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전동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전동차'''는 [[서해선 광역전철]]에서의 운행을 위해 도입된 [[한국철도공사]]와 [[서부광역철도]] 등 두 양사가 공도 관리한 [[통근형 전동차]]다. 1단계 개통을 위해 2017년 8월 17일부터 10월 13일까지 도입된 총 4량 7개 편성(28량)에 이어 2단계 개통을 위해 4량 10개 편성(40량)이 추가 도입됐고, 송산차량기지 2024년 11월 1일에 완공되기 전까지, 서해선 광역전철의 전 열차를 시흥차량기지에 임시로 수탁 관리하며, 시우역과 안산역 사이에 시흥기지 입·출고용 연결 선로가 별개로 설치되어 있다.
+
'''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전동차'''는 [[서해선 광역전철]]에서의 운행을 위해 도입된 [[한국철도공사]]와 [[서부광역철도]] 등 두 양사가 공도 관리한 [[통근형 전동차]]다. 1단계 개통을 위해 2017년 8월 17일부터 10월 13일까지 도입된 총 4량 7개 편성(28량)에 이어 2단계 개통을 위해 4량 10개 편성(40량)이 추가 도입됐고, 송산차량기지 2024년 11월 1일에 완공되기 전까지, 서해선 광역전철의 전 열차를 시흥차량기지에 임시로 수탁 관리하며, 시우역과 안산역 사이에 시흥기지 입·출고용 연결 선로가 별개로 설치되어 있다. 현재 총 4량 17개 편성(68량)이 운행하고 있다.
  
 
== 기술적 사양 ==
 
== 기술적 사양 ==
 
=== 제어기기 ===
 
=== 제어기기 ===
 +
1차분은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동해선 광역전철]]용)에서 사용된 [[우진산전]], [[도시바]]제 COVO52-A0형 주제어장치가 탑재됐고, 2차분은 한국 번처기업인 KEC 등 두 양사와 합작으로 개발된 [[IGBT]] 인버터가 탑재됐다.
 +
 +
=== 실내 설비 ===

2024년 11월 2일 (토) 12:57 판

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전동차서해선 광역전철에서의 운행을 위해 도입된 한국철도공사서부광역철도 등 두 양사가 공도 관리한 통근형 전동차다. 1단계 개통을 위해 2017년 8월 17일부터 10월 13일까지 도입된 총 4량 7개 편성(28량)에 이어 2단계 개통을 위해 4량 10개 편성(40량)이 추가 도입됐고, 송산차량기지 2024년 11월 1일에 완공되기 전까지, 서해선 광역전철의 전 열차를 시흥차량기지에 임시로 수탁 관리하며, 시우역과 안산역 사이에 시흥기지 입·출고용 연결 선로가 별개로 설치되어 있다. 현재 총 4량 17개 편성(68량)이 운행하고 있다.

기술적 사양

제어기기

1차분은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동해선 광역전철용)에서 사용된 우진산전, 도시바제 COVO52-A0형 주제어장치가 탑재됐고, 2차분은 한국 번처기업인 KEC 등 두 양사와 합작으로 개발된 IGBT 인버터가 탑재됐다.

실내 설비