 변동될 수 있다는 점이다. 아브라는 이러한 시장의 변화에 노출되는 효과를 실질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혁신적인 [[메커니즘]]을 도입해 이러한 위험을 관리한다. 암호화폐를 담보로 하는 스테이블코인의 장점은 역시 탈중앙화 분산 구조를 바탕으로 한 암호화폐를 담보로 받음으로써, 암호화폐 기반 기술로 혁신적인 메커니즘을 이어갈 수 있다는 데 있다. 법정화폐의 담보 없이 자생할 수 있는 시스템인 [[비트셰어]](Bitshares)도 이에 해당된다. | 암호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의 가장 큰 문제는 여전히 전체 암호화폐 시장의 변화에 따라 담보로 받은 물건의 가치가 변동될 수 있다는 점이다. 아브라는 이러한 시장의 변화에 노출되는 효과를 실질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혁신적인 [[메커니즘]]을 도입해 이러한 위험을 관리한다. 암호화폐를 담보로 하는 스테이블코인의 장점은 역시 탈중앙화 분산 구조를 바탕으로 한 암호화폐를 담보로 받음으로써, 암호화폐 기반 기술로 혁신적인 메커니즘을 이어갈 수 있다는 데 있다. 법정화폐의 담보 없이 자생할 수 있는 시스템인 [[비트셰어]](Bitshares)도 이에 해당된다. | ||
===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 === | ===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 === | ||
− |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 | + |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algorithm controlled stablecoins)은 수요에 따라 공급량을 계속 조정하는 방식으로 가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암호화폐이다. '''[[베이시스]]'''(Basis)라는 프로젝트가 좋은 예다. 이 모델은 기존의 [[통화]]처럼 기능하려고 자산을 담보해두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담보를 받을 필요가 없으므로 규모를 키우는 데 제약이 없다. 반면에 담보가 없으므로 시스템에 대한 신뢰가 있어야만 스테이블코인이 돌아가게 된다. 베이시스는 네트워크의 소프트웨어를 관장하는 [[알고리즘]]을 신뢰하는 대상으로 내세운다. 이런 식으로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 과연 가능할지는 시간이 지나면 알 수 있을 것이다.<ref>kornfrost, 〈[https://kornfrost.wordpress.com/2018/03/26/the-market-for-cryptocurrency-white-2015/ The Market for Cryptocurrency (White 2015)]〉, 《워드프레스 블로그》, 2018-03-26</ref> 더 높은 차원에서 생각해보면 스테이블코인은 전통적인 은행과 이른바 [[비위탁 지갑]](non-custodial wallets)처럼 완전히 탈중앙화된 거래소 사이의 다리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
+ | |||
+ |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미국 [[월스트리트]]의 암호화폐 애널리스트인 [[톰 리]](Thomas Lee)는 2018년 11월 30일 한국을 방문하여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그는 "현재 시점에서는 [[테더]](USDT)나 [[제미니달러]](GUSD) 같은 [[법정화폐]] 연동 스테이블코인들이 더 폭넓게 쓰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알고리즘]]으로 가격을 유지하는 스테이블코인들은 아이디어는 좋으나, 프로젝트 하나가 실패하면 나머지 프로젝트들도 신뢰 받기 힘든 단점이 있다."고 말했다.<ref>박현영 기자, 〈[https://decenter.sedaily.com/NewsView/1S7E2TLRWR/GZ04 톰 리 “암호화폐 저평가 국면…비트코인 3~6개월내 크게 반등”]〉, 《서울경제》, 2018-11-30</ref> | ||
== 주요 사례 == | == 주요 사례 == | ||
− | [[ | + | {{이미지|정렬=가운데|가로=150 |
− | + | |테더 로고.png|'''[[테더]]'''(Tether) | |
+ | |제미니달러 로고.png|'''[[제미니달러]]'''<br>(Gemini Dollar) | ||
+ | |스팀 로고.png|'''[[스팀]]'''(Steeem) | ||
+ | |테라 로고.png|'''[[테라]]'''(Terra) | ||
+ | |트루USD 로고.png|'''[[트루USD]]'''(TrueUSD) | ||
+ | |리브라 로고.png|'''[[리브라]]'''(Libra) | ||
+ | }} | ||
=== 테더 === | === 테더 === | ||
− | 대표적인 달러 페깅 코인으로 [[테더]](Tether)가 있다. 테더는 테더사가 발행한 코인으로 1테더를 1달러에 고정시켜 교환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발급의 주체가 정부가 아닌 사기업이므로 항상 리스크는 존재한다. 기본 시스템은 테더사의 계좌에 10달러를 입금하면, 10테더가 발행된다. 반대로 10테더를 테더사에 가져다주면 10달러로 돌려받는 시스템이다. 그래서 테더 100,000이 발행됐다고 하는 것은 법정화폐가 암호화폐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 + | 대표적인 달러 [[페깅]] 코인으로 [[테더]](Tether)가 있다. 테더는 테더사가 발행한 코인으로 1테더를 1달러에 고정시켜 교환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발급의 주체가 정부가 아닌 사기업이므로 항상 리스크는 존재한다. 기본 시스템은 테더사의 계좌에 10달러를 입금하면, 10테더가 발행된다. 반대로 10테더를 테더사에 가져다주면 10달러로 돌려받는 시스템이다. 그래서 테더 100,000이 발행됐다고 하는 것은 법정화폐가 암호화폐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
테더의 문제는 사기업인 테더사의 의사결정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한다는 점이다. 2017년 테더는 대략 시총이 약 20억 달러(한화 약 2조원) 규모였는데, 테더사의 계좌에 실제로 20억 달러가 예치되어 있는지를 의심하는 루머가 있었다. 간단한 태환제도를 기반으로 하는 테더의 총량이 테더사 통장에 테더 유통량보다 적을 경우 사기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보통 테더가 발행되면 테더는 [[비트파이넥스]](Bitfinex) 거래소로 전송되어 거래가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비트파이넥스사와 테더사가 한 회사라고 봐도 될 만큼 서로 지분이 얽혀 있는 관계라, 내부적으로 테더사에서 [[달러]](USD) 입금 없이 테더를 발행하고, 발행된 테더가 [[비트파이넥스]] 거래소로 가서 임의적으로 비트코인 가격을 올린 것 아니냐라는 의문이 있었다. 만약 2017년 초에 비해 연말 8~10배가 오른 비트코인 가격은 거품이며 테더사 루머가 진실로 밝혀진다면 전체 암호화폐 시장은 장기적인 침체기에 빠질 수 있을 것이다. [[웰스파고]]에서 테더사에 대한 재무 감사를 하였는데, 밝혀지지 않은 이유로 그만두고 대만계 회사가 감사를 맡았다가 또 중단되었다. 결국 미국의 [[FSS]]라는 회사에서 테더사에 대한 감사를 완료하고 "유통되는 테더와 테더사에 예치되어 있는 달러는 금액이 일치한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제출함으로써 루머는 일단락되었다. | 테더의 문제는 사기업인 테더사의 의사결정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한다는 점이다. 2017년 테더는 대략 시총이 약 20억 달러(한화 약 2조원) 규모였는데, 테더사의 계좌에 실제로 20억 달러가 예치되어 있는지를 의심하는 루머가 있었다. 간단한 태환제도를 기반으로 하는 테더의 총량이 테더사 통장에 테더 유통량보다 적을 경우 사기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보통 테더가 발행되면 테더는 [[비트파이넥스]](Bitfinex) 거래소로 전송되어 거래가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비트파이넥스사와 테더사가 한 회사라고 봐도 될 만큼 서로 지분이 얽혀 있는 관계라, 내부적으로 테더사에서 [[달러]](USD) 입금 없이 테더를 발행하고, 발행된 테더가 [[비트파이넥스]] 거래소로 가서 임의적으로 비트코인 가격을 올린 것 아니냐라는 의문이 있었다. 만약 2017년 초에 비해 연말 8~10배가 오른 비트코인 가격은 거품이며 테더사 루머가 진실로 밝혀진다면 전체 암호화폐 시장은 장기적인 침체기에 빠질 수 있을 것이다. [[웰스파고]]에서 테더사에 대한 재무 감사를 하였는데, 밝혀지지 않은 이유로 그만두고 대만계 회사가 감사를 맡았다가 또 중단되었다. 결국 미국의 [[FSS]]라는 회사에서 테더사에 대한 감사를 완료하고 "유통되는 테더와 테더사에 예치되어 있는 달러는 금액이 일치한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제출함으로써 루머는 일단락되었다. | ||
비록 기존 루머는 잠재워졌지만, 스테이블코인으로 [[테더]]가 존재하고 테더사에서 기존의 시스템을 유지하는 한, 비슷한 류의 테더 루머는 또 발생할 수 있다. 테더는 정부 보증이 아닌 기업 보증으로 발행하는 암호화폐이므로 100% 신뢰하기는 어렵다는 근본적인 약점이 존재한다. | 비록 기존 루머는 잠재워졌지만, 스테이블코인으로 [[테더]]가 존재하고 테더사에서 기존의 시스템을 유지하는 한, 비슷한 류의 테더 루머는 또 발생할 수 있다. 테더는 정부 보증이 아닌 기업 보증으로 발행하는 암호화폐이므로 100% 신뢰하기는 어렵다는 근본적인 약점이 존재한다. | ||
+ | |||
+ | === 제미니달러 === | ||
+ | [[제미니달러]]<!--제미니 달러-->(Gemini Dollar)는 미국의 [[제미니]] 거래소가 발행하고 미국 달러 가격과 연동되는 스테이블코인이다. 미국 달러와 연동할 목적으로 만든 코인이라서, 1제미니달러는 항상 1달러의 가치를 가진다. 제미니달러는 [[테더]]와 마찬가지로 달러 가격에 [[페깅]]되어 있는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이다. 2018년 미국의 [[윙클보스]] 형제가 이끄는 제미니 거래소가 만들었다. 2018년 9월 뉴욕금융서비스국(NYDFS)은 제미니달러를 발행하게 해 달라는 요청을 승인했다.<ref>장용승 기자,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8&no=575586 美SEC, 가상화폐 중계사이트 벌금…뉴욕, 달러연동 가상화폐 첫 승인]〉, 《매일경제》, 2018-09-12</ref> | ||
+ | |||
+ | === 스팀달러 === | ||
+ | 스팀달러(Steem Dollars)는 블록체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제공하는 [[스팀잇]](Steemit) 사이트에서 콘텐츠 작성자에게 제공하는 암호화폐이다. 스팀달러는 미국 1달러에 페깅(pegging)되어 있는 스테이블코인이다. 스팀잇에서 [[스팀]]이라는 별도의 암호화폐가 존재하지만, 스팀은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급격한 가격 변동의 영향을 받아 가치의 등락 폭이 매우 커질 수 있다. 이에 가격이 거의 변하지 않고 안정된 스테이블코인이 필요하여, 스팀잇 사이트에서는 스팀과 별개로 스팀달러라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고 있다. 스팀달러는 스팀으로 교환할 수 있으며, 현금으로 환전할 수도 있다. 스팀달러는 스팀의 급격한 가격 변동에 대응할 수 있는 안전 자산의 역할을 한다. | ||
+ | |||
+ | === 테라 === | ||
+ | [[테라]](Terra)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결제용으로 사용하는 암호화폐이다. [[티켓몬스터]] 창시자 겸 이사회 의장인 [[신현성]]이 개발했다. 인터넷 쇼핑몰에서 상품을 주문하고 결제를 진행할 때 코인 가격의 변동이 있으면 곤란하기 때문에, 테라는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항상 일정한 가격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었다. 테라는 [[업비트]], [[바이낸스]], [[후오비]], [[해시드]] 등으로부터 약 360억원의 투자를 받았으며<ref>김가현 기자, 〈[https://blockinpress.com/archives/8471 테라, 바이낸스·FBG 등 360억원 투자 유치…티몬·배민과의 시너지 기대돼]〉, 《블록인프레스》, 2018-08-30</ref>, 2018년 말까지 실제 인터넷 쇼핑몰에서 결제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코인을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테라는 [[티켓몬스터]]뿐 아니라, [[배달의민족]], [[포멜로]], [[티키]] 등 아시아 지역 15개 업체가 참여 의사를 밝혔고, 앞으로 공동 결제 수단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 ||
=== 트루USD === | === 트루USD === | ||
− | |||
− | |||
[[트루USD]]<!--트루유에스디-->는 2017년에 발행된 암호화폐로, [[테더]]의 경쟁자이다. 태환제도를 기반으로 하는 것은 테더와 동일하다. 제3자를 두어서 입금이 되는 동시에 스마트 계약을 통해 트루USD가 발행되는 구조이다. 또한 독자적으로 운영을 하는 테더와는 다르게 [[배커]](Backer)를 두었다. 암호화폐 분야는 물론이고, 전통 벤처 캐피탈 분야에서 최고의 벤처캐피탈 중 하나인 [[앤드리슨 호로위츠]](Andreessen Horowitz)의 암호화폐 전문 벤처 캐피탈인 [[a16z]]를 배커로 둠으로써, 트루USD에 대한 신뢰가 높은 편이다. | [[트루USD]]<!--트루유에스디-->는 2017년에 발행된 암호화폐로, [[테더]]의 경쟁자이다. 태환제도를 기반으로 하는 것은 테더와 동일하다. 제3자를 두어서 입금이 되는 동시에 스마트 계약을 통해 트루USD가 발행되는 구조이다. 또한 독자적으로 운영을 하는 테더와는 다르게 [[배커]](Backer)를 두었다. 암호화폐 분야는 물론이고, 전통 벤처 캐피탈 분야에서 최고의 벤처캐피탈 중 하나인 [[앤드리슨 호로위츠]](Andreessen Horowitz)의 암호화폐 전문 벤처 캐피탈인 [[a16z]]를 배커로 둠으로써, 트루USD에 대한 신뢰가 높은 편이다. | ||
=== 앵커토큰 === | === 앵커토큰 === | ||
− | [[파일:Stronghold1.jpg|300픽셀|썸네일|오른쪽|'''[[스트롱홀드]]'''(Stronghold) | + | [[파일:Stronghold1.jpg|300픽셀|썸네일|오른쪽|'''[[스트롱홀드]]'''(Stronghold)]] |
스타트업 기업인 [[스트롱홀드]]는 [[IBM]]과 제휴를 맺고 2018년 6월 17일 [[앵커토큰]]<!--앵커 토큰-->(Anchor Token)이라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였다. 미국 예금보험공사가 지급보증을 하고 [[네바다]] 주정부로부터 허가를 받은 신탁회사 [[프라임트러스트]]가 1앵커 토큰을 1달러로 신용보증을 하는 것으로 정해져 있다. 미국 달러는 예금보험공사가 지급 보증을 하는데, 이에 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미 스트롱홀드는 정식 회계감사를 받았고, 예금보험공사가 지급보증을 해주는 주요 은행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스트롱홀드는 [[트루USD]]와도 협약을 맺었다. 앵커토큰을 보유한 이들은 토큰을 달러로 사거나 팔 때마다 KYC-AML 등 관련 신원 검증 절차를 거쳐야 한다. | 스타트업 기업인 [[스트롱홀드]]는 [[IBM]]과 제휴를 맺고 2018년 6월 17일 [[앵커토큰]]<!--앵커 토큰-->(Anchor Token)이라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였다. 미국 예금보험공사가 지급보증을 하고 [[네바다]] 주정부로부터 허가를 받은 신탁회사 [[프라임트러스트]]가 1앵커 토큰을 1달러로 신용보증을 하는 것으로 정해져 있다. 미국 달러는 예금보험공사가 지급 보증을 하는데, 이에 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미 스트롱홀드는 정식 회계감사를 받았고, 예금보험공사가 지급보증을 해주는 주요 은행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스트롱홀드는 [[트루USD]]와도 협약을 맺었다. 앵커토큰을 보유한 이들은 토큰을 달러로 사거나 팔 때마다 KYC-AML 등 관련 신원 검증 절차를 거쳐야 한다. | ||
41번째 줄: | 59번째 줄: | ||
IBM에서는 앞으로 기업들이 수출 등을 위한 외환 [[헷지]]의 필요성이 없어진다고 말한다. 이제 해외 송금 및 외환 결제는 결제와 동시에 시스템으로 이뤄지는 간편한 절차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이미 IBM은 [[스텔라루멘]] 블록체인 프로토콜과 협력해 자체 토큰인 [[루멘스]]를 발행하고, 남태평양 섬나라들 사이의 송금, 환전 서비스에 실제로 사용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 IBM에서는 앞으로 기업들이 수출 등을 위한 외환 [[헷지]]의 필요성이 없어진다고 말한다. 이제 해외 송금 및 외환 결제는 결제와 동시에 시스템으로 이뤄지는 간편한 절차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이미 IBM은 [[스텔라루멘]] 블록체인 프로토콜과 협력해 자체 토큰인 [[루멘스]]를 발행하고, 남태평양 섬나라들 사이의 송금, 환전 서비스에 실제로 사용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 ||
− | [[파일: | + | === 리브라 === |
+ | [[파일:리브라 글자.png|썸네일|300픽셀|'''[[리브라]]'''(Libra)]] | ||
− | == | + | 2019년 6월 [[페이스북]](Facebook)은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용 암호화폐인 '''[[리브라]]'''(Libra)를 만들겠다고 발표했다. 리브라는 가격 변동이 거의 없는 스테이블코인에 속한다. |
− | + | ||
− | + | == 문제점과 과제 == | |
+ | [[파일:USDTchart.jpg|300픽셀|썸네일|오른쪽|'''[[테더]]'''의 가격 변동 차트]] | ||
+ | |||
+ | 스테이블코인은 본질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테더]]와 [[트루USD]]는 둘다 1달러에 가격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1달러 = 1테더 = 1트루USD가 된다. 그런데 시장에서 테더와 트루USD의 가격이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 | ||
+ | |||
+ | 가령 엄청난 루머로 인해 [[비트코인]] 가격이 폭락하는 경우 노련한 트레이더는 비트코인에서 테더로 [[헷지]]를 시도하는데, 이 말은 즉 "시장에서 테더의 수요가 많아진다"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 경우 1테더는 = 0.89USD 같이 시세 변동이 발생할 수 있다. 가치에 이어서 1:1 교환 비율이 보장되어야 할 스테이블코인이 법정화폐보다 더 비싸질 수 있다. | ||
+ | |||
+ | 반대의 경우도 있다. 비트코인 폭등 시 1테더 = 1.2USD와 같은 시세 변동이 발생하면, 웃돈을 주고라도 달러를 사서 비트코인을 사려는 자본 수요가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스테이블해야 할 스테이블코인이 전혀 스테이블하지 못하며 고점과 저점이 20% 정도 가격 차이가 날수 있다는 점은 테더류 코인의 근본적 약점이다. | ||
+ | |||
+ | 스테이블코인은 기초적인 경제 원리에 위배된다는 비판이 있다. 불특정한 가격에 코인을 구매하는 시스템의 유저들에게 인센티브를 줄 수 있다고 가정하는 것은 기본 경제 원리에 위배된다는 비판이다. 가격은 원래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판매자와 구매자의 의사가 합치되어 결정되기 때문에, 사람들이 스테이블코인을 구매하지 않으면 그 시스템은 붕괴될 것이라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ref>Mike Orcutt, "[https://www.technologyreview.com/s/611370/stablecoins-are-trending-but-they-may-ignore-basic-economics/amp/?__twitter_impression=true “Stablecoins” are trending, but they may ignore basic economics]", ''MIT Technology Review'', 2018-06-07</ref> | ||
+ | |||
+ | == 규제 필요성 == | ||
+ | 2022년 5월 일어난 [[루나]]·[[테라]] 폭락 사건에 미국 고위 당국자들이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규제 필요성을 주장했다. [[재닛 옐런]](Janet Louise Yellen) 미국 재무장관은 미국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 참석해 루나·테라 폭락을 언급하며 스테이블코인은 급격히 성장하는 상품이며 금융 안정성에 위험이 있다고 밝혔다. 루나·테라 사건과 연관하여 스테이블코인이 금융 안정성과 관련한 위험이 있고, 적절한 규제 프레임워크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현행법상 스테이블코인 등에 대한 포괄적인 기준이 없는 만큼, 의회에서 스테이블코인 발행업체를 은행처럼 규제하는 법안을 만들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개리 겐슬러]](Gary Gensler)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도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스테이블코인과 관련해 거래소를 규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테더]] 등 3대 스테이블코인은 거래소와 관련 있는데, 플랫폼들이 거래 활성화 및 돈세탁 방지법 우회 등을 위해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ref> 김진범 기자, 〈[http://coinreaders.com/32859 '루나·테라' 폭락 충격..."美 SEC, UST 디페깅 사태 조사 가능성 있다"]〉, 《코인리더스》, 2022-05-12 </ref><ref> 김제이 기자,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511_0001867121&cID=10401&pID=10400 스테이블 코인 테라의 몰락?…코인시장에 암운]〉, 《뉴시스》, 2022-05-11 </ref> | ||
+ | |||
+ | ==동영상== | ||
+ | <youtube>AOal2x-ixJo</youtube> | ||
+ | <youtube>Q-rnA1hDgs8</youtube> | ||
+ | <youtube>Ip7bKoaKSjI</youtube> | ||
{{각주}} | {{각주}} | ||
== 참고자료 == | == 참고자료 == | ||
− | * Mike Orcutt, "[https://www.technologyreview.com/s/611370/stablecoins-are-trending-but-they-may-ignore-basic-economics/amp/?__twitter_impression=true “Stablecoins” are trending, but they may ignore basic economics]", ''MIT Technology Review'', 2018-06-07 | + | ; 영어 |
− | * | + | * Mike Orcutt, "[https://www.technologyreview.com/s/611370/stablecoins-are-trending-but-they-may-ignore-basic-economics/amp/?__twitter_impression=true “Stablecoins” are trending, but they may ignore basic economics]", ''MIT Technology Review'', 2018-06-07 |
+ | |||
+ | ; 한국어 | ||
+ | * 박현영, 심두보 기자, 〈[https://decenter.sedaily.com/NewsView/1S74DJZPGZ (화폐를 꿈꾸는 스테이블코인)②'암호화폐 담보부터 알고리즘 중앙은행까지'...중앙화를 탈피하라]〉, 《서울경제》, 2018-11-09 | ||
+ | * FindChain 최범규, 최유리, 김서진 PD, 〈[https://findchain.kr/%EC%8A%A4%ED%85%8C%EC%9D%B4%EB%B8%94-%EC%BD%94%EC%9D%B8stable-coin-%ED%95%9C-%EB%88%88%EC%97%90-%EC%9D%B4%ED%95%B4%ED%95%98%EA%B8%B0/ 스테이블 코인(Stable Coin), 한 눈에 이해하기!]〉, 《파인드체인》, 2018-09-12 | ||
+ | * CoMa, 〈[http://blog.behindicos.com/221335025271 스테이블 코인이란?]〉, 《비하인드ICOs》, 2018-08-08 | ||
+ | * Taegun Charles Kim, 〈[https://medium.com/decon-lab/stablecoin-하나하나-살펴보기-1-d69f431117d9 The World of Stablecoins : 스테이블코인 대동여지도 (1)]〉, 《미디엄》, 2018-07-23 | ||
+ | * Taegun Charles Kim, 〈[https://medium.com/decon-lab/the-world-of-stablecoins-스테이블코인-대동여지도-2-f4b33faea4ba The World of Stablecoins : 스테이블코인 대동여지도 (2)]〉, 《미디엄》, 2018-08-28 | ||
* kornfrost, 〈[https://kornfrost.wordpress.com/2018/03/25/%ED%8E%98%EA%B9%85%EC%BD%94%EC%9D%B8-%EB%B6%88%EA%B0%80%EB%8A%A5%EC%84%B1-%EC%82%BC%EA%B0%81%EC%A0%95%EB%A6%AC-%EC%8A%A4%ED%8C%80%EA%B3%BC-%ED%85%8C%EB%8D%94/ 페깅코인, 불가능성 삼각정리, 스팀과 테더]〉, 《워드프레스 블로그》, 2018-03-25 | * kornfrost, 〈[https://kornfrost.wordpress.com/2018/03/25/%ED%8E%98%EA%B9%85%EC%BD%94%EC%9D%B8-%EB%B6%88%EA%B0%80%EB%8A%A5%EC%84%B1-%EC%82%BC%EA%B0%81%EC%A0%95%EB%A6%AC-%EC%8A%A4%ED%8C%80%EA%B3%BC-%ED%85%8C%EB%8D%94/ 페깅코인, 불가능성 삼각정리, 스팀과 테더]〉, 《워드프레스 블로그》, 2018-03-25 | ||
* kornfrost, 〈[https://kornfrost.wordpress.com/2018/03/26/the-market-for-cryptocurrency-white-2015/ The Market for Cryptocurrency (White 2015)]〉, 《워드프레스 블로그》, 2018-03-26 | * kornfrost, 〈[https://kornfrost.wordpress.com/2018/03/26/the-market-for-cryptocurrency-white-2015/ The Market for Cryptocurrency (White 2015)]〉, 《워드프레스 블로그》, 2018-03-26 | ||
+ | * Blockchain Garage, 〈[http://blog.naver.com/sniperngw/221295443463 기초적인 경제이론을 무시하는 핫한 "Stablecoins"]〉, 《네이버 블로그》, 2018-06-10 | ||
+ | * kblock, 〈[https://steemit.com/kr/@kblock/13-stablecoin (케블리) #14. Stablecoin(가치안정화폐) - 어떻게 일정한 가치를 유지하는 화폐를 만들 수 있을까?]〉, 《스팀잇》, 2018-03-16 | ||
+ | * 야옹메롱, 〈[https://blog.naver.com/mage7th/221465508406 (스테이블 코인) 개념과 이론 및 장단점, 비트웨어와 메이커의 가격유지 매커니즘]〉, 《네이버 블로그》, 2019-02-14 | ||
+ | * 최규현 기자, 〈[https://www.bei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28873 (2019 결산-스테이블 코인) 탈중앙화 조직에서부터 중앙은행까지]〉, 《[[비아이뉴스]]》, 2019-11-11 | ||
+ | * 김진범 기자, 〈[http://coinreaders.com/32859 '루나·테라' 폭락 충격..."美 SEC, UST 디페깅 사태 조사 가능성 있다"]〉, 《코인리더스》, 2022-05-12 | ||
+ | * 김제이 기자,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511_0001867121&cID=10401&pID=10400 스테이블 코인 테라의 몰락?…코인시장에 암운]〉, 《뉴시스》, 2022-05-11 | ||
== 같이 보기 == | == 같이 보기 == | ||
+ | * [[암호화폐]] | ||
+ | * [[법정화폐]] | ||
+ | * [[달러]] | ||
* [[테더]] | * [[테더]] | ||
+ | * [[스팀달러]] | ||
+ | * [[다이]] | ||
+ | * [[베이시스]] | ||
+ | * [[테라]] | ||
+ | * [[스낵]] | ||
* [[트루USD]] | * [[트루USD]] | ||
+ | * [[유에스디코인]] | ||
* [[앵커토큰]] | * [[앵커토큰]] | ||
− | * [[ | + | * [[누비츠]] |
− | * [[ | + | * [[리브라]] |
− | |||
− | + | {{암호화폐 분류|좋은글}} |
2023년 4월 13일 (목) 13:03 기준 최신판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은 법정화폐로 표시한 코인의 가격이 거의 변동하지 않고 안정된 암호화폐를 말한다. 가치안정화폐라고도 한다. 암호화폐의 가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법정화폐 또는 다른 암호화폐를 담보로 잡거나, 정교한 알고리즘에 의해 공급량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스테이블코인을 구현할 수 있다. 스테이블코인의 사례로 테더(Tether), 제미니달러(Gemini Dollar), 스팀달러(Steem Dollars), 다이(DAI), 베이시스(Basis), 테라(Terra), 스낵(Snack), 트루USD(True USD), 유에스디코인(USDcoin), 팍소스스탠다드(Paxos Standard), 앵커토큰(Anchor Token) 등이 있다. 2019년 페이스북이 공개한 리브라 백서에 따르면, 리브라(Libra)는 가격 변동이 거의 없는 스테이블코인에 속한다.
목차
개념[편집]
암호화폐는 일반적으로 가격 변동성이 크다. 심지어 1~2시간 사이에 몇 배를 오르고 내리는 코인도 있다.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적은 비트코인도 심한 경우 하루에 10% 내외의 변동이 발생되기도 한다. 암호화폐에 투자하는 경우, 예측 불가능한 가격 변동에 많은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이러한 가격 변동은 암호화폐에서 아직 풀지 못한 문제 중의 하나이다. 국내 거래에서도 암호화폐의 가격 안정성이 필요한 경우가 있지만, 특히 수출·송금 등 해외 거래에서는 급격한 변동성 및 수수료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암호화폐가 안정적 가치만 보장된다면, 널리 사용될 수 있다. 기간에 따른 환율 차이 등의 변동성이 없다면, 거래 당사자들은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다. 이런 필요에 의해 가격이 안정된 스테이블코인이 등장하게 되었다. 스테이블코인의 개념은 오래 되었는데, 테더(Tether), 트루USD(TrueUSD) 등 달러 페깅(pegging) 토큰은 이미 여러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다.[1] 페깅(pegging)이란 "못을 박아서 고정시키기"라는 뜻으로서, 암호화폐의 가격이 마치 못을 박아놓은 듯이 법정화폐에 가치에 고정되어 있다는 뜻이다.
종류[편집]
지금까지의 스테이블코인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법정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편집]
법정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fiat-collateraliteralized stablecoins)은 법정화폐와 일대일 관계로 유지되는 암호화폐이다. 가장 대표적인 스테이블코인으로 꼽히는 테더(Tether)는 테더 토큰 1개의 가치를 미국 달러 1달러로 고정하여 코인을 발행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뉴욕주 재정분과위원회의 정식 승인을 얻은 팍소스스탠다드(Paxos Standard) 토큰 역시 1 Pax가 1 USD의 가치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미션내셔널뱅크와 업무 제휴를 맺은 글루와코인 역시 1 USD-G가 1 USD의 가치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렇게 법정화폐를 담보로 법정화폐의 가치에 암호화폐의 가치를 연동하면 가격은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지만, 다른 비용이 든다. 즉, 테더 공급량(통화량)을 감당할 수 있을 만큼 많은 달러를 별도로 비축해 두고 있어야 한다. 이로 인해 네트워크를 운영하는데 규모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테더 공급량에 대응해 그 금액에 해당하는 달러를 실제로 비축해 놓은 것이 맞는지 외부 감사를 해야 하는 등 추가로 밟아야 할 절차도 늘어난다. 그럼에도 전통적인 화폐와 마찬가지로 변동 통화 방식으로 기능하는 법정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은 이용자들에게 기존 법정화폐 대비 편리성을 주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암호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편집]
암호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crypto-collateralized stablecoins)은 법정화폐에 그 가치를 연동하는 대신, 일정량의 암호화폐를 담보로 맡긴 뒤 고정된 비율에 따라 담보물에 해당하는 스테이블코인을 빌려 쓰는 것이다. 실제로 이 절차를 운영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시스템마다 다르다. 메이커다오(MakerDAO)라는 탈중앙화 조직이 운영·관리하는 다이(Dai) 코인이 하나의 예가 될 수 있다. 리저브(Reserve)라는 이름의 프로젝트도 암호화폐를 담보로 운영하는 스테이블코인에 속한다. 암호화폐 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브라(ABRA)에서는 총 23개 암호화폐와 50개 법정화폐를 담보로 취급하며, 그에 따라 비트코인이나 라이트코인 등을 빌려준다.
암호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의 가장 큰 문제는 여전히 전체 암호화폐 시장의 변화에 따라 담보로 받은 물건의 가치가 변동될 수 있다는 점이다. 아브라는 이러한 시장의 변화에 노출되는 효과를 실질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혁신적인 메커니즘을 도입해 이러한 위험을 관리한다. 암호화폐를 담보로 하는 스테이블코인의 장점은 역시 탈중앙화 분산 구조를 바탕으로 한 암호화폐를 담보로 받음으로써, 암호화폐 기반 기술로 혁신적인 메커니즘을 이어갈 수 있다는 데 있다. 법정화폐의 담보 없이 자생할 수 있는 시스템인 비트셰어(Bitshares)도 이에 해당된다.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편집]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algorithm controlled stablecoins)은 수요에 따라 공급량을 계속 조정하는 방식으로 가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암호화폐이다. 베이시스(Basis)라는 프로젝트가 좋은 예다. 이 모델은 기존의 통화처럼 기능하려고 자산을 담보해두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담보를 받을 필요가 없으므로 규모를 키우는 데 제약이 없다. 반면에 담보가 없으므로 시스템에 대한 신뢰가 있어야만 스테이블코인이 돌아가게 된다. 베이시스는 네트워크의 소프트웨어를 관장하는 알고리즘을 신뢰하는 대상으로 내세운다. 이런 식으로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 과연 가능할지는 시간이 지나면 알 수 있을 것이다.[2] 더 높은 차원에서 생각해보면 스테이블코인은 전통적인 은행과 이른바 비위탁 지갑(non-custodial wallets)처럼 완전히 탈중앙화된 거래소 사이의 다리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미국 월스트리트의 암호화폐 애널리스트인 톰 리(Thomas Lee)는 2018년 11월 30일 한국을 방문하여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그는 "현재 시점에서는 테더(USDT)나 제미니달러(GUSD) 같은 법정화폐 연동 스테이블코인들이 더 폭넓게 쓰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알고리즘으로 가격을 유지하는 스테이블코인들은 아이디어는 좋으나, 프로젝트 하나가 실패하면 나머지 프로젝트들도 신뢰 받기 힘든 단점이 있다."고 말했다.[3]
주요 사례[편집]
테더[편집]
대표적인 달러 페깅 코인으로 테더(Tether)가 있다. 테더는 테더사가 발행한 코인으로 1테더를 1달러에 고정시켜 교환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발급의 주체가 정부가 아닌 사기업이므로 항상 리스크는 존재한다. 기본 시스템은 테더사의 계좌에 10달러를 입금하면, 10테더가 발행된다. 반대로 10테더를 테더사에 가져다주면 10달러로 돌려받는 시스템이다. 그래서 테더 100,000이 발행됐다고 하는 것은 법정화폐가 암호화폐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테더의 문제는 사기업인 테더사의 의사결정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한다는 점이다. 2017년 테더는 대략 시총이 약 20억 달러(한화 약 2조원) 규모였는데, 테더사의 계좌에 실제로 20억 달러가 예치되어 있는지를 의심하는 루머가 있었다. 간단한 태환제도를 기반으로 하는 테더의 총량이 테더사 통장에 테더 유통량보다 적을 경우 사기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보통 테더가 발행되면 테더는 비트파이넥스(Bitfinex) 거래소로 전송되어 거래가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비트파이넥스사와 테더사가 한 회사라고 봐도 될 만큼 서로 지분이 얽혀 있는 관계라, 내부적으로 테더사에서 달러(USD) 입금 없이 테더를 발행하고, 발행된 테더가 비트파이넥스 거래소로 가서 임의적으로 비트코인 가격을 올린 것 아니냐라는 의문이 있었다. 만약 2017년 초에 비해 연말 8~10배가 오른 비트코인 가격은 거품이며 테더사 루머가 진실로 밝혀진다면 전체 암호화폐 시장은 장기적인 침체기에 빠질 수 있을 것이다. 웰스파고에서 테더사에 대한 재무 감사를 하였는데, 밝혀지지 않은 이유로 그만두고 대만계 회사가 감사를 맡았다가 또 중단되었다. 결국 미국의 FSS라는 회사에서 테더사에 대한 감사를 완료하고 "유통되는 테더와 테더사에 예치되어 있는 달러는 금액이 일치한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제출함으로써 루머는 일단락되었다.
비록 기존 루머는 잠재워졌지만, 스테이블코인으로 테더가 존재하고 테더사에서 기존의 시스템을 유지하는 한, 비슷한 류의 테더 루머는 또 발생할 수 있다. 테더는 정부 보증이 아닌 기업 보증으로 발행하는 암호화폐이므로 100% 신뢰하기는 어렵다는 근본적인 약점이 존재한다.
제미니달러[편집]
제미니달러(Gemini Dollar)는 미국의 제미니 거래소가 발행하고 미국 달러 가격과 연동되는 스테이블코인이다. 미국 달러와 연동할 목적으로 만든 코인이라서, 1제미니달러는 항상 1달러의 가치를 가진다. 제미니달러는 테더와 마찬가지로 달러 가격에 페깅되어 있는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이다. 2018년 미국의 윙클보스 형제가 이끄는 제미니 거래소가 만들었다. 2018년 9월 뉴욕금융서비스국(NYDFS)은 제미니달러를 발행하게 해 달라는 요청을 승인했다.[4]
스팀달러[편집]
스팀달러(Steem Dollars)는 블록체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제공하는 스팀잇(Steemit) 사이트에서 콘텐츠 작성자에게 제공하는 암호화폐이다. 스팀달러는 미국 1달러에 페깅(pegging)되어 있는 스테이블코인이다. 스팀잇에서 스팀이라는 별도의 암호화폐가 존재하지만, 스팀은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급격한 가격 변동의 영향을 받아 가치의 등락 폭이 매우 커질 수 있다. 이에 가격이 거의 변하지 않고 안정된 스테이블코인이 필요하여, 스팀잇 사이트에서는 스팀과 별개로 스팀달러라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고 있다. 스팀달러는 스팀으로 교환할 수 있으며, 현금으로 환전할 수도 있다. 스팀달러는 스팀의 급격한 가격 변동에 대응할 수 있는 안전 자산의 역할을 한다.
테라[편집]
테라(Terra)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결제용으로 사용하는 암호화폐이다. 티켓몬스터 창시자 겸 이사회 의장인 신현성이 개발했다. 인터넷 쇼핑몰에서 상품을 주문하고 결제를 진행할 때 코인 가격의 변동이 있으면 곤란하기 때문에, 테라는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항상 일정한 가격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었다. 테라는 업비트, 바이낸스, 후오비, 해시드 등으로부터 약 360억원의 투자를 받았으며[5], 2018년 말까지 실제 인터넷 쇼핑몰에서 결제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코인을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테라는 티켓몬스터뿐 아니라, 배달의민족, 포멜로, 티키 등 아시아 지역 15개 업체가 참여 의사를 밝혔고, 앞으로 공동 결제 수단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트루USD[편집]
트루USD는 2017년에 발행된 암호화폐로, 테더의 경쟁자이다. 태환제도를 기반으로 하는 것은 테더와 동일하다. 제3자를 두어서 입금이 되는 동시에 스마트 계약을 통해 트루USD가 발행되는 구조이다. 또한 독자적으로 운영을 하는 테더와는 다르게 배커(Backer)를 두었다. 암호화폐 분야는 물론이고, 전통 벤처 캐피탈 분야에서 최고의 벤처캐피탈 중 하나인 앤드리슨 호로위츠(Andreessen Horowitz)의 암호화폐 전문 벤처 캐피탈인 a16z를 배커로 둠으로써, 트루USD에 대한 신뢰가 높은 편이다.
앵커토큰[편집]
스타트업 기업인 스트롱홀드는 IBM과 제휴를 맺고 2018년 6월 17일 앵커토큰(Anchor Token)이라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였다. 미국 예금보험공사가 지급보증을 하고 네바다 주정부로부터 허가를 받은 신탁회사 프라임트러스트가 1앵커 토큰을 1달러로 신용보증을 하는 것으로 정해져 있다. 미국 달러는 예금보험공사가 지급 보증을 하는데, 이에 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미 스트롱홀드는 정식 회계감사를 받았고, 예금보험공사가 지급보증을 해주는 주요 은행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스트롱홀드는 트루USD와도 협약을 맺었다. 앵커토큰을 보유한 이들은 토큰을 달러로 사거나 팔 때마다 KYC-AML 등 관련 신원 검증 절차를 거쳐야 한다.
IBM에서는 앞으로 기업들이 수출 등을 위한 외환 헷지의 필요성이 없어진다고 말한다. 이제 해외 송금 및 외환 결제는 결제와 동시에 시스템으로 이뤄지는 간편한 절차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이미 IBM은 스텔라루멘 블록체인 프로토콜과 협력해 자체 토큰인 루멘스를 발행하고, 남태평양 섬나라들 사이의 송금, 환전 서비스에 실제로 사용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리브라[편집]
2019년 6월 페이스북(Facebook)은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용 암호화폐인 리브라(Libra)를 만들겠다고 발표했다. 리브라는 가격 변동이 거의 없는 스테이블코인에 속한다.
문제점과 과제[편집]
스테이블코인은 본질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테더와 트루USD는 둘다 1달러에 가격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1달러 = 1테더 = 1트루USD가 된다. 그런데 시장에서 테더와 트루USD의 가격이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
가령 엄청난 루머로 인해 비트코인 가격이 폭락하는 경우 노련한 트레이더는 비트코인에서 테더로 헷지를 시도하는데, 이 말은 즉 "시장에서 테더의 수요가 많아진다"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 경우 1테더는 = 0.89USD 같이 시세 변동이 발생할 수 있다. 가치에 이어서 1:1 교환 비율이 보장되어야 할 스테이블코인이 법정화폐보다 더 비싸질 수 있다.
반대의 경우도 있다. 비트코인 폭등 시 1테더 = 1.2USD와 같은 시세 변동이 발생하면, 웃돈을 주고라도 달러를 사서 비트코인을 사려는 자본 수요가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스테이블해야 할 스테이블코인이 전혀 스테이블하지 못하며 고점과 저점이 20% 정도 가격 차이가 날수 있다는 점은 테더류 코인의 근본적 약점이다.
스테이블코인은 기초적인 경제 원리에 위배된다는 비판이 있다. 불특정한 가격에 코인을 구매하는 시스템의 유저들에게 인센티브를 줄 수 있다고 가정하는 것은 기본 경제 원리에 위배된다는 비판이다. 가격은 원래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판매자와 구매자의 의사가 합치되어 결정되기 때문에, 사람들이 스테이블코인을 구매하지 않으면 그 시스템은 붕괴될 것이라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6]
규제 필요성[편집]
2022년 5월 일어난 루나·테라 폭락 사건에 미국 고위 당국자들이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규제 필요성을 주장했다. 재닛 옐런(Janet Louise Yellen) 미국 재무장관은 미국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 참석해 루나·테라 폭락을 언급하며 스테이블코인은 급격히 성장하는 상품이며 금융 안정성에 위험이 있다고 밝혔다. 루나·테라 사건과 연관하여 스테이블코인이 금융 안정성과 관련한 위험이 있고, 적절한 규제 프레임워크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현행법상 스테이블코인 등에 대한 포괄적인 기준이 없는 만큼, 의회에서 스테이블코인 발행업체를 은행처럼 규제하는 법안을 만들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개리 겐슬러(Gary Gensler)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도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스테이블코인과 관련해 거래소를 규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테더 등 3대 스테이블코인은 거래소와 관련 있는데, 플랫폼들이 거래 활성화 및 돈세탁 방지법 우회 등을 위해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7][8]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 ↑ kornfrost, 〈페깅코인, 불가능성 삼각정리, 스팀과 테더〉, 《워드프레스 블로그》, 2018-03-25
- ↑ kornfrost, 〈The Market for Cryptocurrency (White 2015)〉, 《워드프레스 블로그》, 2018-03-26
- ↑ 박현영 기자, 〈톰 리 “암호화폐 저평가 국면…비트코인 3~6개월내 크게 반등”〉, 《서울경제》, 2018-11-30
- ↑ 장용승 기자, 〈美SEC, 가상화폐 중계사이트 벌금…뉴욕, 달러연동 가상화폐 첫 승인〉, 《매일경제》, 2018-09-12
- ↑ 김가현 기자, 〈테라, 바이낸스·FBG 등 360억원 투자 유치…티몬·배민과의 시너지 기대돼〉, 《블록인프레스》, 2018-08-30
- ↑ Mike Orcutt, "“Stablecoins” are trending, but they may ignore basic economics", MIT Technology Review, 2018-06-07
- ↑ 김진범 기자, 〈'루나·테라' 폭락 충격..."美 SEC, UST 디페깅 사태 조사 가능성 있다"〉, 《코인리더스》, 2022-05-12
- ↑ 김제이 기자, 〈스테이블 코인 테라의 몰락?…코인시장에 암운〉, 《뉴시스》, 2022-05-11
참고자료[편집]
- 영어
- Mike Orcutt, "“Stablecoins” are trending, but they may ignore basic economics", MIT Technology Review, 2018-06-07
- 한국어
- 박현영, 심두보 기자, 〈(화폐를 꿈꾸는 스테이블코인)②'암호화폐 담보부터 알고리즘 중앙은행까지'...중앙화를 탈피하라〉, 《서울경제》, 2018-11-09
- FindChain 최범규, 최유리, 김서진 PD, 〈스테이블 코인(Stable Coin), 한 눈에 이해하기!〉, 《파인드체인》, 2018-09-12
- CoMa, 〈스테이블 코인이란?〉, 《비하인드ICOs》, 2018-08-08
- Taegun Charles Kim, 〈The World of Stablecoins : 스테이블코인 대동여지도 (1)〉, 《미디엄》, 2018-07-23
- Taegun Charles Kim, 〈The World of Stablecoins : 스테이블코인 대동여지도 (2)〉, 《미디엄》, 2018-08-28
- kornfrost, 〈페깅코인, 불가능성 삼각정리, 스팀과 테더〉, 《워드프레스 블로그》, 2018-03-25
- kornfrost, 〈The Market for Cryptocurrency (White 2015)〉, 《워드프레스 블로그》, 2018-03-26
- Blockchain Garage, 〈기초적인 경제이론을 무시하는 핫한 "Stablecoins"〉, 《네이버 블로그》, 2018-06-10
- kblock, 〈(케블리) #14. Stablecoin(가치안정화폐) - 어떻게 일정한 가치를 유지하는 화폐를 만들 수 있을까?〉, 《스팀잇》, 2018-03-16
- 야옹메롱, 〈(스테이블 코인) 개념과 이론 및 장단점, 비트웨어와 메이커의 가격유지 매커니즘〉, 《네이버 블로그》, 2019-02-14
- 최규현 기자, 〈(2019 결산-스테이블 코인) 탈중앙화 조직에서부터 중앙은행까지〉, 《비아이뉴스》, 2019-11-11
- 김진범 기자, 〈'루나·테라' 폭락 충격..."美 SEC, UST 디페깅 사태 조사 가능성 있다"〉, 《코인리더스》, 2022-05-12
- 김제이 기자, 〈스테이블 코인 테라의 몰락?…코인시장에 암운〉, 《뉴시스》, 2022-05-11
같이 보기[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