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세대분) (태그: 모바일 편집, 모바일 웹 편집) |
(태그: 모바일 편집, 모바일 웹 편집)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는 1996년 1월 30일 [[일산선]] 개통과 함께 도입된 [[한국철도공사]]의 [[통근형 전동차]]다. 현재 [[서울 지하철 3호선]]과 직결 운행하고 있으며, 이 | + |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는 1996년 1월 30일 [[일산선]] 개통과 함께 도입된 [[한국철도공사]]의 [[통근형 전동차]]다. 현재 [[서울 지하철 3호선]]과 직결 운행하고 있으며, 이 [[전동차]]는 [[한국철도공사]]의 [[통근형 전동차]] 중 유일무이한 직류 1,500V 전용으로, [[서울교통공사]]에 수탁 관리 운영되어, 교류 구간의 운행은 매우 불가능한 차량이다. 현재 16개 편성(160량)이 운행 중이다. |
− | == 3호선 최초의 VVVF 전동차 == | + | == 3호선 최초의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 [[전동차]] == |
+ | 1996년 1월 30일에 개통된 [[일산선]]은 기존 [[진접선]], [[서울 지하철 4호선]], [[과천선]], [[안산선]] 직결 운행 시 문제가 됐던 좌·우측 통행 및 직·교류 전기 공급 방식의 혼선 문제로 발생한 차량, 운용, 시설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 철도법에 의거하여 설치되어, [[서울교통공사]] 소속의 [[지축차량기지]]에서 담당한다. | ||
== 기술적 사양 == | == 기술적 사양 == | ||
13번째 줄: | 14번째 줄: | ||
=== 내장재 교체 사업 및 도색 변경 === | === 내장재 교체 사업 및 도색 변경 === | ||
=== 측면 로고 === | === 측면 로고 === | ||
− | === 측면 | + | 측면 코레일 로고가 'Let's Korail' 스티커로 모두 변경됐다. 이전은 다른 코레일 열차와 같이 코레일 스티커가 부착되기도 했다. |
− | 현재 | + | |
+ | === 측면 [[LED]] 가동 중단 === | ||
+ | 현재 [[스크린도어]]가 모두 설치되어 앞칸과 뒷칸을 제외한 측면 [[LED]]가 소등됐다. | ||
== 편성 == | == 편성 == | ||
23번째 줄: | 26번째 줄: | ||
== 배속 == | == 배속 == | ||
+ | * 3×68~70, 3×87~99편성: 지축차량기지, 10량 | ||
== 현재 운행구간 == | == 현재 운행구간 == | ||
30번째 줄: | 34번째 줄: | ||
== 도입 역사 == | == 도입 역사 == | ||
− | 초창기 도입분은 1세대의 경우 1호선에서 운행된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 1차분 차량( | + | 초창기 도입분은 1세대의 경우 1호선에서 운행된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 1차분 차량(C101~C106편성), 4호선 운행된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1차분 차량(C401~C409, C451~C463편성)을 기반으로 제작됐으며, 이후 각종 설비 변경을 계속 거듭하면서 총 2차례에 결쳐 도입이 이뤄졌다. 전두부 형상을 기준으로 크게 3세대로 나뉜다. |
=== 1세대(1차분) 1995년 8월 25일~1997년 8월 26일 === | === 1세대(1차분) 1995년 8월 25일~1997년 8월 26일 === | ||
* 지축차량기지 소속: 3×71~86편성(총 16개 편성) | * 지축차량기지 소속: 3×71~86편성(총 16개 편성) | ||
* 제작사: [[현대정공]] | * 제작사: [[현대정공]] | ||
− | * 제어방식: VVVF-GTO([[미쓰비시]]) | + | * 제어방식: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게이트 턴오프 사이리스터|GTO]]([[미쓰비시]]) |
− | 초창기에 도입된 3×71~77편성은 1996년 1월 30일 일산선 지축~대화 개통 및 [[서울 지하철 3호선]] 직결 운행과 함께 도입됐으며, 이후 3×78~83편성은 1996년 1차 증차분으로, 3×84~86편성은 1997년 2차 증차분으로 도입된 편성이다. 16개 편성 160량 모두 '''[[현대정공]] 창원공장'''에서 제작됐다. 2차 증차분의 경우 2022년 9월 3×84편성은 극심한 차량 노후화 및 주요 부품 결함, 3×85~86편성은 내구 연한 만료에 의해 영구 휴차됐다가 2022년 10월에 차적 삭제 및 결번 처리 후 2022년 12월에 반출 및 [[폐차]] 매각이 이뤄졌다. 2023년 8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3×79~81편성을 제외한 차량의 운행이 영구 중단됐으며, 3×79~81편성 또한 CCTV 설치예정 없음에 따라 2024년 6월 21일 전 편성이 퇴역했다. | + | 초창기에 도입된 3×71~77편성은 1996년 1월 30일 [[일산선]] 지축~대화 개통 및 [[서울 지하철 3호선]] 직결 운행과 함께 도입됐으며, 이후 3×78~83편성은 1996년 1차 증차분으로, 3×84~86편성은 1997년 2차 증차분으로 도입된 편성이다. 16개 편성 160량 모두 '''[[현대정공]] 창원공장'''에서 제작됐다. 2차 증차분의 경우 2022년 9월 3×84편성은 극심한 차량 노후화 및 주요 부품 결함, 3×85~86편성은 내구 연한 만료에 의해 영구 휴차됐다가 2022년 10월에 차적 삭제 및 결번 처리 후 2022년 12월에 반출 및 [[폐차]] 매각이 이뤄졌다. 2023년 8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3×79~81편성을 제외한 차량의 운행이 영구 중단됐으며, 3×79~81편성 또한 [[CCTV]] 설치예정 없음에 따라 2024년 6월 21일 전 편성이 퇴역했다. |
=== 2세대(2차분) 2022년 7월 28일~2023년 1월 30일 === | === 2세대(2차분) 2022년 7월 28일~2023년 1월 30일 === | ||
* 지축차량기지 소속: 3×87~94편성(총 8개 편성) | * 지축차량기지 소속: 3×87~94편성(총 8개 편성) | ||
* 제작사: [[현대로템]] | * 제작사: [[현대로템]] | ||
− | * 제어방식: VVVF-[[IGBT]]([[현대로템]] IPM) | + | * 제어방식: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IGBT]]([[현대로템]] [[IPM]]) |
해당 차량은 노후 차량 교체용으로 3×71~78편성의 대차분이다.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312000호대 전동차]] 13차 도입분을 비롯한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3차 도입분,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5~6차 도입분,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9~10차 도입분,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2차 도입분 등을 기반으로 '''[[현대로템]] 창원공장'''에서 제작됐다. | 해당 차량은 노후 차량 교체용으로 3×71~78편성의 대차분이다.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312000호대 전동차]] 13차 도입분을 비롯한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3차 도입분,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5~6차 도입분,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9~10차 도입분,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2차 도입분 등을 기반으로 '''[[현대로템]] 창원공장'''에서 제작됐다. | ||
47번째 줄: | 51번째 줄: | ||
* 지축차량기지 소속: 3×68~70, 3×95~99편성(총 8개 편성) | * 지축차량기지 소속: 3×68~70, 3×95~99편성(총 8개 편성) | ||
* 제작사: [[우진산전]] | * 제작사: [[우진산전]] | ||
− | * 제어방식: VVVF-[[IGBT]]([[우진산전]]) | + | * 제어방식: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IGBT]]([[우진산전]]) |
해당 차량은 노후 차량 교체용으로 3×79~86편성의 대차분이다.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312000호대 전동차]] 14~15차분을 기반으로 '''[[우진산전]] 증평공장'''에서 제작됐다. 추진제어장치는 일본 [[미쓰비시]]의 기반 [[우진산전]] [[IGBT]]가 창작됐다. 야마노테 선에서 운행하던 [[동일본 여객철도 E235계 전동차]]와 흡사한 구동음이다. | 해당 차량은 노후 차량 교체용으로 3×79~86편성의 대차분이다.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312000호대 전동차]] 14~15차분을 기반으로 '''[[우진산전]] 증평공장'''에서 제작됐다. 추진제어장치는 일본 [[미쓰비시]]의 기반 [[우진산전]] [[IGBT]]가 창작됐다. 야마노테 선에서 운행하던 [[동일본 여객철도 E235계 전동차]]와 흡사한 구동음이다. | ||
57번째 줄: | 61번째 줄: | ||
!width="50"|차호!!width="70"|도입 시기!!width="90"|운행중단 시기!!비고 | !width="50"|차호!!width="70"|도입 시기!!width="90"|운행중단 시기!!비고 | ||
|- | |- | ||
− | |3×71편성||1995년 8월||rowspan="2"|2023년 9월||[[철도청]] 최고의 | + | |3×71편성||1995년 8월||rowspan="2"|2023년 9월||[[철도청]] 최고의 직류전용 [[전동차]]다. |
|- | |- | ||
|3×72편성||rowspan="3"|1995년 9월|| | |3×72편성||rowspan="3"|1995년 9월|| |
2024년 11월 12일 (화) 13:17 기준 최신판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는 1996년 1월 30일 일산선 개통과 함께 도입된 한국철도공사의 통근형 전동차다. 현재 서울 지하철 3호선과 직결 운행하고 있으며, 이 전동차는 한국철도공사의 통근형 전동차 중 유일무이한 직류 1,500V 전용으로, 서울교통공사에 수탁 관리 운영되어, 교류 구간의 운행은 매우 불가능한 차량이다. 현재 16개 편성(160량)이 운행 중이다.
3호선 최초의 VVVF 전동차[편집]
1996년 1월 30일에 개통된 일산선은 기존 진접선, 서울 지하철 4호선, 과천선, 안산선 직결 운행 시 문제가 됐던 좌·우측 통행 및 직·교류 전기 공급 방식의 혼선 문제로 발생한 차량, 운용, 시설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 철도법에 의거하여 설치되어, 서울교통공사 소속의 지축차량기지에서 담당한다.
기술적 사양[편집]
특이사항[편집]
시운전 사고[편집]
음성 방송장치 개량[편집]
코모넷 차내방송 시스템[편집]
3×77~84편성에 코모넷 차내방송 시스템이 설치됐으나 현재는 철거됐다.
내장재 교체 사업 및 도색 변경[편집]
측면 로고[편집]
측면 코레일 로고가 'Let's Korail' 스티커로 모두 변경됐다. 이전은 다른 코레일 열차와 같이 코레일 스티커가 부착되기도 했다.
측면 LED 가동 중단[편집]
현재 스크린도어가 모두 설치되어 앞칸과 뒷칸을 제외한 측면 LED가 소등됐다.
편성[편집]
1차분[편집]
3×71~86편성(초창기 도입분)은 PAN과 C/I가 탑재된 M'차, 그리고 SIV, CM, BAT 등을 갖춘 Tc차와 T1, 그리고 아무런 기기도 탑재되지 않는 T차로 구성됐다.
2~3차분[편집]
배속[편집]
- 3×68~70, 3×87~99편성: 지축차량기지, 10량
현재 운행구간[편집]
- 틀:한국 도시철도 수도권 전철 3호선
- 서울 지하철 3호선: 지축~오금
- 일산선: 대화~지축
도입 역사[편집]
초창기 도입분은 1세대의 경우 1호선에서 운행된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 1차분 차량(C101~C106편성), 4호선 운행된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1차분 차량(C401~C409, C451~C463편성)을 기반으로 제작됐으며, 이후 각종 설비 변경을 계속 거듭하면서 총 2차례에 결쳐 도입이 이뤄졌다. 전두부 형상을 기준으로 크게 3세대로 나뉜다.
1세대(1차분) 1995년 8월 25일~1997년 8월 26일[편집]
초창기에 도입된 3×71~77편성은 1996년 1월 30일 일산선 지축~대화 개통 및 서울 지하철 3호선 직결 운행과 함께 도입됐으며, 이후 3×78~83편성은 1996년 1차 증차분으로, 3×84~86편성은 1997년 2차 증차분으로 도입된 편성이다. 16개 편성 160량 모두 현대정공 창원공장에서 제작됐다. 2차 증차분의 경우 2022년 9월 3×84편성은 극심한 차량 노후화 및 주요 부품 결함, 3×85~86편성은 내구 연한 만료에 의해 영구 휴차됐다가 2022년 10월에 차적 삭제 및 결번 처리 후 2022년 12월에 반출 및 폐차 매각이 이뤄졌다. 2023년 8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3×79~81편성을 제외한 차량의 운행이 영구 중단됐으며, 3×79~81편성 또한 CCTV 설치예정 없음에 따라 2024년 6월 21일 전 편성이 퇴역했다.
2세대(2차분) 2022년 7월 28일~2023년 1월 30일[편집]
해당 차량은 노후 차량 교체용으로 3×71~78편성의 대차분이다.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312000호대 전동차 13차 도입분을 비롯한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3차 도입분,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5~6차 도입분,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9~10차 도입분,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2차 도입분 등을 기반으로 현대로템 창원공장에서 제작됐다.
3세대(3차분) 2022년 12월 30일~2024년 1월 1일[편집]
해당 차량은 노후 차량 교체용으로 3×79~86편성의 대차분이다.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312000호대 전동차 14~15차분을 기반으로 우진산전 증평공장에서 제작됐다. 추진제어장치는 일본 미쓰비시의 기반 우진산전 IGBT가 창작됐다. 야마노테 선에서 운행하던 동일본 여객철도 E235계 전동차와 흡사한 구동음이다.
현황[편집]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하여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1세대분[편집]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중단 시기 | 비고 |
---|---|---|---|
3×71편성 | 1995년 8월 | 2023년 9월 | 철도청 최고의 직류전용 전동차다. |
3×72편성 | 1995년 9월 | ||
3×73편성 | 2023년 12월 | KTCS-M 시범 개조 차량이다. | |
3×74편성 | 2023년 9월 | ||
3×75편성 | 1995년 10월 | ||
3×76편성 | 2023년 12월 | ||
3×77편성 | 2023년 9월 | ||
3×78편성 | 1996년 1월 | 2024년 1월 | |
3×79편성 | 2024년 6월 | ||
3×80편성 | 1996년 2월 | ||
3×81편성 | |||
3×82편성 | 1996년 3월 | 2023년 12월 | |
3×83편성 | 2024년 3월 | ||
3×84편성 | 1997년 8월 | 2022년 9월 | |
3×85편성 | |||
3×86편성 |
2세대분[편집]
해당 편성들부터 신도색이 적용됐으며, 배장기가 제거됐다.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중단 시기 | 비고 |
---|---|---|---|
3×87편성 | 2022년 7월 | 운행 중 | |
3×88편성 | 2022년 8월 | 운행 중 | |
3×89편성 | 2022년 9월 | 운행 중 | |
3×90편성 | 2022년 10월 | 운행 중 | |
3×91편성 | 2022년 11월 | 운행 중 | |
3×92편성 | 2022년 12월 | 운행 중 | |
3×93편성 | 운행 중 | ||
3×94편성 | 2023년 1월 | 운행 중 |
3세대분[편집]
해당 편성들부터 알루미늄 차체가 적용됐으며, 편성번호가 운전실 측면 앞쪽에 표시된다.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중단 시기 | 비고 |
---|---|---|---|
3×68편성 | 2023년 9월 | 운행 중 | |
3×69편성 | 2023년 12월 | 운행 중 | |
3×70편성 | 2024년 1월 | 운행 중 | |
3×95편성 | 2022년 12월 | 운행 중 | |
3×96편성 | 2023년 2월 | 운행 중 | |
3×97편성 | 2023년 4월 | 운행 중 | |
3×98편성 | 2023년 6월 | 운행 중 | |
3×99편성 | 2023년 8월 | 운행 중 |
같이 보기[편집]
이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문서는 한국철도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